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rmers and cranes in the Anthropocene
인류세의 농민과 두루미
By Myeong Ae Choi
글: 최명애
글: 최명애
November 6, 2000. It was chilly morning. The wind blew through the ruins of the former Labour Party House, Cheorwon, Gangwon Province, and it was already cold. The farmers have just finished their anti-conservation rally. “Come on, let’s go”. In the midst of excitement and anxiety the first tractor got its engine started. It marched down to the security checkpoint next to the Labour Party House, and crossed the Civilian Control Line. Along the road into the Civilian Control Zone (CCZ) empty rice fields were lined up. Rice was harvested earlier in the autumn. The tractor changed its way and entered into the paddy fields. It began to plough the empty fields. Grains and straws being dried up on the surface of the paddy fields were mixed up with soils. Then, the second tractor started its march. It entered into the CCZ, and began to plough another paddy field. One followed another, again and again. In a stern face, farmers continued to plough the paddy fields. More than 80 tractors and 200 farmers participated in the protest. It was the first time nearly all of the tractors in Cheorwon were gathered in one place for one purpose.[1]

Two months ago,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announced that some parts of the CCZ is to be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 No. 245 ‘Sanctuary of Migratory Birds’. Farmers who have their farmlands in the CCZ immediately objected. Being a Military Protected Area for nearly 50 years, their everyday life has been already tied up with a range of restrictions. Becoming a Protected Area for nature would surely bring additional restrictions. Since such measure is introduced to protect birds, the birds then must be driven out. Ploughing through the rice fields with a tractor would destroy the leftover grains that migratory cranes feed on. Their tractor protest aimed at sending a clear message that cranes are not welcomed in Cheorwon.

Accidental ecology by the Cold War
There is a paradox here. It was farmers’ farming practices that initially invited the cranes to the rice fields of the CCZ. Cranes are migratory birds that spend summer in Siberia and northeast China, and winter in southern China, Japan, and Korea. It was not until the late 1980s when the cranes in a large number appeared in Cheorwon. There had been occasional reports of the cranes wintering in the DMZ from the 1970s. Local farmers started to spot cranes in the CCZ around 1985. In the early 1990s, several hundreds of red-crowned cranes and white-naped cranes were reported to winter in and around the CCZ of Cheorwon. Red-crowned cranes (grus japonensis) have a red crown on their heads, a snow-white body, and black wing feathers. White-naped cranes (grus vipio) have a red patch around their eyes and a grey body (Fig 1).
2000년 11월 6일 강원 철원군 철원읍 옛 노동당사 앞. 뼈대만 남은 노동당사 건물 사이로 스산한 바람이 부는 초겨울의 날이었다. 철원 농민 200여명은 막 집회를 마친 참이었다. “자, 출발합시다.” 들뜬 흥분과 소란, 긴장 속에서 첫번째 트랙터가 시동을 걸었다. 트랙터는 노동당사 앞 검문소를 통과해 민간인통제구역 내부로 진입했다. 도로 양 옆에는 추수를 끝낸 논이 펼쳐져 있었다. 트랙터는 논으로 들어가 빈 들을 갈아엎기 시작했다. 논 위에서 말라가던 볏짚과 이삭이 퍼 올린 흙과 섞여 한 덩어리가 됐다. 이어 두번째 트랙터가 출발했다. 민통선 내부로 들어간 트랙터는 다른 논을 갈기 시작했다. 농민들은 묵묵히 잇달아 트랙터의 시동을 걸었다. 이 날 동원된 트랙터는 80여대. 철원이 생긴 이래 이렇게 많은 트랙터가 한자리에 모인 것은 처음이었다.[1]

논을 갈면 떨어져 있던 알곡이 흙에 섞여 두루미의 먹이가 없어진다. 정부는 두 달 전 철원 민통선 내 일부 지역을 천연기념물 245호 ‘철원 천통리 철새도래지’로 변경 지정한다고 고시했다. 민통선 안에서 농사를 짓는 철원 농민들은 바로 거세게 반발했다. 그렇잖아도 군사 보호 구역으로 갖은 제약을 받아 왔는데, 자연 보호 구역까지 지정되면 어떤 규제가 더해질 지 모를 일이었다. 새를 보호하기 위해 농토를 묶는다고 하니, 그렇다면 새를 못 오게 해야 하는 것 아닌가. 추수가 끝난 논을 트랙터로 갈아 엎는 것은 새의 먹이를 없애 두루미가 발붙이지 못하게 하겠다는 뜻이었다. 그만큼이나 철원 농부들이 철새 보호 지역을 원하지 않는다는 강력한 항의의 표시였다.

냉전이 만든 뜻밖의 자연
여기에는 역설이 있다. 당초 두루미가 철원에 온 것은 농민들이 여기서 농사를 짓기 때문이기도 했다. 두루미는 시베리아와 중국 북부에서 여름을 나고 중국 남부, 한국, 일본에서 겨울을 나는 철새다. 한반도 여러 지역에 두루미 월동 기록이 있지만, 철원을 본격적으로 찾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였다. 비무장지대(DMZ) 안에서 두루미 100여마리가 월동한다는 이야기가 간간이 나오더니, 1985년께부터는 민통선 내 논에서 수십 마리씩 발견되기 시작했다. 1990년대 초반부터는 두루미(grus japonensis)와 재두루미(grus vipio)가 각각 200-300마리씩 철원에서 월동하기 시작했다. 두루미는 정수리에 붉은 점이 있고, 몸이 희고 꼬리 날갯깃이 검은 새다. 재두루미는 눈 주변이 붉고, 몸 전체가 회색빛이다 (Fig 1).
2000년 11월 6일 강원 철원군 철원읍 옛 노동당사 앞. 뼈대만 남은 노동당사 건물 사이로 스산한 바람이 부는 초겨울의 날이었다. 철원 농민 200여명은 막 집회를 마친 참이었다. “자, 출발합시다.” 들뜬 흥분과 소란, 긴장 속에서 첫번째 트랙터가 시동을 걸었다. 트랙터는 노동당사 앞 검문소를 통과해 민간인통제구역 내부로 진입했다. 도로 양 옆에는 추수를 끝낸 논이 펼쳐져 있었다. 트랙터는 논으로 들어가 빈 들을 갈아엎기 시작했다. 논 위에서 말라가던 볏짚과 이삭이 퍼 올린 흙과 섞여 한 덩어리가 됐다. 이어 두번째 트랙터가 출발했다. 민통선 내부로 들어간 트랙터는 다른 논을 갈기 시작했다. 농민들은 묵묵히 잇달아 트랙터의 시동을 걸었다. 이 날 동원된 트랙터는 80여대. 철원이 생긴 이래 이렇게 많은 트랙터가 한자리에 모인 것은 처음이었다.[1]

논을 갈면 떨어져 있던 알곡이 흙에 섞여 두루미의 먹이가 없어진다. 정부는 두 달 전 철원 민통선 내 일부 지역을 천연기념물 245호 ‘철원 천통리 철새도래지’로 변경 지정한다고 고시했다. 민통선 안에서 농사를 짓는 철원 농민들은 바로 거세게 반발했다. 그렇잖아도 군사 보호 구역으로 갖은 제약을 받아 왔는데, 자연 보호 구역까지 지정되면 어떤 규제가 더해질 지 모를 일이었다. 새를 보호하기 위해 농토를 묶는다고 하니, 그렇다면 새를 못 오게 해야 하는 것 아닌가. 추수가 끝난 논을 트랙터로 갈아 엎는 것은 새의 먹이를 없애 두루미가 발붙이지 못하게 하겠다는 뜻이었다. 그만큼이나 철원 농부들이 철새 보호 지역을 원하지 않는다는 강력한 항의의 표시였다.

냉전이 만든 뜻밖의 자연

여기에는 역설이 있다. 당초 두루미가 철원에 온 것은 농민들이 여기서 농사를 짓기 때문이기도 했다. 두루미는 시베리아와 중국 북부에서 여름을 나고 중국 남부, 한국, 일본에서 겨울을 나는 철새다. 한반도 여러 지역에 두루미 월동 기록이 있지만, 철원을 본격적으로 찾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였다. 비무장지대(DMZ) 안에서 두루미 100여마리가 월동한다는 이야기가 간간이 나오더니, 1985년께부터는 민통선 내 논에서 수십 마리씩 발견되기 시작했다. 1990년대 초반부터는 두루미(grus japonensis)와 재두루미(grus vipio)가 각각 200-300마리씩 철원에서 월동하기 시작했다. 두루미는 정수리에 붉은 점이 있고, 몸이 희고 꼬리 날갯깃이 검은 새다. 재두루미는 눈 주변이 붉고, 몸 전체가 회색빛이다 (Fig 1).

Fig 1. Red-crowned cranes (left) and white-naped cranes (right). (Photo: courtesy of Yoo Seong-Hwa)
Fig 1. Red-crowned cranes (left) and white-naped cranes (right). (Photo: courtesy of Yoo Seong-Hwa)
Fig 1. 두루미 (왼쪽)와 재두루미(오른쪽). 사진: 유승화 제공.
Fig 1. 두루미 (왼쪽)와 재두루미(오른쪽). 사진: 유승화 제공.
Why cranes started to come to Cheorwon? It was perhaps because of a series of anthropogenic changes made to the landscape of Cheorwon for the past 100 years, which involves colonial exploitation, the Korean War, the Cold War, and the state-led agricultural development.[2] The lava fields of Cheorwon were transformed into rice fields in the 1920s by the colonial government and Japanese corporations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rice. The rice fields became one of the most hard-fought battlegrounds during the Korean War (1950-1953), constituting the notorious “Iron Triangle”.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now crosses in the middle of Cheorwon, leaving the northern half of Cheorwon in North Korea, and the other half in South Korea. The DMZ and the adjacent CCZ are where used to be the town centre of Cheorwon. The town centre was heavily bombarded, and only ruins of the buildings now remain. The Labour Party House building, in front of which the farmers gathered for their tractor protest, is one of the ruins. The road from this building leads to Cheorwon Railway station, which now locates inside of the DMZ. Several ruins and signboards are lined up along the road, indicating there were hospitals, schools, banks, factories, and so forth.

Where used to be Cheorwon Railway Station is now covered up with shrub and grasses. By the Armistice Agreement at the end of the Korean War, the DMZ was created and maintained as ‘no-man’s land’ since then. The DMZ is a narrow strip of land, two-kilometres apart from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on both sides. In juridical terms, the South Korean part of the DMZ is governed by the United Nations, not the Government of Korea. Everyday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were suddenly and completely suspended in the DMZ, while only military scouting parties are granted access to the area. Several decades on, the former villages and rice fields remained in the DMZ have been transformed into gentle groves and wetlands. During the same period, the lands outside of the fences of the DMZ experienced another extraordinary change, which transformed the smoking ruins into rice fields. Since the CCZ was too close to North Korea, no other industrial development except for farming were allowed. During the post-war period, the Korean Government embarked on an intensive drive to produce more rice to feed the starving population. The Cheorwon Plain in the CCZ now produces one of the best rice breeds in the country, called Odae rice. Wetlands of the DMZ and the rice paddies in the CCZ offer a safe habitat for the cranes: Cranes sleep in the wetlands in the DMZ, leave for the rice fields in the CCZ in the morning, and return to the DMZ at dusk. What attracted the cranes to Cheorwon was in this regard the ‘accidental’ nature created by the Cold War politics.[3]

Then, the North Korean Famine (1994–2000), or so-called “the March of Suffering” took place.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rane Foundation, cranes had been wintering in North Korea–the coastal wetlands of Hwanghae Province and Anbyun in Gangwon Province–since the 1970s. The fall of the Eastern Bloc, however, heavily impacted not just the people but also the cranes in North Korea. The collapse of Soviet Union led to a cessation of aid programmes toward North Korea. The stopping of agricultural aid, especially chemical fertilizers, resulted in a sharp decline in the production of rice and other crops. North Koreans suffered from a severe food shortage, and had to put anything in their mouths to survive. Even the roots and barks of plants and trees were peeled off and eaten. Over a million people died from starvation. This means that there were no grains left for the cranes. Following the procession of people defecting to other countries, cranes also left North Korea. Some crossed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and found an alternative habitat in Cheorwon. Lee Ki-Sup, a Korean ornithologist, describes these cranes as “North Korean defector cranes”, adding that “the cranes are the ones who were most severely hit by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4]

The number of the cranes wintering in Cheorwon significant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first national census for migratory birds in 1999, 372 red-crowned cranes and 474 white-naped cranes were recorded in the rice fields in the CCZ.[5] In 2021, the numbers were 1,126 and 5,330, respectively, accounting for more than half of the global population of these birds.[6] Both species are listed on the Red List of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classified as ‘Vulnerable’. At the national level, both are designated as ‘Endangered Species’ (Grade I and II, respectively)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as ‘Natural Monuments’ (No. 202, and No. 203, respectively).

