Floating City: Building Noah’s Ark for the Anthropocene
해상도시
By Hyunjung Cho
In his 2010 book titled Float! Building on Water to Combat Urban Congestion and Climate Change, Dutch architect Koen Olthuis labels today’s architects as “the climate change generation.” Olthuis is the founder of Waterstudio, an architectural firm located in Netherlands that specializes in floating structures. He urges his colleague architects to build on the water to cope with flood and sea level rise. In line with this, recently, floating structures have been gaining momentum; various types of floating buildings, such as floating houses, floating farms, and floating hotels, have been emerging across Amsterdam, Hamburg, London, and Seattle. Using modern technologies borrowed from the offshore and shipping industries, architects and engineers attempt to adapt existing construction methods in building affordable and flood-proofing floating structures. Floating buildings have many advantages in dealing with disasters caused by climate change in that they are flexible and mobile structures. They do not sink and can outwit changing water levels by rising and falling with the tide. Moreover, floating buildings are easily moved and relocated on water as need arises.

The idea of large-scale floating structures is not new. Architects’ efforts to explore the ocean as a new living sphere harkened back to the 1960s when economic growth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enabled the boom of visionary megastructure. It was Japanese visionaries who led the ambitious proposals for floating city, as seen in the renowned plan for Tokyo Bay (1961) by Tange Kenzo and a series of Marine City projects by Metabolist architect Kikutake Kiyonori. They approached the sea as a tabula rasa, a blank canvas to draw an ideal city without being bothered by the existing urban context. To enhance mobility and flexibility of the structure, they set a modular megastructure afloat rather than reclaiming land.

Entering the 2000s when the climate change becomes the substantial threat to the humankind, there emerged a renewed interest in floating city as the modern day “Noah’s ark.” The recent proposals for floating city inherited from its 60s precedents in that they embrace the idea of module system, mobile and flexible structure, and large artificial land. However, unlike the 60s when architects turned to the ocean to solve urban congestion and land scarcity, today’s futurists tend to consider the water as a potential escape space for the worst–case scenario of various environmental threats.

Recent examples of visionary proposals for floating city include Russian architect Alexander Remizov’s Floating Bioclimatic Ark Project(2011), Belgian ecological architect Vincent Callebaut’s Lilypad (2008), British visionary architect Phil Pauley’s Sub-Biosphere 2(2013), and Shimizu Corporation’s Green Float(2020), just to name a few. Unsurprisingly, the top priority of these proposals lies in the issue of ecology and environment because they are motivated by the threat of climate change. As its title indicates, for instance, Shimizu Group’s Green Float aims to create an “environmental island,” a plant-like city whose system emulates the organic system of nature. Likewise, Vincent Callebaut’s Lilypad, promotes the idea of “ecopolis,” a half aquatic and half terrestrial floating structure that is able to accommodate 50,000 future climate refugees and to embrace the biodiversity of its fauna and flora. Both Green Float and Lilypad are designed to reach a positive energetic balance with zero carbone emission by taking advantage of all the renewable energies available from the sea (solar, thermal and photovoltaic energies, wind energy, hydraulic, tidal power station, osmotic energies, phytopurification, and biomass).

Such ambitious efforts to build a smart green city on water initiated by visionaries, explores, innovators, and marine engineers and scientists culminate in the 2019 UN conference on the theme of “sustainable floating city.”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is the essence of the UN’s 2015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he UN meeting showcases a prototype of a sustainable floating city designed by architectural firm BIG led by Danish architect Bjarke Ingels as a solution to climate change threats facing urban areas in costal zones. It is buoyant artificial islands clustered together in groups of six to form villages and it can grow and expand over time. Oceanix City is not merely intended to create an extra new land on the ocean but, more importantly, to serve as a laboratory of the latest “blue technology” to create a self-sustaining marine city. To this end, Oceanix City proposes an integrated system of man-made ecology that channels the flow of energy, water, food, and waste in close collaboration with scientists and engineers from various institutes like MIT and UN.

In 2022, Busan metropolitan city announces that the world first floating city will be realized in the coastal area of Busan, the second largest city of South Korea. Based on the prototype of Oceanix City, BIG and its Korean partner Samwoo design Oceanix Busan, a three-interconnected platform of 6.3 hectares, accommodating a community of 12,000 people. Each platform will serve a specific purpose, such as living, research, and lodging and over time, it will transform and adapt and expand further to over 20 platforms. The highlight of Oceanix Busan is the six integrated systems: zero waste and circular systems, closed loop water systems, food, net zero energy, innovative mobility, and coastal habitat regeneration. These interconnected systems will generate 100% of the required operational energy on site through floating and rooftop photovoltaic panels.

