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ilding Buildings for Data
데이터센터 건물 짓기
By Bas Hendrix
Some years ago, I lived near a quiet university campus. A new building was constructed. I had developed somewhat of an admiration for the building, observing it from afar when I’d go for a run on the campus. Chunky, but stylish. Depending on the light, on darker days it could be rather bland, on others, it would shimmer. Rendered in black and white, the exterior displays a subtle pattern of long, stretched triangular shapes, covering its façade. Passing by, it subtly shifts from light to darker grey, sometimes to silver during golden hour, and back again. The gist of the building is its moiré pattern, which makes the façade appear animate when passing by. It grows on you, it’s kind of sexy. The building has no windows. And as it turns out, it doesn’t really need any. It’s a data centre. It’s home only to servers.

A man lives in the countryside. One day, digging the soil in his garden, he hits something hard. Taking it to be a root, he cuts away. The root not being a root, turns out to be an internet cable. Subjected to the force of a shovel, he cuts off the internet connection to the entire nearby village. Imagining him in his garden renders connectivity so visible; it’s implied here he lives his life off the grid,– and then suddenly hitting that vein of the internet. It’s a rather archaic story, but it speaks to the imagination, doesn’t it?

Transoceanic cables face only a few dangers in their ocean floor habitat. Sharks, ships anchors, and seaquakes, that’s it. It’s a different story when those cables reach the shore. The point were a transoceanic cable washes ashore is called a landing point. That’s where they become more vulnerable, and hence, are thicker. Anything from squirrels to foreign enemies could potentially sabotage a network. And so, the less we know, the better. Hence, landing points are sometimes disguised as regular brick and mortar buildings, blending in with local architecture. Either by constructing very plain, nondescript buildings with no windows at all, or by simulating the local design style. Either way, the surveillance cameras, lack of human activity, and heavy fencing are unmistakable clues.

The data centre on the university campus is surrounded by a moat; an artificial canal that encloses the building. A cosmetic safety measure, albeit a somewhat ironic one, which presupposes lifting a drawbridge to avert an attack. But the true Achilles heel of a data centre is in fact its water supply. Data centres require vast amounts of water for cooling. Air-conditioning is a vital part of its existence. Should, say, terrorists want to attack a country, business, or government, a highly effective way would be to deprive data centres of water. In an age of digital warfare, to cut off their water supply is to cut off their lifeline.

In 1858, explorer Alexander von Humboldt published his seminal book Kosmos and its accompanying Atlas. On his travels across the globe, he observed that ecology should not be classified according to continents, but rather as zones where vegetation and climate are determined by altitude and latitude. His maps came accompanied by illustrations, for instance of diagrams of the Himalaya and the Andes depicting the similarities in vegetation at various altitudes. Today, scientists still use those diagrams to map and observe the consequences of the climate crisis. Groundbreaking for the time – during which geographers and scientists considered ecology on a far more local scale – Humboldt called this worldview the 'web of life'. In his diaries he writes about his fascination for another network: that of the then new telegraph cables. Those cables ran across the ocean floors, connecting trading hubs across the globe. Humboldt had received a specimen of a telegraph cable as a gift, which he kept in his personal collection. Transoceanic fibre-optic cable has since replaced the telegraph cables, yet their routes often remain the same.

Ever since the early personal computers, we’ve been using vocabulary for physical objects (a desktop, a bin, a folder) to render digital abstractions perceptible. Take, for instance, the term login. A derivative from the marine world, to log in comes from the measurement system to record a ships pace by lowering a string of rope with knots into the water as a way to measure its speed. A wooden log was tied to the end of the rope. The records were kept in a log book, from which the terms to log on and to log off originate. Similarly, we mine cryptocurrencies, and store data in server farms. In a mere half-century, we’ve minimised manual labour, and now construct an architecture whose users are not human. We’re building buildings for servers. The proliferation of these rural and industrial metaphors might serve as an attempt to render the internet as harmless, and more relatable?
Allora & Calzadilla, Amphibious (Login-Logout), 2005, DVD, 6:17 min.
Exhibition view, The Dutch Savannah, museum De Domijnen, 2018.