Persecution
Cranes were not welcomed in Cheorwon. It was mid-1980s when the farmers in the CCZ spotted the cranes for the first time. From the early 1990s, interested local residents in Dongsong–the town centre of northern Cheorwon–and adjacent villages began organised activities to watch and protect the cranes. A couple of years later, however, local newspapers reported several instances that the cranes were found dead in the rice fields after eating toxic substances such as pesticides. Local farmers were under suspicion of poisoning the cranes. One white-naped crane was even hit by a truck driven by a local farmer. Local residents engaging with crane protection activities were also threatened. One activist was punched in the face in a public restaurant, while another had his shop window shot by a gun as a clear warning against his conservation practices. The ‘persecution’ for the cranes reached its peak in 2000 when more than 80 tractors were deployed to destroy the feeding ground of the cranes, with which I opened this essay (Fig 2).
두루미는 왜 철원을 찾아오기 시작했을까. 식민지 개척과 전쟁, 냉전, 국가 주도 농업 산업화로 이어지는 철원의 변화 때문이었다.[2] 철원은 지난 100년 동안 한국 근대사의 한가운데를 관통했다. 일제 강점기 일본의 산미 증산 계획에 따라 쌀 농업 지대로 개발되었고, ‘철의 삼각지대’로 불리는 한국 전쟁 최고 격전지였으며, 지금은 군사 분계선이 철원군을 가로지른다. 철원군의 절반은 북한에, 절반은 남한에 남았다. 비무장지대와 남측 민통선 안팎이 예전의 철원읍 자리다. 시가지는 폭격과 전투로 폐허가 되었고, 건물의 잔해만 드문드문 남아 있다. 잔해 중 하나가 농민들이 트랙터를 몰고 모여 들었던 노동당사다. 노동당사에서 민통선 안으로 이어지는 도로는 지금은 비무장지대에 편입된 철원역으로 이어진다. 도로 옆으로 병원, 학교, 은행, 공장 같은 건물의 잔해가 남아 있다. 1930년대 만들어진 철원읍 시가지의 유산이다.

철원역은 풀숲에 덮인 채 흔적으로만 남아 있다. 1953년 휴전 협정에 따라 비무장지대는 ‘사람이 출입할 수 없는 지역(no-man’s land)’으로 남았다. 남북의 국경인 군사분계선을 중심으로 남측과 북측 각각 2km 씩이다. 남측 비무장지대는 한국 정부가 아니라 유엔사가 관할한다. 수색과 정찰 활동을 위해 군인만 출입할 뿐, 민간인은 들어갈 수 없다. 인간의 일상적 사회경제적 활동이 전면 중단된 지 수십 년. 비무장지대에 남겨진 철원의 마을과 논은 수풀과 습지로 바뀌었다. 같은 기간 비무장지대 남측 경계부터 민통선까지의 수 km 구간은 논으로 만들어졌다. 북한과 접경 지역이라 산업 설비가 들어서지 못했고, 허락된 것은 농업 뿐이었다. 한국 정부는 전쟁 후 굶주린 인구를 먹여 살리기 위해 철원에서 강도 높은 쌀 농업 드라이브를 펼쳤다. 민통선 이북의 철원 평야는 이제 남한의 대표적인 미곡 생산 지역이다. 전국적으로도 유명한 오대쌀을 생산한다. 비무장지대의 습지와 민통선 이북의 논은 두루미에게 안전한 잠자리와 먹이터가 됐다. 두루미들은 비무장지대의 습지에서 잠을 자고, 아침이면 철원 평야로 나와 먹이를 찾고, 밤이면 다시 비무장지대로 돌아간다. 냉전으로 만들어진 ‘뜻밖의(accidental)’ 자연이 두루미를 부른 것이다.[3]

그리고 북한의 기근이 있었다. 국제두루미재단에 따르면 황해남도와 북한 강원도 안변에서는 1970년대부터 두루미가 월동하는 것이 확인됐다. 1990년대 동구권 붕괴는 북한 주민 뿐 아니라 두루미의 삶에도 영향을 미쳤다. 소련 붕괴는 북한 원조 중단으로 이어졌고, 특히 화학 비료 원조 중단으로 북한의 농업 생산량은 급격히 추락했다. 극심한 식량난 속에서 목숨을 연명하기 위해 뭐라도 먹어야 하던 이른바 ‘고난의 행군’(1994-2000)이 시작된 것이다. 풀뿌리와 나무 껍질까지 벗겨 먹었지만, 그러고도 백만 명 이상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두루미에게 돌아올 알곡 같은 것은 남아 있지 않았던 것이다. 북한을 탈출하는 주민들의 행렬과 함께 두루미도 북한을 떠났다. 그들 중 일부는 휴전선 너머 남한 철원에서 먹이터를 발견했다. 조류학자 이기섭은 “동구권 붕괴로 가장 큰 영향을 받은 것이 두루미”라며 철원에 온 두루미 상당수가 “탈북 두루미”라고 말한다.[4]

철원의 두루미 개체수는 빠르게 늘어났다. 정부가 두루미 월동 두루미 센서스를 시작한 1999년 철원평야의 두루미와 재두루미는 각각 372마리와 474마리였다.[5] 지난 2021년 겨울 철원을 찾은 두루미와 재두루미는 각각 1,126 마리와 5,330마리였다. 20여년 만에 각각 3배, 11배 늘어난 것이다. 전세계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절반 이상이 철원에서 월동한다.[6] 두 종 모두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의 적색 목록에 ‘취약종(VU)’으로 등재된 멸종위기종이다. 국내에서도 멸종위기 야생생물 각각 1급과 2급, 천연기념물(202호, 203호)로 지정돼 보호를 받고 있다.

박해
철원은 두루미를 환영하지 않았다. 민통선 이북에서 농사를 짓던 주민들이 두루미를 보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중반 무렵부터였다. 1990년대 초반부터는 철원군 북부의 중심지인 동송읍과 인근 지역 주민들이 두루미 탐조와 보호 활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바로 몇 년 뒤부터 두루미가 독극물을 먹고 죽었다는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했다. 두루미가 논에 뿌려진 농약을 먹고 거품을 문 채 논바닥에 머리를 처박고 죽어 있더라는 것이다. 주민이 몰고 가던 트럭에 두루미가 부딪쳐 죽기도 했다. 두루미 보호 활동을 펼치던 주민들도 위협을 받았다. 식당에서 뺨을 맞기도 하고, 누군가가 가게 창문에 총을 쏘고 지나가는 일도 있었다. 두루미 ‘박해’가 정점에 치달으면서 2000년엔 트랙터로 두루미 먹이터를 갈아엎는 사건까지 생겼다(Fig 2).
두루미는 왜 철원을 찾아오기 시작했을까. 식민지 개척과 전쟁, 냉전, 국가 주도 농업 산업화로 이어지는 철원의 변화 때문이었다.[2] 철원은 지난 100년 동안 한국 근대사의 한가운데를 관통했다. 일제 강점기 일본의 산미 증산 계획에 따라 쌀 농업 지대로 개발되었고, ‘철의 삼각지대’로 불리는 한국 전쟁 최고 격전지였으며, 지금은 군사 분계선이 철원군을 가로지른다. 철원군의 절반은 북한에, 절반은 남한에 남았다. 비무장지대와 남측 민통선 안팎이 예전의 철원읍 자리다. 시가지는 폭격과 전투로 폐허가 되었고, 건물의 잔해만 드문드문 남아 있다. 잔해 중 하나가 농민들이 트랙터를 몰고 모여 들었던 노동당사다. 노동당사에서 민통선 안으로 이어지는 도로는 지금은 비무장지대에 편입된 철원역으로 이어진다. 도로 옆으로 병원, 학교, 은행, 공장 같은 건물의 잔해가 남아 있다. 1930년대 만들어진 철원읍 시가지의 유산이다.

철원역은 풀숲에 덮인 채 흔적으로만 남아 있다. 1953년 휴전 협정에 따라 비무장지대는 ‘사람이 출입할 수 없는 지역(no-man’s land)’으로 남았다. 남북의 국경인 군사분계선을 중심으로 남측과 북측 각각 2km 씩이다. 남측 비무장지대는 한국 정부가 아니라 유엔사가 관할한다. 수색과 정찰 활동을 위해 군인만 출입할 뿐, 민간인은 들어갈 수 없다. 인간의 일상적 사회경제적 활동이 전면 중단된 지 수십 년. 비무장지대에 남겨진 철원의 마을과 논은 수풀과 습지로 바뀌었다. 같은 기간 비무장지대 남측 경계부터 민통선까지의 수 km 구간은 논으로 만들어졌다. 북한과 접경 지역이라 산업 설비가 들어서지 못했고, 허락된 것은 농업 뿐이었다. 한국 정부는 전쟁 후 굶주린 인구를 먹여 살리기 위해 철원에서 강도 높은 쌀 농업 드라이브를 펼쳤다. 민통선 이북의 철원 평야는 이제 남한의 대표적인 미곡 생산 지역이다. 전국적으로도 유명한 오대쌀을 생산한다. 비무장지대의 습지와 민통선 이북의 논은 두루미에게 안전한 잠자리와 먹이터가 됐다. 두루미들은 비무장지대의 습지에서 잠을 자고, 아침이면 철원 평야로 나와 먹이를 찾고, 밤이면 다시 비무장지대로 돌아간다. 냉전으로 만들어진 ‘뜻밖의(accidental)’ 자연이 두루미를 부른 것이다.[3]

그리고 북한의 기근이 있었다. 국제두루미재단에 따르면 황해남도와 북한 강원도 안변에서는 1970년대부터 두루미가 월동하는 것이 확인됐다. 1990년대 동구권 붕괴는 북한 주민 뿐 아니라 두루미의 삶에도 영향을 미쳤다. 소련 붕괴는 북한 원조 중단으로 이어졌고, 특히 화학 비료 원조 중단으로 북한의 농업 생산량은 급격히 추락했다. 극심한 식량난 속에서 목숨을 연명하기 위해 뭐라도 먹어야 하던 이른바 ‘고난의 행군’(1994-2000)이 시작된 것이다. 풀뿌리와 나무 껍질까지 벗겨 먹었지만, 그러고도 백만 명 이상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두루미에게 돌아올 알곡 같은 것은 남아 있지 않았던 것이다. 북한을 탈출하는 주민들의 행렬과 함께 두루미도 북한을 떠났다. 그들 중 일부는 휴전선 너머 남한 철원에서 먹이터를 발견했다. 조류학자 이기섭은 “동구권 붕괴로 가장 큰 영향을 받은 것이 두루미”라며 철원에 온 두루미 상당수가 “탈북 두루미”라고 말한다.[4]

철원의 두루미 개체수는 빠르게 늘어났다. 정부가 두루미 월동 두루미 센서스를 시작한 1999년 철원평야의 두루미와 재두루미는 각각 372마리와 474마리였다.[5] 지난 2021년 겨울 철원을 찾은 두루미와 재두루미는 각각 1,126 마리와 5,330마리였다. 20여년 만에 각각 3배, 11배 늘어난 것이다. 전세계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절반 이상이 철원에서 월동한다.[6] 두 종 모두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의 적색 목록에 ‘취약종(VU)’으로 등재된 멸종위기종이다. 국내에서도 멸종위기 야생생물 각각 1급과 2급, 천연기념물(202호, 203호)로 지정돼 보호를 받고 있다.