Oceanix Busan promotes a utopian scenario of liberating marine life and green smart city, which appeals to many architects, politicians, and the general public. However, it is not an easy task to realize a visionary plan in a built form. First of all, its scale matters. Although Oceanix Busan adopts prefabrication and modular system to enhance mobility and flexibility, it is basically a megastructure, huge artificial land that include various functions of city. When it comes to megastructure, it is not easy to contain sufficient flexibility. Moreover, to build megastructure on water requires huge construction projects that emit massive carbon dioxide, which is responsible for climate change. Lastly, this large-scale floating structure has an enormous impact on ocean ecology and coastal areas.

Experts in ocean engineering argue that there is no technological difficulty in building flotation systems for Oceanix Busan. They consider the idea of floating city as a new arsenal tool to solve global problems of climate change. Yet, technological innovation cannot solve social, economic, legal, and cultural issues. The ocean is not a blank slate; there is a complex ecosystem consisting of numerous organic and inorganic beings in the sea. Furthermore, the near sea of Busan is organically connected to the existing fabrics of the city that has already suffered from indiscriminate development of the coastal areas. Unlike its intention to create a pilot project for a sustainable future city, Oceanix Busan has a risk of accelerating uneven regional development and speculative investment. Now is the time to consider whether this eco-modernist approach underlying floating city projects can be the only option to cope with the crisis of the Anthropocene.
글: 조현정
2010년 출간된 저서 “플로트!”에서 네덜란드 건축가 코엔 올투이즈(Koen Olthuis)는 “기후 변화 세대”라는 건축가의 새로운 정체성을 언급했다. 부유 구조물에 특화된 건축사무소 워터 스튜디오의 창립자이기도 한 올투이즈는 해수면 상승과 홍수 등 기후변화가 야기한 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물 위에 건물을 짓는다는 야심찬 비전을 선보였다. 실제로 최근 들어 암스테르담, 함부르그, 런던, 시애틀 등 세계 곳곳에서 주택, 호텔, 농장 등 다양한 규모와 유형의 부유 구조물이 지어지고 있다. 이에 조선업과 석유 플랫폼 시설에 사용되는 기술이 적극 도입되어 안전하고 경제적인 부유 구조물을 짓기 위한 기술 개발도 진행되고 있다. 부유 구조물은 유동적이고 이동가능하다는 점에서 인류세의 위기에 대처하는데 많은 장점을 갖는다. 이들은 해수면이 상승해도 가라앉지 않고 유연하게 파도를 타며 부유할 수 있으며, 어디로든 자유롭게 필요한 곳으로 이동해 설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해상도시에 대한 비전이 처음 등장했던 시기는 196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1960년대는 전후의 경제성장과 비약적인 과학 기술의 진보를 토대로 도시의 다양한 기능을 거대한 단일 구조물에 포함시키는 하이테크 건축인 메가스트럭쳐가 유행했던 시기이다. 바다 위에 거대 구조물을 세우는 해상도시에 대한 야심찬 시도를 견인하던 이들은 일본 건축가들이었다. 전후 일본의 ‘국가 건축가’로 불리는 단게 겐조(丹下健三)는 도쿄 앞바다를 미래도시에 대한 야심찬 구상을 기존의 도시 맥락에 구애받지 않고 실험할 수 있는 일종의 타블라 라사로 접근하고, 그동안 주로 매립의 방식으로 점진적으로 확보되던 도쿄만에 인구 50만을 수용할 수 있는 해상도시 <도교 계획>(1961)을 발표했다. 1961년 발표된 단게 팀의 계획은 선형도시, 입체적인 도로망 등 새로운 도시계획 수법을 제시하며 전 세계 건축계의 이목을 끌었다. 비슷한 시기에 건축 그룹 메타볼리즘의 멤버인 기쿠타케 기요노리(菊竹清訓)도 다양한 버전의 해상도시를 선보였다. 바다 위에 고밀도 주거 단지와 공업 도시를 띄우는 안을 발표한 데 이어, 도쿄만 저지대인 고토 지구에 격자 형태의 플랫폼을 띄우는 비전을 제안했다. 유기체의 신진대사 모델을 건축에 적용하고자 한 메타볼리즘 그룹의 일원답게 기쿠타케는 ‘캡슐’이라고 불리는 모듈형 단위 유닛을 필요에 따라 탈부착하는 방식으로 메가스트럭쳐의 유연성과 가변성, 성장 가능성을 확보했다.