글: 바스 헨드릭스
몇 년 전 나는 조용한 대학 교정 인근에서 살았다. 새 건물이 지어졌다. 나는 이 교정에서 운동 삼아 달리기를 할 때 멀리서 이 건물을 바라보며 감탄하곤 했다. 건물은 둔중했으나 멋스러웠다. 어두운 날 빛이 비치는 건물은 단조로워 보였으나 희미하게 빛났다. 건물의 외관은 흑백으로 연출되었으며, 길게 늘어뜨린 삼각형이 건물의 정면을 덮고 있었다. 건물을 지나며 보면 이는 미묘하게 밝은 색에서 짙은 회색으로, 그리고 해가 뜨거나 지기 전에는 은색으로 변하곤 했다. 건물의 핵심은 간섭무늬(moire pattern)로 이는 건물의 정면을 생동감있게 보이게 한다. 이로 인해 건물은 보다 마음에 들고 요염해 보였다. 건물에는 창문이 없다. 그렇다고 창문이 필요해 보이진 않는다. 이는 건물이 데이터센터이기 때문이다. 이는 오직 서버만을 위한 건물이다.

시골에 살고 있는 한 남자가 있다. 어느 날 정원의 땅을 파다가 무언가 딱딱한 것을 건드렸다. 나무뿌리라 생각하고 이것을 잘라버렸다. 그러나 이것은 나무 뿌리가 아니라 인터넷 케이블이었다. 그는 삽에 힘을 주어 인근 마을 전체로 이어지는 인터넷 선을 끊어버린 것이었다. 정원에 서 있는 그를 상상하면 연결성(connectivity)이 무엇인지 눈에 보이는 것 같다. 그는 아마도 인터넷망(the grid)과는 무관한 삶을 살았을 것이며 그래서 돌발적으로 인터넷망에 타격을 입혔을 것이다. 이는 다소 진부한 이야기지만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한다. 그렇지 않은가?

대양을 가로지르는 케이블은 해저에서 상어, 선박의 닻, 해저지진과 같은 몇 가지 위험에 직면한다. 언제 이 케이블이 해변에 도달할지는 차원이 다른 문제이다. 케이블이 해변으로 파도에 밀려 도달하는 지점을 상륙지점(a landing point)이라 부른다. 상륙지점에서 케이블은 위험에 보다 취약해 더 두꺼운 케이블을 이용한다. 다람쥐부터 외부의 적까지 무엇이든 잠재적으로 인터넷망에 위해를 가할 수 있다. 이 지점은 은폐할수록 더욱 좋다. 그러므로 상륙지점은 흔히 볼 수 있는 벽돌건물로 위장해 기존 구조물과 구분을 어렵게 만든다. 창문이 전혀 없는 매우 평범하고 별다른 특징이 없는 건물이나 해당 지점에 위치한 건물을 모방해 유사한 건물을 짓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일 수 있다. 어느 쪽이든 감시카메라가 있으며 인적이 드물고 높은 울타리에 둘러싸여 있다면 틀림없이 데이터센터와 관련된 건물임을 암시하는 단서라 할 수 있다.

대학 교정 내의 데이터센터는 건물 주변에 조성한 인공적인 수로, 즉 해자로 둘러싸여 있다 다소 역설적이긴 하지만 이는 공격을 피하기 위해 건물과 해자 사이의 다리를 들어올리도록 설계된 일종의 보호수단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데이터센터의 치명적인 약점은 물 공급 시스템에 있다. 데이터센터는 컴퓨터를 냉각시키기 위해 많은 양의 물을 필요로 한다. 공조시스템 또한 데이터센터의 존속을 위해 필수적이다. 그래서 테러리스트가 한 국가, 정부, 경제를 공격하고자 할 때 매우 효과적인 방법은 데이터센터의 물공급을 차단하는 것이다. 디지털 전쟁의 시대에 데이터센터의 물 공급을 차단하는 것은 생명선을 끊는 것과 같다.

1858년 탐험가 알렉산더 폰 훔볼트는 〈지도책〉(Atlas)과 함께 그의 주요 저서인 〈우주〉(Kosmos)를 출판했다. 전세계를 여행하며 그는 생태가 대륙이 아니라 식생과 기후가 고도와 위도에 따라 결정되는 지역에 따라 분류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그의 지도는 히말라야와 안데스 산맥에서 여러 고도에 따라 식생(vegetation)의 유사성을 보여주는 도해를 포함한다. 오늘날 과학자들은 기후위기의 결과를 보여주며 해설하는 이러한 도해를 여전히 이용한다. 지리학자나 과학자들이 생태를 국지적 규모로 사고했던 당시 획기적이었던 것은 훔볼트가 이러한 세계관을 ‘생명체의 망’(web of life)이라 부른 것이다. 그는 자신의 일기장에 또 다른 망인 전신 케이블망에서 받은 깊은 인상을 기술했다. 이러한 케이블은 해저에 부설돼 전세계 교역의 중심지를 연결했다. 이후 이 전신케이블은 광케이블로 대체되었으나 부설된 위치는 여전히 동일하다.

