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thinking the Korean Anthropocene from Rice Paddies
간척 논에서 한국의 인류세를 논하기
By Hanah Sung
Considered one of the significant human impacts on Earth according to scholars of the Anthropocene, rice paddies for rice cultivation appeared at the beginning of agricultural history. In the case of Korea, a country where rice is a staple food, traces of rice cultivation have been found as far back as 3,500 years ago (An, 2009; Park, 2021, p.110 requoted). As climatologist William Ruddiman pointed out, such traces of agriculture have revealed a significant amount of evidence of human influence on the climate of Earth(Ruddiman, 2003).


However, apart from these attempts to discover the human impacts through rice cultivation thousands years ago, in this essay, I focus on the reclaimed rice paddies in the western part of Korea that were built mostly during the 1980s. As environmental historians of modern Korea recently have examined in detail, urban areas of South Korea experienced emerging pollution problems brought on by rapid industrialization during the 1980s, which was the time that most considered “the great acceleration era” of South Korea(McNeill & Engelke, 2016). However, in this same age, it has been less explored that rural areas near the sea such as west coast villages in South Korea went through unprecedented environmental transformations by way of large coastal reclamation projects for large-scale rice farming(Choi, 2014). The first company-led reclamation project, known as the Seosan A and B Reclamation Project(or Cheonsuman Bay Reclamation Project) has mostly been considered as the representative historical event that brough about the largest change in the lives of the local people. Although these big changes in local villages still have to be explored, I argue tha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heonsuman Bay case with more-than-human perspectives.

Cheonsuman Bay is one of the most popular places for migratory birds wintering in South Korea. Every winter, approximately more than 320 species of wintertime birds come. It is intriguing that this habitat that migratory birds are foraging in and inhabiting is mostly rice paddies. What makes paddies of Cheonsuman Bay make special is that the place was artificially constructed by a massive reclamation project 40 years ago. This place used to be known for the richness of fish stocks, and was an area where tidal flats and the oceans allowed most local people to follow fishery as their profession.

The big changes was commenced in 1979 when the Korean government issued permission to Hyundai Engineering & Construction to carry out the largest-ever reclamation project which aimed to create new large paddy fields from tidal flats on the west coast of South Korea. The project began in 1980, and was completed in 1995. As a result, the 7.7 km-long area of the coastal line was filled up and a 154.08 km2-area of new land was created in the region. In particular, 120 km2-area of the reclaimed land was constructed as paddy fields. This was approximately 0.75% of the total arable farmland at the time, and its production of rice accounted for about 1% of the rice produced. This was a case where the largest ever area of rice paddies was abruptly created at once by a single reclamation project.

This massive landscape change led to a dramatic shift in the lives of the people living in Cheonsuman Bay as well as the migratory birds visiting every winter in South Korea. Since 1995, when large-scale rice farming was in full swing, Cheonsuman Bay became the most crowded wintertime birds habitat, followed by the Nakdong Estuary.1) News articles at that time reported that the map of migratory bird habitats of South Korea had changed.2)

It was found that the the particular farming method for the bay’s fields has offered the reason is what attracts the wintertime birds to Cheonsuman Bay. The way of cultivating rice paddies of Cheonsuman Bay is different from that of individual farmers. Hyundai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farmed rice by themselves in the vast fields of Cheonsuman Bay directly after the project was completed. They refer to their farming as American-style “commercialized farming” or “mechanized farming.”3) A light plane was utilized to spray rice seeds, fertilizer, and pesticides in the vast fields. This can be contrasted with the cultivation method applied by small-scale rice farming(which uses human power). Furthermore, a larger combines was mobilized to harvest grains in the vast farmland. The cultivation of these expansive of paddy fields invited unexpected guests.

Donna Haraway and Anna Tsing proposed the term “Plantationocene” to refer to the disruption of multispecies relations that is hard to express with the term “Anthropocene” only (Haraway & Tsing, 2019). A plantation is a large-scale farm for the commercial plants such as oil palms, bananas, and cotton. Plantations simplify and disorder interspecies relations. They are run by not only by human labor but also by non-human labor(Haraway & Tsing, 2019).

With regard to the scale of the farm, rice farming in Cheonsuman Bay could be considered as Korean version of plantation farming. However, unlike other plantations that emerged with European colonialism, the paddy fields of Cheonsuman Bay took a different route. After the large-scale reclamation projects, Cheonsuman Bay emerged as the largest wintering site for wild migratory birds in Korea and has consistently been managed as a kind of wildlife habitat for migratory birds so far.