박해
철원은 두루미를 환영하지 않았다. 민통선 이북에서 농사를 짓던 주민들이 두루미를 보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중반 무렵부터였다. 1990년대 초반부터는 철원군 북부의 중심지인 동송읍과 인근 지역 주민들이 두루미 탐조와 보호 활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바로 몇 년 뒤부터 두루미가 독극물을 먹고 죽었다는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했다. 두루미가 논에 뿌려진 농약을 먹고 거품을 문 채 논바닥에 머리를 처박고 죽어 있더라는 것이다. 주민이 몰고 가던 트럭에 두루미가 부딪쳐 죽기도 했다. 두루미 보호 활동을 펼치던 주민들도 위협을 받았다. 식당에서 뺨을 맞기도 하고, 누군가가 가게 창문에 총을 쏘고 지나가는 일도 있었다. 두루미 ‘박해’가 정점에 치달으면서 2000년엔 트랙터로 두루미 먹이터를 갈아엎는 사건까지 생겼다(Fig 2).

Fig 2. Hankook Daily News, November 7, 2000. “Protection of Migratory Birds are in Danger”.
Fig 2. Hankook Daily News, November 7, 2000. “Protection of Migratory Birds are in Danger”.
Fig 2. 한국일보 2020년 11월 7일자 30면. “철원평야 철새보호 비상”
Fig 2. 한국일보 2020년 11월 7일자 30면. “철원평야 철새보호 비상”
Culturally speaking, cranes are one of the most loved birds in Korea. Although recently started to come to Cheorwon, cranes used to spend winter in many places across the Korean Peninsula. In traditional culture, crane is a symbol of longevity, constituting ship-jang-saeng–ten auspicious nonhumans that represent long life. Cranes were believed to live over a thousand year, and were ridden by the mountain gods. The noble class likened themselves to the cranes. For them, the snow-white body and the black wing feather of the cranes (red-crowned cranes more specifically) resemble their white clothes and black hats, while the lofty but loyal manner of the birds are very much like their own temperament. When a Korean delegation visits, Japanese diplomats paid extra caution not to inadvertently serve the crane meat, as the Korean noble class would consider this as disrespect and even insult for their crane-like appearance and characteristics. Farmers also had no reason to dislike the cranes. Cranes arrive in October after the harvest, and leave in March before rice seedling. They harm no crops, picking up the grains from the ground only. Then, why did the farmers of Cheorwon torment the cranes so much?

What they hated were not the cranes themselves, but the restrictions that the cranes might bring with. The presence of endangered species such as cranes would mean the possibility of designating the rice fields of Cheorwon, so-called Cheorwon Plain, as a Protected Area. The Korean Government did try to designate Cheorwon Plain as a natural reserve several times, including Natural Ecosystem Protection Area (1994), UNESCO Biosphere Reserve (1995), UNESCO Migratory Bird Park (1997), and a Ramsar Wetland (2010). A series of conservation schemes targeting Cheorwon CCZ reflect a series of changing political conditions in the 1990s, which includes the Korean détente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an increased attention to biodiversity conservation inspired by the Rio Summit, and the value of the DMZ and CCZ for ecosystem services and ecotourism.

However, every attempt of the government to introduce conservation schemes to Cheorwon sparked strong opposition from the farmers. Farmers have lived under the strict military control. They were terrified of the additional restrictions that the conservation schemes will bring. Residents of minbuk village, the villages strategically created in the CCZ in the 1960s and 70s, were treated as a paramilitary force. Like soldiers, they had the evening roll calls, built and maintained village arsenals, and received military training in case of surprise attack from North Korea. Those who lived outside but had their farmlands in the CCZ were also under the military control. They were stopped at the security checkpoint, and asked to present their farmers’ ID every time they went to their own farmlands. Farmers were even asked to wear the same colour clothes, and form small groups so that the soldiers can easily recognise the CCZ farmers. Even now, the times of sunrise and sunsets are clearly presented at the checkpoint, as the access to the CCZ is during the daytime only. Once the sun sets, farmers must get out of the CCZ whatever farming activities they were doing.

It was these farmers in and around the CCZ who transformed the war-torn lands of Cheorwon into fertile rice fields. Some lost their arms and legs, and even their own lives in landmine explosion during the reclamation processes. Farmers were in a hurry all the time because their farming activities can be disrupted at any time. In addition to the limited working hours in the CCZ, the checkpoint was sometimes closed for days and even a week when the North-South tensions are on the rise. For this reasons, agricultural machines were introduced to Cheorwon as early as the late 1960s. Because of the use of the combine harvester in small and patchy paddies, the proportion of the grains remained on the ground after harvest is fairly high in Cheorwon at 3%. This means a total of 2,400 ton of rice becomes available in Cheorwon Plain over the winter. Machine-assisted farming in this regard inadvertently produces food resources for the cranes.

Song Soo-Kwon (pseudonym), a local farmer and crane activist in his 70s said: “Farmers of Cheorwon have lived their entire life in a world governed by the soldiers. Designating Cheorwon as protected area, even such a notion suddenly clouds our mind.”[7] There were rumours that once being designated as a Protected Area, farmers cannot do anything with the rice fields, such as levelling the ridges between rice paddies. They were already tied up with military-related restrictions, for which they even cannot build a shed in their own farmland without the permission from the military. That’s why the farmers poisoned the cranes, destroyed their habitats, and ploughed up the rice fields. They did not dislike the cranes per se. What they could not bear with was the state-led restrictions. As one farmer told me, “we were already sick of the control of the CCZ, and couldn’t put up with the idea of putting our farmland under control.”[8] In the case of 2000, what the government tried was to modify the geographical range of the crane habitat, already designated as the Natural Monument in 1973, to better reflect on the current use of the lands by the cranes. It was not intended to expand the protected area. Still, farmers desperately objected to the plan, which turned out successful. Despite numerous attempts by the conservation departments of the government, no piece of land of Cheorwon except for the already existing Natural Monument has been designated as a Protected Area.

Hospitality
In the wintry morning, February 18, 2021, Kim Yong-Tae (pseudonym), a farmer working in the CCZ, hung a grain sack on his tractor. “It’s almost the time [for the cranes] to leave. They have a long journey ahead, so shouldn’t be hungry.” He drove his tractor toward the paddy fields. The ground was slightly bumpy as the soils underneath started to thaw. Spring is coming. As the tractor reached in the middle of the paddy field, Oh Kyu-Won (pseudonym), another farmer, loosened the straps of the sack. Grains were poured in a cloud of dust, and scattered over the field. With the sack being opened, Kim Yong-Tae drove his tractor to every corner of the paddy fields. This was their third time of feeding the cranes this winter (Fig 3). They provided two tons of cheong-chi, an imperfect grain of rice today. Cheong-chi may not be good enough for the rice market, but can be a good food for the birds as it contains grains of rice. Cranes are omnivores. They catch freshwater snails and small fish in the waterways of rice fields, and pluck up grains from dry paddy fields. They eat corns, adlay, and the roots of plants. But the cranes of Cheorwon, like the farmers, eat rice.
두루미는 한국인이 사랑하는 새다. 철원에는 최근에야 찾아왔지만, 전국 곳곳에 두루미 월동지가 있었다. 전통 문화에서 두루미는 십장생의 하나로 길하게 여겨졌다. 천년을 사는 새, 신선들이 타고 다니는 새였다. 조선의 선비들은 두루미를 자신들과 동일시했다. 몸이 희고 날개 끝이 검은 모습이 흰 한복을 입고 검은 갓을 쓰고 다니는 자신들과 닮았고, 외롭지만 고고한 생활 습성이 자신들의 기질과 닮았다고 여겼기 때문이었다. 일본에서는 조선에서 통신사가 오면 실수로라도 두루미 고기를 접대하지 않도록 주의했다. 조선 선비들은 두루미를 자신들과 동일시하기 때문에 두루미 고기를 대접하는 것은 외교적 결례였기 때문이었다. 농민들도 두루미를 싫어할 이유가 없었다. 두루미는 벼 수확이 끝난 10월에 찾아와 이듬해 농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인 2-3월에 떠난다. 논바닥에 남아 있는 이삭을 주워 먹을 뿐, 농작물을 훼손하지도 않았다. 그런데도 철원 농민들은 왜 그렇게 두루미를 괴롭혔을까.

두루미가 불러 올 규제 때문이었다. 멸종위기종의 존재는 철원 평야가 자연 보전 지역으로 지정될 가능성을 의미했다. 실제로 정부는 1994년 자연생태계 보전지역을 시작으로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1995년), 유네스코 철새 공원 (1997년), 람사르 습지 (2010년) 등 수차례에 걸쳐 철원평야 일대를 자연 보전 지역으로 지정하려는 시도를 해 왔다. 냉전 종식과 함께 남북간의 긴장이 누그러지기 시작했고, 1992년 리우 회담을 계기로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철원 평야를 포함한 민통선 이북 생태계의 보전적 가치가 새롭게 주목받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나 정부의 보전 지역 지정 시도는 번번이 철원 농민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쳤다. 민통선 이북 지역에서 살거나 농사를 지으면서 평생을 군사 규제 속에서 살아온 철원 농민들은 자연 보전 지역 지정이 가져올 새로운 규제에 몸서리를 쳤다. 민통선 이북의 ‘민북 마을’ 주민들은 매일 저녁 군인처럼 점호를 받았다. 북한의 습격에 대비해 군사 훈련을 받고, 마을에 무기고도 만들어 관리해야 했다. 내 집과 농토가 거기 있어도, 민통선 이북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매번 초소에서 출입증을 내밀고 검문을 받아야 했다. 지금도 초소에는 일출 시간과 일몰 시간이 적혀 있다. 일출부터 일몰까지만 출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민통선 밖에 살면서 민통선 이북에서 농사를 짓는 ‘출입 영농인’들은 거름을 주다가도 해가 지면 나와야 한다. 남북간의 긴장이 높아지면 며칠이고 출입이 중단돼 발을 동동 구르기도 일쑤다. 과거엔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군부대에서 정해준 색깔의 옷을 입고, 군부대에서 정한 숫자만큼 모여야 비로소 출입할 수 있었다는 거짓말 같은 이야기도 있다.

이들 출입 영농민과 민북마을 주민들은 전쟁으로 폐허가 된 철원의 땅을 일궈 비옥한 벼농사 지대로 바꿔냈다. 개간 도중 지뢰가 터져 목숨을 잃거나, 팔과 다리를 잃은 이들도 적지 않았다. 불안정한 남북 관계 속에서 언제 출입이 중단될 지 모르기 때문에 농민들은 언제나 서둘러야 했다. 그래서 철원에는 일찌감치 농기계가 도입됐다. 1968년 대마리 민북마을 입주 사진에는 트랙터가 함께 찍혀 있다. 마을 공용으로 트랙터 열 대가 지원됐기 때문이다. 일찍부터 콤바인을 이용해 수확하면서 철원은 알곡이 논바닥에 남아있는 낙곡낙실율이 높았다. 지금도 낙곡낙실율이 3%대로, 철원 평야 전체로 치면 2400톤에 이른다. 기계 농업의 부산물이 두루미의 주된 먹이원이 되는 것이다.