건축계에서 해상 도시에 대한 관심이 재개된 것은 2000년대 이후 들어서이다. 러시아의 디자이너 알렉산더 레미조프(Alexander Remizov)가 이끄는 레미 스튜디오의 <더 아크>(2011), 영국의 비저너리 건축가 필 폴리의 <Sub-Biosphere 2>(2013), 벨기에의 생태주의 건축가 뱅상 칼보의 <릴리 패드>(2008), 일본 건설 회사 시미즈 그룹의 <그린 플로트> (2020)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과거에는 급격한 경제성장과 인구증가, 도시팽창 같은 요인이 바다를 새로운 삶의 터전으로 인식하게 하는 동인으로 작용했다면, 기후 위기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실질적인 위협으로 여겨지기 시작한 최근의 해상도시는 임박한 파국을 전제로 한 ‘현대판 노아의 방주’를 지향한다. 부유식 인공대지, 조립식 모듈의 도입, 구조물의 유연성과 이동성 등의 특징을 공유하는 해상도시 구상은 대체로 1960년대의 단게나 기쿠타케의 선례를 계승한다. 그러나 과거와 차별되는 최근의 해상 구조물의 특징으로 생태, 기후, 자원순환에 대한 각별한 관심을 꼽을 수 있다. 대표적인 예가 시미즈 그룹이 주도한 인공섬 프로젝트 <그린 플로트>이다. 이름에서부터 ‘그린’을 내세운 이 프로젝트는 태양열, 풍력, 조수 등의 재생 에너지를 활용하며 녹색 기술을 이용해 쓰레기 제로를 지향하고, 친환경 녹색 기술을 통해 탄소 배출을 40% 절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뱅상 칼보가 제안한 <릴리 패드>(Lilypad)도 생태적 가치를 최우선에 놓는다. 2100년의 미래를 가정해 5만 명 규모의 기후난민을 수용하게끔 설계된 이 자급자족의 해상도시는 해류를 따라 떠다니며 이산화탄소와 쓰레기를 재활용해 자체적으로 산소를 만들고, 태양광, 조력, 해류,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해 필요한 전기를 생산한다.