Despite the massive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this accidental multispecies relationship that emerged in Cheonsuman Bay has been maintained so far. I point out two distinct practices that transformd relocated rice paddies from human-made environments to wild birds habitats. One is the ecological monitoring program and the other is feeding wild birds in rice paddies every winter. Those two distinct practices enact migrant birds to be wild animals properly inhabiting human-made rice paddies, and not to be agricultural pests. These new practices of surveying and feeding continue to allow more and more wintering birds to visit Cheonsuman Bay so far. In sum, the Cheonsuman Bay story gives us a clue about the way how to find a hope for interspecies coexistence even after the massive and destructive changes to landscapes.



Bibliography
An Seung-mo, Reconsidering the sorori rice husk remains. Korean Archeological Journal (70), 192-238.
Choi, Y. R. (2014). Modernization, development and underdevelopment: reclamation of Korean tidal flats, 1950s–2000s. Ocean & Coastal Management 102, 426-436.
Haraway D. & Tsing, A. (2019). Reflections on the plantationocene: A conversation with Donna Haraway and Anna Tsing. Edge Effects 12.
McNeill, J. R., & Engelke, P. (2016). The great acceleration: An environmental history of the Anthropocene since 1945. Harvard University Press.

Ruddiman, W. F. (2003). The anthropogenic greenhouse era began thousands of years ago. Climatic change 61(3), 261-293.

글: 성한나
인류세 이야기에서 논은 인간이 지구를 변화시키기 시작한 첫 번째 실행인 농경의 역사에서 등장한다. 가령, 쌀을 주식으로 하는 동아시아 국가 중 하나인 한국에서는 3500년 전부터 논을 경작한 흔적을 찾을 수 있다(안승모, 2009; 박정재, 2021, 110쪽에서 재인용). 기후학자 루디먼이 짚었듯이 농경의 흔적은 인류가 지구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 중요한 증거를 찾는 데에 활용되어 왔다(Ruddiman, 2003). 이 짧은 글에서 나는 논과 관련한 인류세 이야기를 그보다 더 현대로 내려와 다루려 한다. 1980년 이후 급격한 변화가 눈에 띠는 대가속의 시기(McNeill, & Engelke, 2016), 한국 사회의 도시와 그 주변 지역이 급격한 산업화로 인한 공해 문제를 겪는 동안, 서해안 마을들은 식량증산을 위한 대규모의 논으로 뒤바뀌는 전례 없는 규모의 환경 변화를 겪었다(Choi, 2014). 그 중에서도 이 시기에 최초로 대기업에게 대규모의 간척 사업을 맡긴 사례를 한국의 서해안에 위치한 천수만에서 찾을 수 있다. 한국 정부는 1979년 대기업인 현대 건설에 바다와 갯벌을 메꿔 논을 조성하는 간척 사업 허가를 내주었고, 현대 건설은 그 당시 기준으로 가장 규모가 큰 간척 사업을 추진했다. 이 글은 한국 사회에서 대규모 간척 사업으로 조성된 일종의 쌀 플랜테이션인 서산 간척 논의 존재 양식의 변화를 통해 인류세의 파괴와 희망의 문제를 논해보려고 한다.

서산 A, B 지구 간척 사업은 민간 기업이 처음으로 주도한 대규모 간척 사업이다. 한국 정부는 1962년 공유수면매립법 제정 이후 간간히 갯벌 간척을 추진해왔지만 1980년부터 현대건설이 서산 A, B 지구에서 추진했던 간척 사업은 전례 없는 규모의 논 조성 사업이었다. 이 사업으로 7.7㎞길이에 달하는 해안선이 메꾸어져 154.08㎢의 땅이 조성되었다. 이 중 간척농지는 120㎢에 달하며, 대부분의 농경지는 염해에 강한 작물인 벼를 키울 수 있는 논으로 조성되었다. 이 사업으로 한 번에 조성된 논 면적은 당시 한국 전체 농경지의 0.75%에 달하였으며, 여기서 생산된 쌀은 전국에서 생산된 쌀의 약 1%를 차지했다. 이는 단일농장으로는 한국에서 가장 넓은 면적의 논을 단 한 번의 사업으로 조성한 사례였다.