철원 농민이자 두루미 보호 운동가인 송수권(가명)은 말했다. “철원 농민은 태어나서부터 지금까지 개패를 달고 군인이 주도하는 세상을 살아왔고, 과거에는 군인에게 끌려가서 ‘빳따’도 맞았습니다. 또 [보호지역으로] 지정하면 우리 군민은 앞이 캄캄한 거에요.”[7] 보호지역으로 지정되면 논두렁을 높이거나 낮출 수도 없고, 풀 한 포기도 못 건드린다고 소문이 났다. 이미 창고 하나 마음대로 지을 수 없는 곳이었다. 농민들은 두루미를 죽이고, 서식지를 훼손하고, 먹이터를 갈아엎었다. 두루미가 미워서가 아니었다. “전방의 통제라는 것에 대해서 이미 질정[진력]이 나 있는데, 그 안에 있는 논을 통제한다고 나온 것”[8]을 참을 수 없었던 것이다. 트랙터로 논을 갈아엎은 2000년의 경우엔 새로 보호 지역을 지정하는 것도 아니었다. 철원평야 일부가 이미 1973년 천연기념물 철새도래지로 지정돼 있었는데, 실제 두루미가 많이 오는 곳을 반영해 구역을 변경하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주민들은 ‘결사적’으로 반대했다. 그리고 ‘막아냈다’. 지금도 철원 평야는 기존의 천연기념물 지역을 제외하면 어떤 자연 보전 지역으로도 지정돼 있지 않다.

환대
2021년 2월의 쌀쌀한 아침. 철원 농민 김영태(가명)는 트랙터에 알곡 포대를 매달았다. “이제 슬슬 올라갈 때가 됐으니까, 먼 길 가야 되니까 배부르게 먹고 가라고.” 그는 트랙터를 몰고 천천히 논으로 들어갔다. 겨우내 얼었던 논바닥이 녹기 시작했는지, 그의 트랙터가 잠깐 넘어질 듯 기우뚱거렸다. 트랙터가 논 한가운데로 들어서자 오규원(가명)이 포대 자루의 끈을 풀어 느슨하게 했다. 먼지가 연기처럼 날리면서 알곡이 바닥으로 흩어졌다. 김영태는 포대 자루를 매단 채로 트랙터를 논 구석 구석으로 몰았다. 올해 세 번째 두루미 먹이 주기다(Fig 3). 오늘 뿌려주는 것은 2톤. 벼 이삭의 일종인 청치를 뿌려준다. 가공해 시장에 내기엔 상품성이 떨어지지만, 쌀알이 들어 있어 동물 먹이로 줄 수 있다. 두루미는 잡식성이다. 논의 수로에서는 왕구슬우렁이와 물고기를 잡아 먹고, 논바닥에서는 알곡을 주워 먹는다. 옥수수, 율무, 새섬매자기 뿌리를 먹는 두루미들도 있지만, 철원의 두루미는 쌀이 주식이다. 농부도 쌀을 먹고, 두루미도 쌀을 먹는다.
두루미는 한국인이 사랑하는 새다. 철원에는 최근에야 찾아왔지만, 전국 곳곳에 두루미 월동지가 있었다. 전통 문화에서 두루미는 십장생의 하나로 길하게 여겨졌다. 천년을 사는 새, 신선들이 타고 다니는 새였다. 조선의 선비들은 두루미를 자신들과 동일시했다. 몸이 희고 날개 끝이 검은 모습이 흰 한복을 입고 검은 갓을 쓰고 다니는 자신들과 닮았고, 외롭지만 고고한 생활 습성이 자신들의 기질과 닮았다고 여겼기 때문이었다. 일본에서는 조선에서 통신사가 오면 실수로라도 두루미 고기를 접대하지 않도록 주의했다. 조선 선비들은 두루미를 자신들과 동일시하기 때문에 두루미 고기를 대접하는 것은 외교적 결례였기 때문이었다. 농민들도 두루미를 싫어할 이유가 없었다. 두루미는 벼 수확이 끝난 10월에 찾아와 이듬해 농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인 2-3월에 떠난다. 논바닥에 남아 있는 이삭을 주워 먹을 뿐, 농작물을 훼손하지도 않았다. 그런데도 철원 농민들은 왜 그렇게 두루미를 괴롭혔을까.

두루미가 불러 올 규제 때문이었다. 멸종위기종의 존재는 철원 평야가 자연 보전 지역으로 지정될 가능성을 의미했다. 실제로 정부는 1994년 자연생태계 보전지역을 시작으로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1995년), 유네스코 철새 공원 (1997년), 람사르 습지 (2010년) 등 수차례에 걸쳐 철원평야 일대를 자연 보전 지역으로 지정하려는 시도를 해 왔다. 냉전 종식과 함께 남북간의 긴장이 누그러지기 시작했고, 1992년 리우 회담을 계기로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철원 평야를 포함한 민통선 이북 생태계의 보전적 가치가 새롭게 주목받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나 정부의 보전 지역 지정 시도는 번번이 철원 농민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쳤다. 민통선 이북 지역에서 살거나 농사를 지으면서 평생을 군사 규제 속에서 살아온 철원 농민들은 자연 보전 지역 지정이 가져올 새로운 규제에 몸서리를 쳤다. 민통선 이북의 ‘민북 마을’ 주민들은 매일 저녁 군인처럼 점호를 받았다. 북한의 습격에 대비해 군사 훈련을 받고, 마을에 무기고도 만들어 관리해야 했다. 내 집과 농토가 거기 있어도, 민통선 이북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매번 초소에서 출입증을 내밀고 검문을 받아야 했다. 지금도 초소에는 일출 시간과 일몰 시간이 적혀 있다. 일출부터 일몰까지만 출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민통선 밖에 살면서 민통선 이북에서 농사를 짓는 ‘출입 영농인’들은 거름을 주다가도 해가 지면 나와야 한다. 남북간의 긴장이 높아지면 며칠이고 출입이 중단돼 발을 동동 구르기도 일쑤다. 과거엔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군부대에서 정해준 색깔의 옷을 입고, 군부대에서 정한 숫자만큼 모여야 비로소 출입할 수 있었다는 거짓말 같은 이야기도 있다.

이들 출입 영농민과 민북마을 주민들은 전쟁으로 폐허가 된 철원의 땅을 일궈 비옥한 벼농사 지대로 바꿔냈다. 개간 도중 지뢰가 터져 목숨을 잃거나, 팔과 다리를 잃은 이들도 적지 않았다. 불안정한 남북 관계 속에서 언제 출입이 중단될 지 모르기 때문에 농민들은 언제나 서둘러야 했다. 그래서 철원에는 일찌감치 농기계가 도입됐다. 1968년 대마리 민북마을 입주 사진에는 트랙터가 함께 찍혀 있다. 마을 공용으로 트랙터 열 대가 지원됐기 때문이다. 일찍부터 콤바인을 이용해 수확하면서 철원은 알곡이 논바닥에 남아있는 낙곡낙실율이 높았다. 지금도 낙곡낙실율이 3%대로, 철원 평야 전체로 치면 2400톤에 이른다. 기계 농업의 부산물이 두루미의 주된 먹이원이 되는 것이다.

철원 농민이자 두루미 보호 운동가인 송수권(가명)은 말했다. “철원 농민은 태어나서부터 지금까지 개패를 달고 군인이 주도하는 세상을 살아왔고, 과거에는 군인에게 끌려가서 ‘빳따’도 맞았습니다. 또 [보호지역으로] 지정하면 우리 군민은 앞이 캄캄한 거에요.”[7] 보호지역으로 지정되면 논두렁을 높이거나 낮출 수도 없고, 풀 한 포기도 못 건드린다고 소문이 났다. 이미 창고 하나 마음대로 지을 수 없는 곳이었다. 농민들은 두루미를 죽이고, 서식지를 훼손하고, 먹이터를 갈아엎었다. 두루미가 미워서가 아니었다. “전방의 통제라는 것에 대해서 이미 질정[진력]이 나 있는데, 그 안에 있는 논을 통제한다고 나온 것”[8]을 참을 수 없었던 것이다. 트랙터로 논을 갈아엎은 2000년의 경우엔 새로 보호 지역을 지정하는 것도 아니었다. 철원평야 일부가 이미 1973년 천연기념물 철새도래지로 지정돼 있었는데, 실제 두루미가 많이 오는 곳을 반영해 구역을 변경하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주민들은 ‘결사적’으로 반대했다. 그리고 ‘막아냈다’. 지금도 철원 평야는 기존의 천연기념물 지역을 제외하면 어떤 자연 보전 지역으로도 지정돼 있지 않다.

환대
2021년 2월의 쌀쌀한 아침. 철원 농민 김영태(가명)는 트랙터에 알곡 포대를 매달았다. “이제 슬슬 올라갈 때가 됐으니까, 먼 길 가야 되니까 배부르게 먹고 가라고.” 그는 트랙터를 몰고 천천히 논으로 들어갔다. 겨우내 얼었던 논바닥이 녹기 시작했는지, 그의 트랙터가 잠깐 넘어질 듯 기우뚱거렸다. 트랙터가 논 한가운데로 들어서자 오규원(가명)이 포대 자루의 끈을 풀어 느슨하게 했다. 먼지가 연기처럼 날리면서 알곡이 바닥으로 흩어졌다. 김영태는 포대 자루를 매단 채로 트랙터를 논 구석 구석으로 몰았다. 올해 세 번째 두루미 먹이 주기다(Fig 3). 오늘 뿌려주는 것은 2톤. 벼 이삭의 일종인 청치를 뿌려준다. 가공해 시장에 내기엔 상품성이 떨어지지만, 쌀알이 들어 있어 동물 먹이로 줄 수 있다. 두루미는 잡식성이다. 논의 수로에서는 왕구슬우렁이와 물고기를 잡아 먹고, 논바닥에서는 알곡을 주워 먹는다. 옥수수, 율무, 새섬매자기 뿌리를 먹는 두루미들도 있지만, 철원의 두루미는 쌀이 주식이다. 농부도 쌀을 먹고, 두루미도 쌀을 먹는다.
Fig 3. Crane feeding (Photo: author)
Fig 3. Crane feeding (Photo: author)
Fig 3. 두루미 먹이주기 (사진: 저자)
Fig 3. 두루미 먹이주기 (사진: 저자)
Kim Yong-Tae has been providing food for the cranes for several years. He feeds the birds only at certain occasions, rather than all the time, such as when the cranes might have difficulties in finding food due to heavy snow, or shortage of leftover grains. He also feeds them when the cranes start to prepare their journey back to Siberia. On a very cold winter day, a few years ago, he happened to watch a crane trying to dig into the frozen paddy field. He told me, “The poor thing was trying really hard to find food with her claws nearly coming off. It was pitiful”.[9] In addition to feeding, he waters his rice fields after harvest as a way of creating resting places for the cranes. Cranes sleep in shallow water no deeper than 30 cm. The flooded paddy field is an excellent roosting place. They sleep in the flooded paddy fields in the CCZ, and move to safer places of the DMZ in mid-December when the wetlands are frozen enough to sleep on.

Kim Yong-Tae is not the only farmer who looks after the cranes. Every winter, more than a dozen of crane feeding is carried out by farmers and conservationists. A total of 30 ha of CCZ paddy fields were flooded last year (2020–2021) to provide roosting places for the cranes. In addition, nearly 800 ha of paddy fields kept the straws within the fields. After harvest, farmers usually collect rice straws and sell them to animal farms as pig food. When left in the rice fields, however, the straws protect the grains left in the fields until the cranes come to eat. Cranes do appear to prefer straw-covered rice fields. Straw keeping in this sense is viewed as an environmental practice, and is subsidised by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through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s schemes. The PES budget for rice straw keeping in Cheorwon recently increased, and will cover 4,400 ha from the coming winter, which accounts for more than half of the entire CCZ rice fields (7,700 ha).