2019년 “지속가능한 해상도시”를 주제로 진행된 유엔의 고위급 원탁회의는 물 위에 친환경 미래도시를 세운다는 그간의 노력들의 총결산으로 볼 수 있다. 이는 2015년 유엔이 발표한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의 연잔성에 놓여 있다. 회의에서는 덴마크 출신의 스타 건축가 비에르케 엥겔스(Bjarke Ingels)가 이끄는 BIG과 해상 개발 기업 오셔닉스(Oceanix)가 해수면이 상승해도 침몰하지 않는 거대한 플로팅 구조물 오셔닉스 시티를 발표해 인류세 시기의 새로운 건축적 시도로서 많은 주목을 끌었다. 오셔닉스 시티는 필요에 따라 이동가능하고 성장 가능한 일종의 인공 섬이다. 먼저, 3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6각형 모듈을 기본 단위로 해서 모듈 6개가 모여 하나의 마을을 이루고, 다시 마을 6개가 모여 약 만 명을 수용할 수 있는 도시를 구성한다. 오셔닉스 시티는 폐기물 제로의 순환시스템, 폐쇄형 물 시스템, 식량, 탄소중립(net-zero) 에너지, 혁신적인 모빌리티, 연안 서식지 재생 등을 포함하는 통합적인 시스템을 통해 자족적이면서 지속가능한 스마트 시티를 만든다는 구상을 강조한다. 즉 단순히 여분의 도시 공간을 물 위에 확보하는 차원을 넘어, 친환경 테크놀로지를 적극 활용해 기후 위기 시대의 도시의 새로운 모델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흥미롭게도 오셔닉스 시티가 최초로 건립될 장소는 해수면 상승으로 침몰 위기가 임박한 태평양 열대 지방이 아닌, 한반도 최남단에 위치한 대도시 부산 광역시가 될 전망이다. 2022년 4월, 부산 광역시는 오셔닉스 시티 계획을 부산 앞바다에 가져온다는 오셔닉스 부산 프로젝트를 전격 발표했다. 2030년 부산이 개최를 추진하고 있는 세계박람회에 맞춰 1만 2천명을 수용할 부유식 플랫폼 3개를 짓는 다는 계획이다. 거주와 연구, 숙박 용도를 갖는 3개의 플랫폼은 다리로 육지와 연결되는데, 필요에 따라 향후 20개 이상 확장가능하다. 물론 친환경 테크놀로지를 적극 활용한 스마트 시티라는 홍보도 빠지지 않는다. 다양한 수상 이동 수단을 통해 바다와 육지, 플랫폼을 자유로이 오가며 레크리에이션을 즐긴다는 시나리오나, 각종 문화시설, 상업 시설이 들어선 활기찬 공공 공간에 대한 장밋빛 이미지는 바다를 즐기는 여유로운 삶에 대한 동경을 자극하며 미디어의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상상 속의 유토피아를 눈앞의 현실로 만드는 것은 간단한 일이 아니다. 먼저 거대한 규모 자체가 문제다. 구조물 자체의 스케일이 클수록 쓰나미나 태풍 등 재난이 발생했을 때 유연한 대응을 어려워진다. 또한 대형 부유 구조물을 바다 위에 건립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탄소배출을 발생하는 대공사가 불가피하고, 이렇게 완성된 인공 섬이 작동하면서 기존의 바다 생태계는 물론 인접한 해안가의 도시 환경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해양 공학자와 과학자 등 전문가들의 지적대로 부유 구조물을 만드는데 필요한 기술적인 문제는 거의 해결되었을지 모른다. 그러나 정치적, 사회적, 제도적, 환경적 문제까지 해결된 것은 아니다. 부산 근해는 결코 자유롭게 도시의 미래를 그릴 수 있는 빈 캔버스가 아니라, 기존 도시 맥락과 유기적으로 연결된 장소이자 복잡한 해양 생태계가 이미 존재하는 곳이다. 이미 부산은 해안가의 무분별한 개발과 불균형한 도시공간의 발전으로 몸살을 겪고 있다. 친환경 스마트 시티를 미래도시의 방향으로 제안하는 최근의 해상도시 열풍은 인류세의 글로벌한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중요한 건축적 시도로서 그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이들이 공유한 에코 모더니즘적 접근이 위기를 지연하고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 아니라, 반대로 이를 악화시킬 가능성을 갖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성찰이 필요하다.
글: 앤드류 베라르디니
2010년 출간된 저서 “플로트!”에서 네덜란드 건축가 코엔 올투이즈(Koen Olthuis)는 “기후 변화 세대”라는 건축가의 새로운 정체성을 언급했다. 부유 구조물에 특화된 건축사무소 워터 스튜디오의 창립자이기도 한 올투이즈는 해수면 상승과 홍수 등 기후변화가 야기한 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물 위에 건물을 짓는다는 야심찬 비전을 선보였다. 실제로 최근 들어 암스테르담, 함부르그, 런던, 시애틀 등 세계 곳곳에서 주택, 호텔, 농장 등 다양한 규모와 유형의 부유 구조물이 지어지고 있다. 이에 조선업과 석유 플랫폼 시설에 사용되는 기술이 적극 도입되어 안전하고 경제적인 부유 구조물을 짓기 위한 기술 개발도 진행되고 있다. 부유 구조물은 유동적이고 이동가능하다는 점에서 인류세의 위기에 대처하는데 많은 장점을 갖는다. 이들은 해수면이 상승해도 가라앉지 않고 유연하게 파도를 타며 부유할 수 있으며, 어디로든 자유롭게 필요한 곳으로 이동해 설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해상도시에 대한 비전이 처음 등장했던 시기는 196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1960년대는 전후의 경제성장과 비약적인 과학 기술의 진보를 토대로 도시의 다양한 기능을 거대한 단일 구조물에 포함시키는 하이테크 건축인 메가스트럭쳐가 유행했던 시기이다. 바다 위에 거대 구조물을 세우는 해상도시에 대한 야심찬 시도를 견인하던 이들은 일본 건축가들이었다. 전후 일본의 ‘국가 건축가’로 불리는 단게 겐조(丹下健三)는 도쿄 앞바다를 미래도시에 대한 야심찬 구상을 기존의 도시 맥락에 구애받지 않고 실험할 수 있는 일종의 타블라 라사로 접근하고, 그동안 주로 매립의 방식으로 점진적으로 확보되던 도쿄만에 인구 50만을 수용할 수 있는 해상도시 <도교 계획>(1961)을 발표했다. 1961년 발표된 단게 팀의 계획은 선형도시, 입체적인 도로망 등 새로운 도시계획 수법을 제시하며 전 세계 건축계의 이목을 끌었다. 비슷한 시기에 건축 그룹 메타볼리즘의 멤버인 기쿠타케 기요노리(菊竹清訓)도 다양한 버전의 해상도시를 선보였다. 바다 위에 고밀도 주거 단지와 공업 도시를 띄우는 안을 발표한 데 이어, 도쿄만 저지대인 고토 지구에 격자 형태의 플랫폼을 띄우는 비전을 제안했다. 유기체의 신진대사 모델을 건축에 적용하고자 한 메타볼리즘 그룹의 일원답게 기쿠타케는 ‘캡슐’이라고 불리는 모듈형 단위 유닛을 필요에 따라 탈부착하는 방식으로 메가스트럭쳐의 유연성과 가변성, 성장 가능성을 확보했다.