흥미로운 점은 이렇게 대규모로 조성된 논은 그간 농부 개인이 주도해 온 것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경작할 수밖에 없었다는 데에 있다. 당시 현대 서산 농장의 농경 방식은 “기업농업” “기계화영농”의 사례로 “미국식기계영농법”을 적용한 사례로 언급되었다.[1] 넓은 지역에서 벼와 보리를 재배하기 위해 경비행기를 활용해 직접 벼, 비료, 농약을 살포하였고, 이는 대부분의 논에서 인력을 활용해 모내기로 쌀을 심어 온 개인 소유 논의 경작 방식과 대조되었다. 또한 대규모 면적을 경운하고 추수하기 위해 보통 일반논에서 사용하는 기계보다 커다란 콤바인이 동원되었다. 그 결과 논에는 꼼꼼하게 추수되지 못한 낟알들이 남겨졌다. 이후 1997년 경제 위기로 경영의 어려움이 생겨 논을 개인에게 팔기 시작하기 전까지 현대 건설이 토지의 주인으로서 대규모 경작을 담당했다. 그런데 이 새로운 대규모 경작은 예상치 못한 손님을 불러들였다. 겨울철 월동을 위해 한국을 찾는 철새들이 간척 논에 남겨진 낟알을 알아본 것이다. 천수만은 대규모 논농사가 본격화된 1995년 이후 낙동강 철새 도래지를 제치고 한국에서 가장 많은 종이 조사되는 지역으로 기록되었다.[2] 기사들은 앞 다투어 낙동강을 중심으로 그려졌던 한국의 철새 도래지 지도가 변화했다고 보도했다.[3]

도나 해러웨이와 안나 칭은 인류세라는 용어만으로는 포착하기 어려운 다종 간 관계의 파괴의 문제를 다루기 위해 또 다른 용어인 플랜테이션세(Plantationcene)를 제안했다(Haraway&Tsing, 2019). 플렌테이션(plantation)은 팜 오일, 바나나, 목화와 같은 상업적 작물을 키우기 위해 조성된 대규모 농장으로, 경관을 단순화시키고, 강제된 노동력을 이용해 종간 관계를 급격하게 바꾸어 놓는다. 여기서 핵심은 플랜테이션이 인간뿐 아니라 비인간의 생명력도 강제로 착취되는 장소라는 데에 있다(Haraway&Tsing, 2019).

천수만에 조성된 간척 농지와 그 경작의 규모를 고려하면 이 곳의 쌀 농장을 한국판 쌀 플랜테이션이라고 부를 법하다. 그러나 유럽의 식민지 지배와 함께 등장한 플랜테이션의 이야기와 달리, 간척 이후 현대 서산 농장이 위치한 천수만의 논은 다른 경로를 걷는다. 천수만은 대규모 간척이 이루어진 이후 이곳을 철새의 서식지로 조사하고 연구하는 움직임과 함께 한국 최대의 철새도래지로 떠올랐고, 오늘날까지 지속적으로 철새도래지로 관리되어 오고 있다.

대규모의 생태 파괴 이후, 천수만에서 우연히 형성된 새로운 다종 관계를 유지시키는 데에는 그에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지식과 노동이 있었기 때문이다. 대규모 논에 우연히 야생 철새가 몰려 들었던 때에 국가 차원에서는 철새를 농경에 해를 끼치는 동물이 아니라, 보호해야 하는 야생동물로 기록하는 생태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시작되고 있었다. 생태 조사 실천에서 철새는 농경지에 서식할 수 있는 타당한 야생동물로 존재하도록 했다. 물론 철새를 보호해야 하는 야생동물로 간주하는 실천은 생태 조사만은 아니었다. 농경지를 철새라는 야생동물의 서식지로 관리하는 새로운 종류의 노동과 제도가 등장했다. 논에서 쌀을 경작하는 노동만이 아니라, 논에 철새를 위한 먹이를 공급하고, 그 도래를 기록하는 다른 종류의 노동은 지속적으로 천수만에 철새가 머물도록 하고 있다. 요컨대, 천수만 이야기는 막대한 생태계 파괴 이후 다종간 공존의 가능성을 열 수 있는 땅으로서 논에 주목하게 한다.