Over the past 20 years, the number of farmers and residents caring about the cranes has dramatically increased. There are now three grassroot organisations concerned with crane conservation, in addition to a crane feeding station and a ‘crane school’ that offers crane-related educational programmes. Residents formed an association of local groups for the protection and ‘wise use’ of the cranes, called Crane Association. This collective body includes local crane conservation organisations, operators of crane-related facilitators, representatives of crane-arriving villages, and Cheorwon Farmer’s Association. The County Government of Cheorwon is also active in promoting the cranes. They opened a crane exhibition hall, called ‘DMZ Peace Town for Migratory Birds’, in 2016, and a crane observatory overlooking crane roosting areas in Hantan River. The County Government opened ‘International Crane Centre’ last year, and recently added a specific division in charge of crane conservation and tourism to the administration structure of the County Government. With the financial support from the County Government, local residents conduct monthly crane monitoring over the winter. There is a monthly crane census by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but the community-based crane monitoring is carried out anyway to produce local knowledge on the cranes and their changing populations. Once setting a foot in Cheorwon County, one will see crane-themed artefacts everywhere. Crane images are displayed in tourist attractions, public buildings, bus stops, rice bags, and the pass to the CCZ issued by the military. Even at the biosecurity checkpoint, which is set up to stop the spread livestock disease, a cheerfully saluting crane sculpture stops vehicles for a mandatory check (Fig 4).
민통선 이북에서 농사를 짓는 김영태는 몇 년 전부터 두루미에게 먹이를 주고 있다. 늘 주는 것은 아니고, 겨울이 깊어져 논바닥의 알곡이 바닥날 때, 눈이 너무 많이 내려 알곡을 찾기가 힘들 때, 또 지금처럼 두루미가 시베리아로 올라가기 직전에 준다. 그는 어느 겨울 두루미가 얼어붙은 논바닥을 헤집으며 먹이를 찾는 것을 우연히 보고, “발톱이 빠지도록 먹이를 찾고 있는 게 안쓰러워서” 먹이를 주기 시작했다.[9] 4년 전부터는 수확을 끝낸 논에 물을 채워 두루미 쉼터도 만들어주고 있다. 두루미는 수심 20-30cm의 얕은 물에서 잠을 잔다. 물을 채운 ‘무논’은 두루미들이 선호하는 잠자리다. 철원을 찾는 두루미들은 철원 평야의 무논에서 잠을 자다, 비무장지대의 습지가 적당히 얼어 붙는 12월 중순이 되면 보다 안전한 비무장지대로 잠자리를 옮긴다.

두루미를 돌보는 농부는 김영태만이 아니다. 두루미 먹이 주기는 겨울 동안 십 수 차례 이뤄진다. 지난 겨울(2020-2021) 철원 평야에는 모두 30 ha의 무논이 만들어졌다. 수확이 끝난 뒤 볏짚을 논에 남겨두는 ‘볏짚 존치’도 800ha에서 이뤄졌다. 농부들은 수확 후 볏짚을 거둬 축산 농가에 동물 먹이로 판매해 왔다. 그러나 볏짚을 논에 남겨두면 논바닥에 떨어진 알곡을 보호하고, 볏단에 남아 있던 알곡이 떨어져 두루미의 먹이가 된다. 실제로 두루미들은 볏짚을 존치한 논에서 더 많이 발견된다. 볏짚 존치는 생태계서비스지불제(payment for ecosystem services) 사업을 통해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다. 볏짚 존치의 두루미 보전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예산도 크게 늘었다. 2022년 겨울부터는 4400ha에서 볏짚 존치를 실시할 수 있게 됐다. 철원 평야(7700ha) 전체의 절반을 넘는 규모다.

20년 전만 해도 한 줌에 불과했는데, 두루미를 돕는 농부와 주민들은 크게 늘어났다.철원에는 ‘두루미’를 전면에 내 건 지역 기반 보호 단체가 3곳에 이른다.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두루미 학교’와 두루미 먹이를 주는 ‘두루미 곳간’도 있다. 두루미 보호와 ‘현명한 이용’을 위한 지역 주민 기반 협의체도 만들어졌다. 지역 두루미 보호 단체들, 두루미 관련 시설, 두루미가 찾아오는 마을과 농민회까지 함께 하는 큰 기구다. 철원군도 적극적이다. 두루미 전시관과 탐조 시설을 2016년 개관했고, 지난해에는 ‘국제 두루미 센터’도 지었다. 올해는 군청 조직에 두루미를 전담하는 ‘DMZ두루미관광’계도 신설했다. 겨울에는 철원군의 지원을 받아 주민들이 매달 두루미 개체 수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정부의 철새 센서스와 별도로 주민들이 직접 두루미 지식을 생산하는 작업이다. 군의 경계를 넘어 철원으로 진입하면 도처에 두루미 조형물과 이미지가 보인다. 관광 명소에도, 관공서 건물에도, 버스 정류장에도, 철원 오대쌀 포대와 군부대의 민통선 출입증에도 두루미가 그려져 있다. 심지어 가축전염병 방역 체크 포인트에서 차량을 멈추는 것도 거수 경례를 하는 두루미 조형물이다(Fig 4).
민통선 이북에서 농사를 짓는 김영태는 몇 년 전부터 두루미에게 먹이를 주고 있다. 늘 주는 것은 아니고, 겨울이 깊어져 논바닥의 알곡이 바닥날 때, 눈이 너무 많이 내려 알곡을 찾기가 힘들 때, 또 지금처럼 두루미가 시베리아로 올라가기 직전에 준다. 그는 어느 겨울 두루미가 얼어붙은 논바닥을 헤집으며 먹이를 찾는 것을 우연히 보고, “발톱이 빠지도록 먹이를 찾고 있는 게 안쓰러워서” 먹이를 주기 시작했다.[9] 4년 전부터는 수확을 끝낸 논에 물을 채워 두루미 쉼터도 만들어주고 있다. 두루미는 수심 20-30cm의 얕은 물에서 잠을 잔다. 물을 채운 ‘무논’은 두루미들이 선호하는 잠자리다. 철원을 찾는 두루미들은 철원 평야의 무논에서 잠을 자다, 비무장지대의 습지가 적당히 얼어 붙는 12월 중순이 되면 보다 안전한 비무장지대로 잠자리를 옮긴다.

두루미를 돌보는 농부는 김영태만이 아니다. 두루미 먹이 주기는 겨울 동안 십 수 차례 이뤄진다. 지난 겨울(2020-2021) 철원 평야에는 모두 30 ha의 무논이 만들어졌다. 수확이 끝난 뒤 볏짚을 논에 남겨두는 ‘볏짚 존치’도 800ha에서 이뤄졌다. 농부들은 수확 후 볏짚을 거둬 축산 농가에 동물 먹이로 판매해 왔다. 그러나 볏짚을 논에 남겨두면 논바닥에 떨어진 알곡을 보호하고, 볏단에 남아 있던 알곡이 떨어져 두루미의 먹이가 된다. 실제로 두루미들은 볏짚을 존치한 논에서 더 많이 발견된다. 볏짚 존치는 생태계서비스지불제(payment for ecosystem services) 사업을 통해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다. 볏짚 존치의 두루미 보전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예산도 크게 늘었다. 2022년 겨울부터는 4400ha에서 볏짚 존치를 실시할 수 있게 됐다. 철원 평야(7700ha) 전체의 절반을 넘는 규모다.

20년 전만 해도 한 줌에 불과했는데, 두루미를 돕는 농부와 주민들은 크게 늘어났다.철원에는 ‘두루미’를 전면에 내 건 지역 기반 보호 단체가 3곳에 이른다.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두루미 학교’와 두루미 먹이를 주는 ‘두루미 곳간’도 있다. 두루미 보호와 ‘현명한 이용’을 위한 지역 주민 기반 협의체도 만들어졌다. 지역 두루미 보호 단체들, 두루미 관련 시설, 두루미가 찾아오는 마을과 농민회까지 함께 하는 큰 기구다. 철원군도 적극적이다. 두루미 전시관과 탐조 시설을 2016년 개관했고, 지난해에는 ‘국제 두루미 센터’도 지었다. 올해는 군청 조직에 두루미를 전담하는 ‘DMZ두루미관광’계도 신설했다. 겨울에는 철원군의 지원을 받아 주민들이 매달 두루미 개체 수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정부의 철새 센서스와 별도로 주민들이 직접 두루미 지식을 생산하는 작업이다. 군의 경계를 넘어 철원으로 진입하면 도처에 두루미 조형물과 이미지가 보인다. 관광 명소에도, 관공서 건물에도, 버스 정류장에도, 철원 오대쌀 포대와 군부대의 민통선 출입증에도 두루미가 그려져 있다. 심지어 가축전염병 방역 체크 포인트에서 차량을 멈추는 것도 거수 경례를 하는 두루미 조형물이다(Fig 4).
Fig 4. The crane sculpture at the biosecurity checkpoint (Photo: author)
Fig 4. The crane sculpture at the biosecurity checkpoint (Photo: author)
Fig 4. 가축전염병 방역 체크포인트의 두루미 조형물 (사진: 저자)
Fig 4. 가축전염병 방역 체크포인트의 두루미 조형물 (사진: 저자)
Everyone talks about cranes. However, it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y share the same dream. Crane conservation could mean different things to different people. For radical conservationists, no crane should be harmed from the activities of humans or otherwise. For economically concerned residents, cranes are precious resources for tourism to revitalise run-down local economy. Different dreams compete and sometimes clash. In 2012, crane-concerned local groups quarrelled over the issue of hosting the ice fishing festival at Togyo Reservoir, where migratory birds including cranes come to roost. A few years later, they were split over the construction of a crane observatory in Hantan River. Recently, there has been a talk of the possibility of ‘making cranes as resident birds’. Several advocates argue that the seasonality of the cranes, only available in winter, limits crane tourism to winter activities. If cranes can be domesticated through artificial incubation, as they argue, the potential of crane tourism can be fully exploited all year around. This ‘ambitious’ proposal is viewed “absolutely unacceptable” by many residents. For them, what should be prioritise is a good management of already existing habitats, rather than domesticating wild birds, so that the cranes can come naturally.

Shared vulnerability
The relationship between farmers and cranes in Cheorwon has dramatically changed over the past 20 years. Why? What related farmers to cranes? First of all, it could be the increased value of the cranes. For hundreds of years, cranes neither harmed the crops nor did good for the farmers. Things now changed. With the rise of ecotourism in Korea since the late 2000s, cranes have become invaluable source of Cheorwon’s tourism. They have also become the symbol of Cheorwon, and employed for place-based marketing, which provides added-value to locally-produced agricultural products. The local brand of Cheorwon is ‘Duru-Well’, after ‘Durumi [cranes in Korean]’ and ‘well-being’. Furthermore, farmers’ perceptions of the cranes substantially changed. With the rapid increase in crane population, combined with the enhanced cultural and ecological interests in the cranes in the broader Korean society, farmers came to encounter the cranes more frequently in their farmlands in the CCZ. They started to notice the sheer size of the birds–as big as an adult human–graceful manouvers, family-oriented lifestyles, and the admirable journey back and forth between Korea and Siberia. Through their embodied and affective encounters with cranes, farmers seem to have developed a sort of ‘attachment’ to the birds that come to their farmlands every year. Farmers do talk about the economic value of the cranes when asked why. At the same time, they look after the cranes because they are beautiful, sometimes pitiful, and always living creatures. Then there is something more.