최초로 개인용 컴퓨터가 출현한 이후, 우리는 디지털의 추상적 개념을 구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물질적 대상(데스크탑, 쓰레기통, 폴더)을 지칭하는 용어를 사용했다. ‘로그인’(login)과 같은 용어를 예로 들어보자. 해양관련 세계로부터 파생한 용어로 ‘log in’은 배의 속도를 측정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매듭이 달린 밧줄을 물 속으로 밀어 넣어 배의 속도를 기록하는 측정시스템을 말한다. 밧줄 끝에는 통나무가 묶여있다. 이 기록은 항해일지(a log book)에 기록되며 이로부터 로그온(log on)이나 로그오프(log off)같은 용어들이 유래했다. 이와 유사하게 우리는 암호화폐를 ‘채굴’(mine)하고 데이터를 서버 팜(server farm)에 저장한다. 겨우 반세기만에 우리는 육체노동을 최소화했고 사용자가 인간이 아닌 컴퓨터 시스템(an architecture)을 구성하고 있다. 우리는 서버를 위한 건물을 짓고 있다. 이러한 전원적, 산업적 은유(rural, industrial metaphors)의 확산은 인터넷을 무해하고 보다 친숙하게 만들고자 하는 시도인가?

이 글은 〈액체 지평선으로부터의 상승〉(Ascending from the Liquid Horizon) (Cura Books, 2019)에 포함된 “안녕, 알렉스”를 일부 수정한 것이다.
글: 바스 헨드릭스
몇 년 전 나는 조용한 대학 교정 인근에서 살았다. 새 건물이 지어졌다. 나는 이 교정에서 운동 삼아 달리기를 할 때 멀리서 이 건물을 바라보며 감탄하곤 했다. 건물은 둔중했으나 멋스러웠다. 어두운 날 빛이 비치는 건물은 단조로워 보였으나 희미하게 빛났다. 건물의 외관은 흑백으로 연출되었으며, 길게 늘어뜨린 삼각형이 건물의 정면을 덮고 있었다. 건물을 지나며 보면 이는 미묘하게 밝은 색에서 짙은 회색으로, 그리고 해가 뜨거나 지기 전에는 은색으로 변하곤 했다. 건물의 핵심은 간섭무늬(moire pattern)로 이는 건물의 정면을 생동감있게 보이게 한다. 이로 인해 건물은 보다 마음에 들고 요염해 보였다. 건물에는 창문이 없다. 그렇다고 창문이 필요해 보이진 않는다. 이는 건물이 데이터센터이기 때문이다. 이는 오직 서버만을 위한 건물이다.

시골에 살고 있는 한 남자가 있다. 어느 날 정원의 땅을 파다가 무언가 딱딱한 것을 건드렸다. 나무뿌리라 생각하고 이것을 잘라버렸다. 그러나 이것은 나무 뿌리가 아니라 인터넷 케이블이었다. 그는 삽에 힘을 주어 인근 마을 전체로 이어지는 인터넷 선을 끊어버린 것이었다. 정원에 서 있는 그를 상상하면 연결성(connectivity)이 무엇인지 눈에 보이는 것 같다. 그는 아마도 인터넷망(the grid)과는 무관한 삶을 살았을 것이며 그래서 돌발적으로 인터넷망에 타격을 입혔을 것이다. 이는 다소 진부한 이야기지만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한다. 그렇지 않은가?

대양을 가로지르는 케이블은 해저에서 상어, 선박의 닻, 해저지진과 같은 몇 가지 위험에 직면한다. 언제 이 케이블이 해변에 도달할지는 차원이 다른 문제이다. 케이블이 해변으로 파도에 밀려 도달하는 지점을 상륙지점(a landing point)이라 부른다. 상륙지점에서 케이블은 위험에 보다 취약해 더 두꺼운 케이블을 이용한다. 다람쥐부터 외부의 적까지 무엇이든 잠재적으로 인터넷망에 위해를 가할 수 있다. 이 지점은 은폐할수록 더욱 좋다. 그러므로 상륙지점은 흔히 볼 수 있는 벽돌건물로 위장해 기존 구조물과 구분을 어렵게 만든다. 창문이 전혀 없는 매우 평범하고 별다른 특징이 없는 건물이나 해당 지점에 위치한 건물을 모방해 유사한 건물을 짓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일 수 있다. 어느 쪽이든 감시카메라가 있으며 인적이 드물고 높은 울타리에 둘러싸여 있다면 틀림없이 데이터센터와 관련된 건물임을 암시하는 단서라 할 수 있다.