참고 문헌
안승모. (2009). 청원 소로리 토탄층 출토 볍씨 재고. 한국고고학보, (70), 192-238.
Choi, Y. R. (2014). Modernization, development and underdevelopment: reclamation of Korean tidal flats, 1950s-2000s. Ocean & Coastal Management 102, 426-436.
Ruddiman, W. F. (2003). The anthropogenic greenhouse era began thousands of years ago. Climatic change, 61(3), 261-293.
McNeill, J. R., & Engelke, P. (2016). The great acceleration: An environmental history of the Anthropocene since 1945. Harvard University Press.
Haraway D. &Tsing, A. (2019). Reflections on the plantationocene: A conversation with Donna Haraway and Anna Tsing. Edge Effects, 12.
글: 성한나
인류세 이야기에서 논은 인간이 지구를 변화시키기 시작한 첫 번째 실행인 농경의 역사에서 등장한다. 가령, 쌀을 주식으로 하는 동아시아 국가 중 하나인 한국에서는 3500년 전부터 논을 경작한 흔적을 찾을 수 있다(안승모, 2009; 박정재, 2021, 110쪽에서 재인용). 기후학자 루디먼이 짚었듯이 농경의 흔적은 인류가 지구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 중요한 증거를 찾는 데에 활용되어 왔다(Ruddiman, 2003). 이 짧은 글에서 나는 논과 관련한 인류세 이야기를 그보다 더 현대로 내려와 다루려 한다. 1980년 이후 급격한 변화가 눈에 띠는 대가속의 시기(McNeill, & Engelke, 2016), 한국 사회의 도시와 그 주변 지역이 급격한 산업화로 인한 공해 문제를 겪는 동안, 서해안 마을들은 식량증산을 위한 대규모의 논으로 뒤바뀌는 전례 없는 규모의 환경 변화를 겪었다(Choi, 2014). 그 중에서도 이 시기에 최초로 대기업에게 대규모의 간척 사업을 맡긴 사례를 한국의 서해안에 위치한 천수만에서 찾을 수 있다. 한국 정부는 1979년 대기업인 현대 건설에 바다와 갯벌을 메꿔 논을 조성하는 간척 사업 허가를 내주었고, 현대 건설은 그 당시 기준으로 가장 규모가 큰 간척 사업을 추진했다. 이 글은 한국 사회에서 대규모 간척 사업으로 조성된 일종의 쌀 플랜테이션인 서산 간척 논의 존재 양식의 변화를 통해 인류세의 파괴와 희망의 문제를 논해보려고 한다.

서산 A, B 지구 간척 사업은 민간 기업이 처음으로 주도한 대규모 간척 사업이다. 한국 정부는 1962년 공유수면매립법 제정 이후 간간히 갯벌 간척을 추진해왔지만 1980년부터 현대건설이 서산 A, B 지구에서 추진했던 간척 사업은 전례 없는 규모의 논 조성 사업이었다. 이 사업으로 7.7㎞길이에 달하는 해안선이 메꾸어져 154.08㎢의 땅이 조성되었다. 이 중 간척농지는 120㎢에 달하며, 대부분의 농경지는 염해에 강한 작물인 벼를 키울 수 있는 논으로 조성되었다. 이 사업으로 한 번에 조성된 논 면적은 당시 한국 전체 농경지의 0.75%에 달하였으며, 여기서 생산된 쌀은 전국에서 생산된 쌀의 약 1%를 차지했다. 이는 단일농장으로는 한국에서 가장 넓은 면적의 논을 단 한 번의 사업으로 조성한 사례였다.

흥미로운 점은 이렇게 대규모로 조성된 논은 그간 농부 개인이 주도해 온 것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경작할 수밖에 없었다는 데에 있다. 당시 현대 서산 농장의 농경 방식은 “기업농업” “기계화영농”의 사례로 “미국식기계영농법”을 적용한 사례로 언급되었다.[1] 넓은 지역에서 벼와 보리를 재배하기 위해 경비행기를 활용해 직접 벼, 비료, 농약을 살포하였고, 이는 대부분의 논에서 인력을 활용해 모내기로 쌀을 심어 온 개인 소유 논의 경작 방식과 대조되었다. 또한 대규모 면적을 경운하고 추수하기 위해 보통 일반논에서 사용하는 기계보다 커다란 콤바인이 동원되었다. 그 결과 논에는 꼼꼼하게 추수되지 못한 낟알들이 남겨졌다. 이후 1997년 경제 위기로 경영의 어려움이 생겨 논을 개인에게 팔기 시작하기 전까지 현대 건설이 토지의 주인으로서 대규모 경작을 담당했다. 그런데 이 새로운 대규모 경작은 예상치 못한 손님을 불러들였다. 겨울철 월동을 위해 한국을 찾는 철새들이 간척 논에 남겨진 낟알을 알아본 것이다. 천수만은 대규모 논농사가 본격화된 1995년 이후 낙동강 철새 도래지를 제치고 한국에서 가장 많은 종이 조사되는 지역으로 기록되었다.[2] 기사들은 앞 다투어 낙동강을 중심으로 그려졌던 한국의 철새 도래지 지도가 변화했다고 보도했다.[3]

도나 해러웨이와 안나 칭은 인류세라는 용어만으로는 포착하기 어려운 다종 간 관계의 파괴의 문제를 다루기 위해 또 다른 용어인 플랜테이션세(Plantationcene)를 제안했다(Haraway&Tsing, 2019). 플렌테이션(plantation)은 팜 오일, 바나나, 목화와 같은 상업적 작물을 키우기 위해 조성된 대규모 농장으로, 경관을 단순화시키고, 강제된 노동력을 이용해 종간 관계를 급격하게 바꾸어 놓는다. 여기서 핵심은 플랜테이션이 인간뿐 아니라 비인간의 생명력도 강제로 착취되는 장소라는 데에 있다(Haraway&Tsing, 2019).