Perhaps it is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lives of cranes and farmers, both of which rely on rice, are in peril. Nearly 30-years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the days are now passed when the state controlled, managed, and even nurtured the people and nature. After putting up fences between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and the Civilian Control Line, the South Korean state recruited labourers from all over the country, and meticulously manipulated their everyday lives to cultivate rice in the midst of geopolitical tensions. The sovereign control of the state inadvertently attracted cranes and protected them. The rule of the developmental and Cold War state is now over. We are living with the socio-ecological crisis of the Anthropocene. Under the rapidly changing political, economic, and ecological conditions, life of the humans and nonhumans are extremely precarious.[10] The CCL, which was viewed almost permanent, is now being lifted due to the improvement of inter-Korea relations as well as the local pressure for development. Since the CCL is being retreated northwards, the number of minbuk villages in the CCZ is now decreased from over 100 to six. Rice farming, which had been feeding Koreans for a long time, is at the verge of collapse. Climate change and extreme weather events increase the uncertainty to agricultural and everyday life.

The future of rice farming is bleak. The changes in Korean diet, globalisation of agriculture, and population decrease together led to overproduction of rice, which sharply dropped its price. Even if they produce Odae rice, one of the best and most expensive breeds in the country, farmers of Cheorwon cannot avoid imminent demise of rice farming. The government encourages rice farmers to switch to more profitable crops, such as greenhouse vegetables or smart farms. The number of greenhouses in Cheorwon has recently increased. Still, few farmers can afford the facilities for greenhouses and smart farms. Many farmers instead invest their hope in the lift of the CCL, which may allow them to pursue a more lucrative industry than rice farming. When Yangji-ri, one of the minbuk villages in Cheorwon, was released from the CCZ in 2012, however, what replaced the rice farms were animal farms. A sharp increase of poultry farms puts Cheorwon under the risk of avian influenza, which now takes place almost every winter. It is not impossible that the virus spreads from domesticated birds over to the wild ones, including cranes. As much as rice farmers, the future of the cranes is also pretty grim. Rice fields in the CCZ have been gradually encroached. Should the rice fields be removed, cranes will lose their feeding grounds. Yangji-ri used to be called ‘the village of migratory birds’ because of plenty of cranes. Few cranes now come to Yangji-ri. The paddy fields covered with the cranes are now filled with pig and chicken farms.

Kim Kwang-Kyu (pseudonym), a member of Cheorwon Farmer’s Association, said, “farmers and cranes have become alike”. Once the CCL is lifted, the cranes will lose their habitats, so will the farmers. Under the shared ecological and social crisis associated with rice farming, the lives of farmers are as vulnerable as those of cranes. Their lives are entangled. Then, this could mean that if cranes live, farmers can live, too. Kim Kwang-Kyu was one of the farmers who led the tractor protest back in 2000. He now floods his rice fields after harvest to create roosting places. He also participates in feeding and other conservation activities. Cheorwon Farmer’s Association joined the local Crane Association since 2016 because, as Kim said, “protecting cranes is to protect farmers”. If cranes live, farmers can live. If farmers live, cranes can live as well.

These farmers try to find the grounds to keep rice farming from the cranes’ use of the rice fields. Rice fields nurtures the lives of humans but the cranes too. Perhaps more than that. In the paddy fields, not just the cranes but water snails, small fish, and beetles also live. Farmers’ pro-crane activities, such as keeping rice straws within the paddies, and flooding the paddies after harvest, creates the space for the large and small creatures can make a life.[11] For a long time, rice fields of Cheorwon served as ‘rice factories’ where agricultural machines and chemicals are actively deployed to produce more rice. The arrival of the cranes, and farmer’s hospitality toward the birds suggest that rice fields can be transformed from ‘the space of production’ to ‘the space of life’ where the lives of humans and nonhumans are nurtured. In this regard, rice fields can support biodiversity. The conservation value of rice fields could offer one of the reasons to maintain rice farming. By attending to, and responding to, the cranes in their paddy fields, farmers of Cheorwon try to create the futures not just for the farmers, but cranes, and other aquatic creatures as well.[12] Amid the existential threat of the Anthropocene, these multispecies community seem to experiment “collaborative survival”[13] for all.

I would like to end this essay with the story how farmers managed to attune their rice seedling season to migratory birds. Cranes leave in late March at the latest, but greater white-fronted geese tend to stay until early April. In the mid-2000s these geese gave farmers headache as they started to pluck out and ate the seedlings from freshly planted rice paddies.
모두가 두루미를 이야기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같은 꿈을 꾸는 것은 아니다. 한 마리의 두루미도 다치지 않도록 보호하자는 논의부터 두루미를 관광 자원으로 활용해 지역 경제를 살려야 한다는 이야기까지 두루미 논의의 스펙트럼은 드넓다. 상이한 꿈들은 경합하고 때로 충돌한다. 지역 두루미 보호 단체들은 2012년 철새가 찾아오는 토교 저수지에서 얼음 낚시 축제를 여는 문제로 반목했고, 몇 해 뒤엔 한탄강 두루미 잠자리에 두루미 탐조 시설을 설치하는 문제로 부딪쳤다. 최근엔 두루미 ‘텃새화’ 이야기가 나온다. 두루미가 겨울철에만 찾아와 관광 산업에 제약이 있으니, 두루미를 철원에서 인공 번식해서 길러 4계절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자는 것이다. 한 두루미 보호 단체에서 조심스럽게 나온 이 제안에, 다른 단체들은 “용인할 수 없는 일”이라며 펄쩍 뛴다. 야생동물을 붙잡아 기를 게 아니라, 이미 있는 서식지를 잘 관리해 자연스럽게 찾아오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취약성의 공유
지난 20여년 동안 철원 농민과 두루미의 관계는 극적으로 변화했다. 무엇이었을까, 농민들을 두루미에 접속시킨 것은. 우선, 피해는 주지 않지만 그렇다고 도움도 되지 않던 두루미가 경제적 가치를 갖게 됐다는 사실이 있다. 생태관광이 활발해지면서 두루미는 관광 자원이 됐고, 지역과 특산품 마스코트로 활용되면서 농산물 가치를 높여왔다. 철원 농특산물 브랜드 ‘두루웰’은 ‘두루미’와 ‘웰빙’에서 따 온 이름이다. 나아가, 농부의 두루미에 대한 생각이 빠르게 바뀌었다. 두루미 개체수가 늘어나고 두루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면서 민통선에서 농사를 짓는 농부들이 두루미와 직접 대면(encounter)할 기회가 늘어났다. 이들은 두루미가 사람만큼이나 크고, 우아하게 몸짓하고, 가족을 이뤄 생활하고, 매년 시베리아와 한국을 오가는 놀라운 새임을 알게 됐다. 오랜 시간에 걸쳐 두루미와 신체적, 정서적으로 대면하며 이들은 매년 자신의 논을 찾아오는 새에 대해 ‘애착’이라고 부를 만한 것을 키우기 시작한 것 같다. 두루미를 돕는 농부들은 두루미의 경제적 가치를 이야기한다. 그러나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 두루미가 아름답고, 안쓰럽고, 살아있는 생명이기 때문에 돌보는 것이다. 그리고, 그 이상의 무엇인가가 있었다.

그것은 아마도 쌀에 의탁해 살아온 두루미와 농부의 삶이 함께 위협에 처해 있다는 사실일 것이다. 냉전이 종식된 지 30년. 국가가 국민과 자연을 통제하고, 육성하고, 관리하던 시절은 끝났다. 국가는 비무장지대와 민통선의 철책을 세웠고, 전국에서 사람을 불러 지뢰밭을 개간했고, 이들의 일상을 통제해 벼농사를 짓게 했다. 국가의 냉전적 통제가 의도치 않게 두루미를 불러 들였고, 새들을 보호했다. 그러나 철통 같던 국가의 통치는 끝났다. 우리는 인류세의 생태사회적 위기 속에서 살고 있다. 빠르게 변화하는 정치적, 경제적, 생태적 조건 속에서 삶은 더할 나위 없이 불안정하며, 미래는 불확실하다.[10] 강고하던 민통선은 남북 관계 개선과 개발 압력 속에서 잇달아 해제되고 있다. 민통선이 북상하면서 한 때 100여개에 이르던 민북 마을은 6개로 줄었다. 오랫동안 국민을 먹여 살리던 쌀 농업은 산업 구조의 변화로 몰락 위기에 처했다. 여기에 기후 변화와 극단적 기상은 농업과 일상에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다.

쌀 농업의 미래는 어둡다. 식생활의 변화, 농업의 세계화, 인구 감소로 쌀은 남아 돌고 쌀값은 추락한 지 오래다. 전국적으로 유명하고, 가장 좋은 값을 받는 철원 오대쌀도 피해갈 수 없다. 정부는 농민들에게 쌀 대신 경제적으로 이익이 되는 시설 농업이나 스마트 팜으로 전환할 것을 제안한다. 철원에도 비닐하우스가 늘었다. 파프리카나 와사비를 재배한다. 그러나 초기 비용이 많이 드는 시설 농업이나 스마트 팜으로 전환할 수 있는 농부는 한줌에 불과하다. 많은 농민들은 민통선에서 해제되면 쌀 대신 보다 이익이 되는 산업으로 전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2012년 민통선에서 해제된 철원 양지리에는 가축 축사만 들어섰다. 양계장이 늘어나면서 매년 겨울 조류 독감이 돌 때마다 철원에는 빨간불이 켜진다. 양계장의 조류 독감이 두루미를 포함한 야생 조류로 확산될까 두려워서다. 쌀 농업의 암울한 미래는 농부 만큼이나 두루미의 목도 죄어오고 있다. 논이 없어지면 두루미는 먹이터를 잃게 된다. 거기다 사람의 출입이 제한돼 안전한 먹이터였던 철원 평야는 민통선 북상으로 줄어들고 있다. 양지리는 오랫동안 ‘철새 마을’로 불릴 만큼 두루미가 많았다. 그러나 민통선에서 해제된 뒤로 두루미는 좀처럼 양지리를 찾지 않는다. 두루미가 먹이를 찾던 논에는 이제 양계장과 돼지 축사만 보인다.

철원 농민회의 김광규(가명)는 “농민과 두루미가 똑같아졌다”고 말한다. 민통선이 북상하면 두루미가 서식지를 잃게 되고, 농민도 농토를 잃게 된다는 것이다. 우리 앞에 다가온 생태사회적 위기 앞에서 두루미의 삶 만큼이나 농민의 삶도 취약하다. 쌀에 의탁한 농민과 두루미의 삶은 얽혀 있다. 그렇다면, 두루미가 살면, 농민도 살 수 있을지 모른다. 김광규는 2000년 트랙터 시위를 주도한 농민 중 한 명이었다. 이제 그는 수확이 끝나면 논에 물을 대 두루미 쉼터를 만들어 준다. 두루미 먹이도 주고, 보호 활동에도 참여한다. 철원 농민회는 2016년부터 두루미 연합체에 참여하고 있다. 두루미를 지키는 것이 농민을 지키는 일이기 때문이다. 두루미가 살아야 농민이 살고, 농민이 살아야 두루미도 산다.

이들은 두루미가 쌀 농업을 지켜야 할 근거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논은 사람 뿐 아니라 두루미도 먹여 살린다. 두루미가 오는 논에는 우렁이, 달팽이, 미꾸라지, 물방개도 산다. 볏짚을 남겨 두고, 논에 물을 대면 두루미 뿐 아니라 논에 서식하는 크고 작은 생명체들이 살아갈 공간을 얻는다.[11] 오랫동안 철원의 논은 기계와 비료를 동원해 쌀을 생산하는 ‘쌀 공장’이었다. 두루미의 도래와 농민의 ‘환대’는 논이 쌀 공장을 넘어 자연과 인간의 삶을 부양하는 ‘생명의 공간’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인간이 만든 습지인 논이 자연의 생물다양성을 부양하는 것이다. 논의 보전적 가치는 쌀 농업을 포기하지 말아야 하는 새로운 이유가 된다. 논을 찾는 두루미에게 ‘주의’를 기울이고 ‘응답’함으로써 농민과 두루미, 논의 수서 생물에게 비로소 미래가 생긴다.[12] 인류세의 생태사회적 위기 속에서 이같은 다종적 감수성과 응답을 통해 이들은 “협력적 생존(collaborative survival)”[13]을 모색할 수 있지 않을까.