대학 교정 내의 데이터센터는 건물 주변에 조성한 인공적인 수로, 즉 해자로 둘러싸여 있다 다소 역설적이긴 하지만 이는 공격을 피하기 위해 건물과 해자 사이의 다리를 들어올리도록 설계된 일종의 보호수단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데이터센터의 치명적인 약점은 물 공급 시스템에 있다. 데이터센터는 컴퓨터를 냉각시키기 위해 많은 양의 물을 필요로 한다. 공조시스템 또한 데이터센터의 존속을 위해 필수적이다. 그래서 테러리스트가 한 국가, 정부, 경제를 공격하고자 할 때 매우 효과적인 방법은 데이터센터의 물공급을 차단하는 것이다. 디지털 전쟁의 시대에 데이터센터의 물 공급을 차단하는 것은 생명선을 끊는 것과 같다.

1858년 탐험가 알렉산더 폰 훔볼트는 〈지도책〉(Atlas)과 함께 그의 주요 저서인 〈우주〉(Kosmos)를 출판했다. 전세계를 여행하며 그는 생태가 대륙이 아니라 식생과 기후가 고도와 위도에 따라 결정되는 지역에 따라 분류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그의 지도는 히말라야와 안데스 산맥에서 여러 고도에 따라 식생(vegetation)의 유사성을 보여주는 도해를 포함한다. 오늘날 과학자들은 기후위기의 결과를 보여주며 해설하는 이러한 도해를 여전히 이용한다. 지리학자나 과학자들이 생태를 국지적 규모로 사고했던 당시 획기적이었던 것은 훔볼트가 이러한 세계관을 ‘생명체의 망’(web of life)이라 부른 것이다. 그는 자신의 일기장에 또 다른 망인 전신 케이블망에서 받은 깊은 인상을 기술했다. 이러한 케이블은 해저에 부설돼 전세계 교역의 중심지를 연결했다. 이후 이 전신케이블은 광케이블로 대체되었으나 부설된 위치는 여전히 동일하다.

최초로 개인용 컴퓨터가 출현한 이후, 우리는 디지털의 추상적 개념을 구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물질적 대상(데스크탑, 쓰레기통, 폴더)을 지칭하는 용어를 사용했다. ‘로그인’(login)과 같은 용어를 예로 들어보자. 해양관련 세계로부터 파생한 용어로 ‘log in’은 배의 속도를 측정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매듭이 달린 밧줄을 물 속으로 밀어 넣어 배의 속도를 기록하는 측정시스템을 말한다. 밧줄 끝에는 통나무가 묶여있다. 이 기록은 항해일지(a log book)에 기록되며 이로부터 로그온(log on)이나 로그오프(log off)같은 용어들이 유래했다. 이와 유사하게 우리는 암호화폐를 ‘채굴’(mine)하고 데이터를 서버 팜(server farm)에 저장한다. 겨우 반세기만에 우리는 육체노동을 최소화했고 사용자가 인간이 아닌 컴퓨터 시스템(an architecture)을 구성하고 있다. 우리는 서버를 위한 건물을 짓고 있다. 이러한 전원적, 산업적 은유(rural, industrial metaphors)의 확산은 인터넷을 무해하고 보다 친숙하게 만들고자 하는 시도인가?

이 글은 〈액체 지평선으로부터의 상승〉(Ascending from the Liquid Horizon) (Cura Books, 2019)에 포함된 “안녕, 알렉스”를 일부 수정한 것이다.
Allora & Calzadilla, Amphibious (Login-Logout), 2005, DVD, 6:17 min.
Exhibition view, The Dutch Savannah, museum De Domijnen, 2018.


Allora & Calzadilla, Amphibious (Login-Logout), 2005, DVD, 6:17 min.
Exhibition view, The Dutch Savannah, museum De Domijnen, 2018.


issue 2
Made on
Til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