건축계에서 해상 도시에 대한 관심이 재개된 것은 2000년대 이후 들어서이다. 러시아의 디자이너 알렉산더 레미조프(Alexander Remizov)가 이끄는 레미 스튜디오의 <더 아크>(2011), 영국의 비저너리 건축가 필 폴리의 <Sub-Biosphere 2>(2013), 벨기에의 생태주의 건축가 뱅상 칼보의 <릴리 패드>(2008), 일본 건설 회사 시미즈 그룹의 <그린 플로트> (2020)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과거에는 급격한 경제성장과 인구증가, 도시팽창 같은 요인이 바다를 새로운 삶의 터전으로 인식하게 하는 동인으로 작용했다면, 기후 위기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실질적인 위협으로 여겨지기 시작한 최근의 해상도시는 임박한 파국을 전제로 한 ‘현대판 노아의 방주’를 지향한다. 부유식 인공대지, 조립식 모듈의 도입, 구조물의 유연성과 이동성 등의 특징을 공유하는 해상도시 구상은 대체로 1960년대의 단게나 기쿠타케의 선례를 계승한다. 그러나 과거와 차별되는 최근의 해상 구조물의 특징으로 생태, 기후, 자원순환에 대한 각별한 관심을 꼽을 수 있다. 대표적인 예가 시미즈 그룹이 주도한 인공섬 프로젝트 <그린 플로트>이다. 이름에서부터 ‘그린’을 내세운 이 프로젝트는 태양열, 풍력, 조수 등의 재생 에너지를 활용하며 녹색 기술을 이용해 쓰레기 제로를 지향하고, 친환경 녹색 기술을 통해 탄소 배출을 40% 절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뱅상 칼보가 제안한 <릴리 패드>(Lilypad)도 생태적 가치를 최우선에 놓는다. 2100년의 미래를 가정해 5만 명 규모의 기후난민을 수용하게끔 설계된 이 자급자족의 해상도시는 해류를 따라 떠다니며 이산화탄소와 쓰레기를 재활용해 자체적으로 산소를 만들고, 태양광, 조력, 해류,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해 필요한 전기를 생산한다.