나는 이 글을 철원 농민들이 철새 때문에 모내기 시기를 늦춘 이야기로 끝내고자 한다. 두루미는 3월이면 떠나지만, 기러기는 4월 초까지도 남아 있는다. 2000년대 중반, 기러기의 북상 시기와 농민의 모내기 시기가 겹치면서 기러기가 갓 모를 내 놓은 논의 모를 쏙쏙 뽑아 먹어 골칫거리가 되곤 했다.
모두가 두루미를 이야기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같은 꿈을 꾸는 것은 아니다. 한 마리의 두루미도 다치지 않도록 보호하자는 논의부터 두루미를 관광 자원으로 활용해 지역 경제를 살려야 한다는 이야기까지 두루미 논의의 스펙트럼은 드넓다. 상이한 꿈들은 경합하고 때로 충돌한다. 지역 두루미 보호 단체들은 2012년 철새가 찾아오는 토교 저수지에서 얼음 낚시 축제를 여는 문제로 반목했고, 몇 해 뒤엔 한탄강 두루미 잠자리에 두루미 탐조 시설을 설치하는 문제로 부딪쳤다. 최근엔 두루미 ‘텃새화’ 이야기가 나온다. 두루미가 겨울철에만 찾아와 관광 산업에 제약이 있으니, 두루미를 철원에서 인공 번식해서 길러 4계절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자는 것이다. 한 두루미 보호 단체에서 조심스럽게 나온 이 제안에, 다른 단체들은 “용인할 수 없는 일”이라며 펄쩍 뛴다. 야생동물을 붙잡아 기를 게 아니라, 이미 있는 서식지를 잘 관리해 자연스럽게 찾아오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취약성의 공유
지난 20여년 동안 철원 농민과 두루미의 관계는 극적으로 변화했다. 무엇이었을까, 농민들을 두루미에 접속시킨 것은. 우선, 피해는 주지 않지만 그렇다고 도움도 되지 않던 두루미가 경제적 가치를 갖게 됐다는 사실이 있다. 생태관광이 활발해지면서 두루미는 관광 자원이 됐고, 지역과 특산품 마스코트로 활용되면서 농산물 가치를 높여왔다. 철원 농특산물 브랜드 ‘두루웰’은 ‘두루미’와 ‘웰빙’에서 따 온 이름이다. 나아가, 농부의 두루미에 대한 생각이 빠르게 바뀌었다. 두루미 개체수가 늘어나고 두루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면서 민통선에서 농사를 짓는 농부들이 두루미와 직접 대면(encounter)할 기회가 늘어났다. 이들은 두루미가 사람만큼이나 크고, 우아하게 몸짓하고, 가족을 이뤄 생활하고, 매년 시베리아와 한국을 오가는 놀라운 새임을 알게 됐다. 오랜 시간에 걸쳐 두루미와 신체적, 정서적으로 대면하며 이들은 매년 자신의 논을 찾아오는 새에 대해 ‘애착’이라고 부를 만한 것을 키우기 시작한 것 같다. 두루미를 돕는 농부들은 두루미의 경제적 가치를 이야기한다. 그러나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 두루미가 아름답고, 안쓰럽고, 살아있는 생명이기 때문에 돌보는 것이다. 그리고, 그 이상의 무엇인가가 있었다.

그것은 아마도 쌀에 의탁해 살아온 두루미와 농부의 삶이 함께 위협에 처해 있다는 사실일 것이다. 냉전이 종식된 지 30년. 국가가 국민과 자연을 통제하고, 육성하고, 관리하던 시절은 끝났다. 국가는 비무장지대와 민통선의 철책을 세웠고, 전국에서 사람을 불러 지뢰밭을 개간했고, 이들의 일상을 통제해 벼농사를 짓게 했다. 국가의 냉전적 통제가 의도치 않게 두루미를 불러 들였고, 새들을 보호했다. 그러나 철통 같던 국가의 통치는 끝났다. 우리는 인류세의 생태사회적 위기 속에서 살고 있다. 빠르게 변화하는 정치적, 경제적, 생태적 조건 속에서 삶은 더할 나위 없이 불안정하며, 미래는 불확실하다.[10] 강고하던 민통선은 남북 관계 개선과 개발 압력 속에서 잇달아 해제되고 있다. 민통선이 북상하면서 한 때 100여개에 이르던 민북 마을은 6개로 줄었다. 오랫동안 국민을 먹여 살리던 쌀 농업은 산업 구조의 변화로 몰락 위기에 처했다. 여기에 기후 변화와 극단적 기상은 농업과 일상에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다.

쌀 농업의 미래는 어둡다. 식생활의 변화, 농업의 세계화, 인구 감소로 쌀은 남아 돌고 쌀값은 추락한 지 오래다. 전국적으로 유명하고, 가장 좋은 값을 받는 철원 오대쌀도 피해갈 수 없다. 정부는 농민들에게 쌀 대신 경제적으로 이익이 되는 시설 농업이나 스마트 팜으로 전환할 것을 제안한다. 철원에도 비닐하우스가 늘었다. 파프리카나 와사비를 재배한다. 그러나 초기 비용이 많이 드는 시설 농업이나 스마트 팜으로 전환할 수 있는 농부는 한줌에 불과하다. 많은 농민들은 민통선에서 해제되면 쌀 대신 보다 이익이 되는 산업으로 전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2012년 민통선에서 해제된 철원 양지리에는 가축 축사만 들어섰다. 양계장이 늘어나면서 매년 겨울 조류 독감이 돌 때마다 철원에는 빨간불이 켜진다. 양계장의 조류 독감이 두루미를 포함한 야생 조류로 확산될까 두려워서다. 쌀 농업의 암울한 미래는 농부 만큼이나 두루미의 목도 죄어오고 있다. 논이 없어지면 두루미는 먹이터를 잃게 된다. 거기다 사람의 출입이 제한돼 안전한 먹이터였던 철원 평야는 민통선 북상으로 줄어들고 있다. 양지리는 오랫동안 ‘철새 마을’로 불릴 만큼 두루미가 많았다. 그러나 민통선에서 해제된 뒤로 두루미는 좀처럼 양지리를 찾지 않는다. 두루미가 먹이를 찾던 논에는 이제 양계장과 돼지 축사만 보인다.

철원 농민회의 김광규(가명)는 “농민과 두루미가 똑같아졌다”고 말한다. 민통선이 북상하면 두루미가 서식지를 잃게 되고, 농민도 농토를 잃게 된다는 것이다. 우리 앞에 다가온 생태사회적 위기 앞에서 두루미의 삶 만큼이나 농민의 삶도 취약하다. 쌀에 의탁한 농민과 두루미의 삶은 얽혀 있다. 그렇다면, 두루미가 살면, 농민도 살 수 있을지 모른다. 김광규는 2000년 트랙터 시위를 주도한 농민 중 한 명이었다. 이제 그는 수확이 끝나면 논에 물을 대 두루미 쉼터를 만들어 준다. 두루미 먹이도 주고, 보호 활동에도 참여한다. 철원 농민회는 2016년부터 두루미 연합체에 참여하고 있다. 두루미를 지키는 것이 농민을 지키는 일이기 때문이다. 두루미가 살아야 농민이 살고, 농민이 살아야 두루미도 산다.

이들은 두루미가 쌀 농업을 지켜야 할 근거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논은 사람 뿐 아니라 두루미도 먹여 살린다. 두루미가 오는 논에는 우렁이, 달팽이, 미꾸라지, 물방개도 산다. 볏짚을 남겨 두고, 논에 물을 대면 두루미 뿐 아니라 논에 서식하는 크고 작은 생명체들이 살아갈 공간을 얻는다.[11] 오랫동안 철원의 논은 기계와 비료를 동원해 쌀을 생산하는 ‘쌀 공장’이었다. 두루미의 도래와 농민의 ‘환대’는 논이 쌀 공장을 넘어 자연과 인간의 삶을 부양하는 ‘생명의 공간’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인간이 만든 습지인 논이 자연의 생물다양성을 부양하는 것이다. 논의 보전적 가치는 쌀 농업을 포기하지 말아야 하는 새로운 이유가 된다. 논을 찾는 두루미에게 ‘주의’를 기울이고 ‘응답’함으로써 농민과 두루미, 논의 수서 생물에게 비로소 미래가 생긴다.[12] 인류세의 생태사회적 위기 속에서 이같은 다종적 감수성과 응답을 통해 이들은 “협력적 생존(collaborative survival)”[13]을 모색할 수 있지 않을까.

나는 이 글을 철원 농민들이 철새 때문에 모내기 시기를 늦춘 이야기로 끝내고자 한다. 두루미는 3월이면 떠나지만, 기러기는 4월 초까지도 남아 있는다. 2000년대 중반, 기러기의 북상 시기와 농민의 모내기 시기가 겹치면서 기러기가 갓 모를 내 놓은 논의 모를 쏙쏙 뽑아 먹어 골칫거리가 되곤 했다.

Kwang-Kyu: Well, during the rice planting season, Cheorwon Agricultural Cooperative opens and runs a community restaurant in the CCZ. Most of the farmers use this restaurant because we are too busy to get outside for lunch. Nearly 600–800 farmers use the restaurant every day. The opening of the restaurant somehow sets the rice planting season. So, I talked to the head of Cheorwon Agricultural Cooperative. ‘Let’s postpone the opening of the community restaurant by 10 days.’ He said, ‘Farmers come to eat. We can’t send them off, can we?’ I said, ‘Farmers come because the restaurant is open, don’t you think’ And we did postpone [the opening of the restaurant].
Me: When did the restaurant open in the past?
Kwang-Kyu: Now it opens early April. Delayed by 10 days.
Me: Doesn’t the 10-day delay create any disruption to the farm work?
Kwang-Kyu: Not really. Let’s say, there are 10,000 geese. Most of them already left early March but 1,000 are still around. We give them another 10 days, during which 900 are gone. Then just 100 remain. We can bear with the damage by these geese. […] The thing is that the rice harvested early on gets good price. It goes to the market in Seoul before Chuseok (traditional holiday). That’s why we started to move up the rice planting season by a day or two every year. We used to plant seedlings after geese were gone, but we have chased them up. They went on their own time. It is us who started to plant rice early and nagged at the birds.[14]
김광규: 뭐냐면, 못자리 할 때 바쁘니까 철원 농협이 민통선 안에서 공동 식당을 운영해요. 거기 하루 오시는 분이 600명, 800명 돼요. 공동 식당 할 때 다 못자리를 하는 거야. 조합장님한테 이야기를 했지. 밥하는 시기를 열흘만 늦춥시다. 조합장 말이, ‘농민들이 밥 먹으러 오는데 어떻게 하니?’ 그래서 내가, ‘아니, 밥을 해 주니까 오는 게 아니오?’ 그래서 실제로 연기했어.
나: 원래 식당 여는 시기가 언제였어요?
김광규: 지금 보면 4월 초에 시작하는데, 본연에 했던 것보다 열흘 늦춘 거야.
나: 열흘 늦어져도 농사에 큰 지장은 없어요?
김광규: 지장은 없죠. 그러니까, 기러기가 만 마리가 가야 되는데 천 마리가 남았단 말이야. 열흘을 주니까 900마리가 간단 말이야. 나머지 100마리라고. 얘들이 주는 피해는 감내할 수 있는 거지. [중략] 그 당시 뭐였냐면, 철원이 벼를 일찍 생산하면 값을 잘 받는 게 있어요. 서울 시장에 쌀이 먼저[추석 전에] 올라가요. 그래서 이것을 매년 하루, 이틀, 이렇게 앞당겨지기 시작했던 거야. 예전엔 기러기가 간 다음에 모내기를 했는데, 우리가 쫓아 올라갔던 거지. 걔네는 자기 갈 시간에 갔던 거에요. 우리가 모내기를 하고 얘들을 들볶았던 거지.[14]