천수만에 조성된 간척 농지와 그 경작의 규모를 고려하면 이 곳의 쌀 농장을 한국판 쌀 플랜테이션이라고 부를 법하다. 그러나 유럽의 식민지 지배와 함께 등장한 플랜테이션의 이야기와 달리, 간척 이후 현대 서산 농장이 위치한 천수만의 논은 다른 경로를 걷는다. 천수만은 대규모 간척이 이루어진 이후 이곳을 철새의 서식지로 조사하고 연구하는 움직임과 함께 한국 최대의 철새도래지로 떠올랐고, 오늘날까지 지속적으로 철새도래지로 관리되어 오고 있다.

대규모의 생태 파괴 이후, 천수만에서 우연히 형성된 새로운 다종 관계를 유지시키는 데에는 그에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지식과 노동이 있었기 때문이다. 대규모 논에 우연히 야생 철새가 몰려 들었던 때에 국가 차원에서는 철새를 농경에 해를 끼치는 동물이 아니라, 보호해야 하는 야생동물로 기록하는 생태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시작되고 있었다. 생태 조사 실천에서 철새는 농경지에 서식할 수 있는 타당한 야생동물로 존재하도록 했다. 물론 철새를 보호해야 하는 야생동물로 간주하는 실천은 생태 조사만은 아니었다. 농경지를 철새라는 야생동물의 서식지로 관리하는 새로운 종류의 노동과 제도가 등장했다. 논에서 쌀을 경작하는 노동만이 아니라, 논에 철새를 위한 먹이를 공급하고, 그 도래를 기록하는 다른 종류의 노동은 지속적으로 천수만에 철새가 머물도록 하고 있다. 요컨대, 천수만 이야기는 막대한 생태계 파괴 이후 다종간 공존의 가능성을 열 수 있는 땅으로서 논에 주목하게 한다.

참고 문헌
안승모. (2009). 청원 소로리 토탄층 출토 볍씨 재고. 한국고고학보, (70), 192-238.
Choi, Y. R. (2014). Modernization, development and underdevelopment: reclamation of Korean tidal flats, 1950s-2000s. Ocean & Coastal Management 102, 426-436.
Ruddiman, W. F. (2003). The anthropogenic greenhouse era began thousands of years ago. Climatic change, 61(3), 261-293.
McNeill, J. R., & Engelke, P. (2016). The great acceleration: An environmental history of the Anthropocene since 1945. Harvard University Press.
Haraway D. &Tsing, A. (2019). Reflections on the plantationocene: A conversation with Donna Haraway and Anna Tsing. Edge Effects, 12.
1)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Winter Migratory Birds Nationwide Census, 1997.
2) Kim Kwan-soo, “Cheonsum Bay, the largest wintering site for migratory birds,” The Kyunghyang Shinmun, November 10, 1997.
3) Lee Kun-woo, “Sowing rice seeds at the Seosan reclaimed paddy fields of 39.6 km2 is finished.” The Chosun Ilbo, June 14, 1991.
1)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Winter Migratory Birds Nationwide Census, 1997.
2) Kim Kwan-soo, “Cheonsum Bay, the largest wintering site for migratory birds,” The Kyunghyang Shinmun, November 10, 1997.
3) Lee Kun-woo, “Sowing rice seeds at the Seosan reclaimed paddy fields of 39.6 km2 is finished.” The Chosun Ilbo, June 14, 1991.
[1] 1991. 06. 14. 조선일보. “서산 간척지 논 1200만평 볍씨파종 끝내.” 이건우 기자.
[2] 환경부. (1997). 『전국겨울철새동시센서스』 과천: 환경부.
[3] 1997. 11. 10. 경향신문. “천수만 겨울철새 ‘최대도래지’.” 김관수 기자.
[1] 1991. 06. 14. 조선일보. “서산 간척지 논 1200만평 볍씨파종 끝내.” 이건우 기자.
[2] 환경부. (1997). 『전국겨울철새동시센서스』 과천: 환경부.
[3] 1997. 11. 10. 경향신문. “천수만 겨울철새 ‘최대도래지’.” 김관수 기자.
issue 3
Made on
Til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