2019년 “지속가능한 해상도시”를 주제로 진행된 유엔의 고위급 원탁회의는 물 위에 친환경 미래도시를 세운다는 그간의 노력들의 총결산으로 볼 수 있다. 이는 2015년 유엔이 발표한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의 연잔성에 놓여 있다. 회의에서는 덴마크 출신의 스타 건축가 비에르케 엥겔스(Bjarke Ingels)가 이끄는 BIG과 해상 개발 기업 오셔닉스(Oceanix)가 해수면이 상승해도 침몰하지 않는 거대한 플로팅 구조물 오셔닉스 시티를 발표해 인류세 시기의 새로운 건축적 시도로서 많은 주목을 끌었다. 오셔닉스 시티는 필요에 따라 이동가능하고 성장 가능한 일종의 인공 섬이다. 먼저, 3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6각형 모듈을 기본 단위로 해서 모듈 6개가 모여 하나의 마을을 이루고, 다시 마을 6개가 모여 약 만 명을 수용할 수 있는 도시를 구성한다. 오셔닉스 시티는 폐기물 제로의 순환시스템, 폐쇄형 물 시스템, 식량, 탄소중립(net-zero) 에너지, 혁신적인 모빌리티, 연안 서식지 재생 등을 포함하는 통합적인 시스템을 통해 자족적이면서 지속가능한 스마트 시티를 만든다는 구상을 강조한다. 즉 단순히 여분의 도시 공간을 물 위에 확보하는 차원을 넘어, 친환경 테크놀로지를 적극 활용해 기후 위기 시대의 도시의 새로운 모델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흥미롭게도 오셔닉스 시티가 최초로 건립될 장소는 해수면 상승으로 침몰 위기가 임박한 태평양 열대 지방이 아닌, 한반도 최남단에 위치한 대도시 부산 광역시가 될 전망이다. 2022년 4월, 부산 광역시는 오셔닉스 시티 계획을 부산 앞바다에 가져온다는 오셔닉스 부산 프로젝트를 전격 발표했다. 2030년 부산이 개최를 추진하고 있는 세계박람회에 맞춰 1만 2천명을 수용할 부유식 플랫폼 3개를 짓는 다는 계획이다. 거주와 연구, 숙박 용도를 갖는 3개의 플랫폼은 다리로 육지와 연결되는데, 필요에 따라 향후 20개 이상 확장가능하다. 물론 친환경 테크놀로지를 적극 활용한 스마트 시티라는 홍보도 빠지지 않는다. 다양한 수상 이동 수단을 통해 바다와 육지, 플랫폼을 자유로이 오가며 레크리에이션을 즐긴다는 시나리오나, 각종 문화시설, 상업 시설이 들어선 활기찬 공공 공간에 대한 장밋빛 이미지는 바다를 즐기는 여유로운 삶에 대한 동경을 자극하며 미디어의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상상 속의 유토피아를 눈앞의 현실로 만드는 것은 간단한 일이 아니다. 먼저 거대한 규모 자체가 문제다. 구조물 자체의 스케일이 클수록 쓰나미나 태풍 등 재난이 발생했을 때 유연한 대응을 어려워진다. 또한 대형 부유 구조물을 바다 위에 건립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탄소배출을 발생하는 대공사가 불가피하고, 이렇게 완성된 인공 섬이 작동하면서 기존의 바다 생태계는 물론 인접한 해안가의 도시 환경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해양 공학자와 과학자 등 전문가들의 지적대로 부유 구조물을 만드는데 필요한 기술적인 문제는 거의 해결되었을지 모른다. 그러나 정치적, 사회적, 제도적, 환경적 문제까지 해결된 것은 아니다. 부산 근해는 결코 자유롭게 도시의 미래를 그릴 수 있는 빈 캔버스가 아니라, 기존 도시 맥락과 유기적으로 연결된 장소이자 복잡한 해양 생태계가 이미 존재하는 곳이다. 이미 부산은 해안가의 무분별한 개발과 불균형한 도시공간의 발전으로 몸살을 겪고 있다. 친환경 스마트 시티를 미래도시의 방향으로 제안하는 최근의 해상도시 열풍은 인류세의 글로벌한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중요한 건축적 시도로서 그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이들이 공유한 에코 모더니즘적 접근이 위기를 지연하고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 아니라, 반대로 이를 악화시킬 가능성을 갖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성찰이 필요하다.
Image 1) Tange Kenzo, <Tokyo Plan, 1960>, 1961, courtesy of Tange Associate
Image 2) BIG+Samwoo,<Oceanix Busan>, 2022, courtesy of BIG
Image 1) Tange Kenzo, <Tokyo Plan, 1960>, 1961, courtesy of Tange Associate
Image 2) BIG+Samwoo,<Oceanix Busan>, 2022, courtesy of BIG
Image 1) 단게 겐조, 도쿄계획, 1960 (1961), ©Tange Associatet
Image 2) BIG+Samwoo, Oceanix Busan, 2022, © BIG
Image 1) 단게 겐조, 도쿄계획, 1960 (1961), ©Tange Associatet
Image 2) BIG+Samwoo, Oceanix Busan, 2022, © BIG
issue 3
Made on
Til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