김광규: 뭐냐면, 못자리 할 때 바쁘니까 철원 농협이 민통선 안에서 공동 식당을 운영해요. 거기 하루 오시는 분이 600명, 800명 돼요. 공동 식당 할 때 다 못자리를 하는 거야. 조합장님한테 이야기를 했지. 밥하는 시기를 열흘만 늦춥시다. 조합장 말이, ‘농민들이 밥 먹으러 오는데 어떻게 하니?’ 그래서 내가, ‘아니, 밥을 해 주니까 오는 게 아니오?’ 그래서 실제로 연기했어.
나: 원래 식당 여는 시기가 언제였어요?
김광규: 지금 보면 4월 초에 시작하는데, 본연에 했던 것보다 열흘 늦춘 거야.
나: 열흘 늦어져도 농사에 큰 지장은 없어요?
김광규: 지장은 없죠. 그러니까, 기러기가 만 마리가 가야 되는데 천 마리가 남았단 말이야. 열흘을 주니까 900마리가 간단 말이야. 나머지 100마리라고. 얘들이 주는 피해는 감내할 수 있는 거지. [중략] 그 당시 뭐였냐면, 철원이 벼를 일찍 생산하면 값을 잘 받는 게 있어요. 서울 시장에 쌀이 먼저[추석 전에] 올라가요. 그래서 이것을 매년 하루, 이틀, 이렇게 앞당겨지기 시작했던 거야. 예전엔 기러기가 간 다음에 모내기를 했는데, 우리가 쫓아 올라갔던 거지. 걔네는 자기 갈 시간에 갔던 거에요. 우리가 모내기를 하고 얘들을 들볶았던 거지.[14]


In this way, the rhythms of farmers and geese, disrupted by the anthropogenic desire, are restored. In 2022, the community restaurant by Cheorwon Agricultural Cooperative opened at the 2nd of April as always.

이렇게 인간이 교란시켜 놓았던 농부와 새의 리듬은 회복되었다. 철원농협 못자리 설치 공동취사장은 2022년 올해도 4월2일 문을 열었다.

이렇게 인간이 교란시켜 놓았던 농부와 새의 리듬은 회복되었다. 철원농협 못자리 설치 공동취사장은 2022년 올해도 4월2일 문을 열었다.
[1] Hankook Daily News, November 7, 2000. “Protection of Migratory Birds are in Danger”
[2] While the Anthropocene is a global, if not planetary, event, the process has been situated within locally-specific political, cultural, and ecological contexts. The story of Cheorwon illustrates the Korean Anthropocene is shaped in relation to Japanese colonialism, the Korean War, and the state-led capitalist development.
[3] Along with Chernobyl, the Korean DMZ offers an example of ‘passive rewilding’ where the ecologies are restored due to the forced suspension of human activities by disasters over an extended time period.
[4] Personal Communication, February 19, 2021.
[5] Kim H, Nam H, Hur W, Lee J, Lee J, Hwang J, et al. 2021. Winter Waterbird Census of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6] IUCN estimates the global population of red-crowned cranes and white-naped cranes at 2,000-2,650, and 3,700-4,500, respectively. Bird Life International. 2021. Grus japonensis (errata version published in 2022) & Antigone vipio (errata version published in 2018)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1: e.T22692167A213488064. [Accessed on 01 November 2022].
[7] Interview, Jan 25, 2022. All interviewees are given pseudonyms.
[8] Interview with Kim Kwang-Kyu, Jan 15, 2021.
[9] Interview, Jul 7, 2020.
[10] Tsing, A. L. 2015. The Mushroom at the End of the World: On the Possibility of Life in Capitalist Ruin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1] Min and Choi (2022) argue that crane activities have beneficial impacts on the soil biogeoghemical processes of rice paddies in Cheorwon by increasing total carbon and nitrogen contents, as well as microbial biomasses and respiration. See: Min, K. and Choi, M (2002) “Resource landscape, microbial activity, and community composition under wintering crane activities in the Demilitarized Zone, South Korea”, PLoS ONE 17(5): e0268461.
[12] Van Dooren, T., Kirksey, E., and Munster, U. 2016. “Multispecies studies: Cultivating arts of attentiveness” Environmental Humanities, 8, 1-23.
[13] Tsing, A., Bubandt, N., Gan, E. and Swanson, H. 2017. Arts of Living on a Damaged Planet: Ghosts and Monsters of the Anthropocene, U of Minnesota Press.
[14] Interview, March 18, 2022.
[1] Hankook Daily News, November 7, 2000. “Protection of Migratory Birds are in Danger”
[2] While the Anthropocene is a global, if not planetary, event, the process has been situated within locally-specific political, cultural, and ecological contexts. The story of Cheorwon illustrates the Korean Anthropocene is shaped in relation to Japanese colonialism, the Korean War, and the state-led capitalist development.
[3] Along with Chernobyl, the Korean DMZ offers an example of ‘passive rewilding’ where the ecologies are restored due to the forced suspension of human activities by disasters over an extended time period.
[4] Personal Communication, February 19, 2021.
[5] Kim H, Nam H, Hur W, Lee J, Lee J, Hwang J, et al. 2021. Winter Waterbird Census of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6] IUCN estimates the global population of red-crowned cranes and white-naped cranes at 2,000-2,650, and 3,700-4,500, respectively. Bird Life International. 2021. Grus japonensis (errata version published in 2022) & Antigone vipio (errata version published in 2018)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1: e.T22692167A213488064. [Accessed on 01 November 2022].
[7] Interview, Jan 25, 2022. All interviewees are given pseudonyms.
[8] Interview with Kim Kwang-Kyu, Jan 15, 2021.
[9] Interview, Jul 7, 2020.
[10] Tsing, A. L. 2015. The Mushroom at the End of the World: On the Possibility of Life in Capitalist Ruin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1] Min and Choi (2022) argue that crane activities have beneficial impacts on the soil biogeoghemical processes of rice paddies in Cheorwon by increasing total carbon and nitrogen contents, as well as microbial biomasses and respiration. See: Min, K. and Choi, M (2002) “Resource landscape, microbial activity, and community composition under wintering crane activities in the Demilitarized Zone, South Korea”, PLoS ONE 17(5): e0268461.
[12] Van Dooren, T., Kirksey, E., and Munster, U. 2016. “Multispecies studies: Cultivating arts of attentiveness” Environmental Humanities, 8, 1-23.
[13] Tsing, A., Bubandt, N., Gan, E. and Swanson, H. 2017. Arts of Living on a Damaged Planet: Ghosts and Monsters of the Anthropocene, U of Minnesota Press.
[14] Interview, March 18, 2022.
[1] 한국일보, “철원평야 철새 보호 비상”, 2000년 11월 7일자, 30면.
[2] 인류세는 전지구적으로 보편적인 현상이지만, 실제 인류세의 형성과 전개는 지역의 특수한 정치적, 문화적, 생태적 맥락 속에서 이뤄진다. 철원 사례는 일제 식민지 경험, 한국 전쟁, 국가 주도 자본주의가 만들어낸 ‘한국 인류세’의 형성을 보여준다.
[3] 체르노빌과 함께 비무장지대는 전쟁과 재난 등으로 인간의 간섭이 일정 기간 중지돼 자연의 생태적 과정이 회복된 ‘수동적 재야생화’의 대표적 사례다.
[4] 인터뷰, 2021년 2월19일.
[5] 국립생물자원관, 2020-2021년도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국립생물자원관: 인천.
[6] IUCN은 전세계 두루미와 재두루미 개체수를 각각 2,000-2650마리, 3,700-4,500마리로 추정한다. Bird Life International. 2021. “Grus japonensis” (errata version published in 2022) & “Antigone vipio” (errata version published in 2018)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1: e.T22692167A213488064. [Accessed on 01 November 2022].
[7] 인터뷰, 2022년 1월25일. 모든 인터뷰 참여자는 가명으로 처리됐다.
[8] 인터뷰, 김광규, 2021년 1월 15일.
[9] 인터뷰, 2020년 7월7일.
[10] Tsing, A. L. 2015. The Mushroom at the End of the World: On the Possibility of Life in Capitalist Ruin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1] 두루미의 먹이 찾기, 분변, 걷기 등의 활동은 토양 내 탄소와 질소 함량을 높이고, 토양 미생물의 양과 호흡을 증가시킴으로써 논 토양의 생지화학적 순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ee: Min, K. and Choi, M (2002) “Resource landscape, microbial activity, and community composition under wintering crane activities in the Demilitarized Zone, South Korea”, PLoS ONE 17(5): e0268461.
[12] Van Dooren, T., Kirksey, E., and Munster, U. 2016. “Multispecies studies: Cultivating arts of attentiveness” Environmental Humanities, 8, 1-23.
[13] Tsing, A., Bubandt, N., Gan, E. and Swanson, H. 2017. Arts of Living on a Damaged Planet: Ghosts and Monsters of the Anthropocene, U of Minnesota Press.
[14] 인터뷰, 2022년 3월18일.
[1] 한국일보, “철원평야 철새 보호 비상”, 2000년 11월 7일자, 30면.
[2] 인류세는 전지구적으로 보편적인 현상이지만, 실제 인류세의 형성과 전개는 지역의 특수한 정치적, 문화적, 생태적 맥락 속에서 이뤄진다. 철원 사례는 일제 식민지 경험, 한국 전쟁, 국가 주도 자본주의가 만들어낸 ‘한국 인류세’의 형성을 보여준다.
[3] 체르노빌과 함께 비무장지대는 전쟁과 재난 등으로 인간의 간섭이 일정 기간 중지돼 자연의 생태적 과정이 회복된 ‘수동적 재야생화’의 대표적 사례다.
[4] 인터뷰, 2021년 2월19일.
[5] 국립생물자원관, 2020-2021년도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국립생물자원관: 인천.
[6] IUCN은 전세계 두루미와 재두루미 개체수를 각각 2,000-2650마리, 3,700-4,500마리로 추정한다. Bird Life International. 2021. “Grus japonensis” (errata version published in 2022) & “Antigone vipio” (errata version published in 2018)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1: e.T22692167A213488064. [Accessed on 01 November 2022].
[7] 인터뷰, 2022년 1월25일. 모든 인터뷰 참여자는 가명으로 처리됐다.
[8] 인터뷰, 김광규, 2021년 1월 15일.
[9] 인터뷰, 2020년 7월7일.
[10] Tsing, A. L. 2015. The Mushroom at the End of the World: On the Possibility of Life in Capitalist Ruin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1] 두루미의 먹이 찾기, 분변, 걷기 등의 활동은 토양 내 탄소와 질소 함량을 높이고, 토양 미생물의 양과 호흡을 증가시킴으로써 논 토양의 생지화학적 순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ee: Min, K. and Choi, M (2002) “Resource landscape, microbial activity, and community composition under wintering crane activities in the Demilitarized Zone, South Korea”, PLoS ONE 17(5): e0268461.
[12] Van Dooren, T., Kirksey, E., and Munster, U. 2016. “Multispecies studies: Cultivating arts of attentiveness” Environmental Humanities, 8, 1-23.
[13] Tsing, A., Bubandt, N., Gan, E. and Swanson, H. 2017. Arts of Living on a Damaged Planet: Ghosts and Monsters of the Anthropocene, U of Minnesota Press.
[14] 인터뷰, 2022년 3월18일.
issue 3
Made on
Til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