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llow the Tin
주석을 따라서
By Patricia Pisters
& Geomediations Research Group
글: 패트리샤 피스터스
& 지오메디에이션 리서치그룹
글: 패트리샤 피스터스
& 지오메디에이션 리서치그룹

Tin is a friend, says Primo Levi in his Periodical Table. Because it melts at low temperature, almost like organic materials, that is ‘almost like us’. Moreover tin can scream (the weeping or crying of tin) and it can succumb to ‘tin pest’ (when it transforms into brittle grey matter). Perhaps it is also because of this ‘closeness to us’ that we find tin in Hans Christian Andersons “The Brave Tin Soldier” and in Frank Baums “tin man” in The Wizard of Oz; the tin soldier is hopelessly in love with a paper ballerina, and the tin man longs for a heart, so that he can really be human. In this compilation I follow tin, starting with its cry and transformation into grey tin, and also the tin soldiers, toys and robots play an important role. Tin is often found in alloys, with copper to form bronze, or pewter. Or with lead, in soldering, which is a main application of tin.


But I first move to tin mining that is mainly situated in Asia (Indonesia, Malaysia and Thailand, as well as Australia are main producers of Tin). Tin is also found in Bolivia, Nigeria and also in Cornwall (UK) tin mining has been big. Tin mining, as most mining sites, does not leave the environment untainted. The Bangka Islands in Indonesia, for instance, pay a huge price for tin mining. The islands produces currently 1/3 of the world supply of tin, much used in soldering for smartphones by companies like Apple and Samsung. Mining companies leave the land often barren, stagnant lakes of polluted water make the water undrinkable. And tin is also increasingly mined in the sea surrounding the islands, which has devastating effects on the corals and sea turtle population.

Besides it’s (hidden) use in our smartphones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that need to be connected, and the use of tin in fluoride tooth pastes (Crest, Oral B and Sensodyne, for instance, use tin in their products), perhaps the most common use of tin is in the canning of food (and beverages) that use a tin code. Since the invention of the tin can in the 19th century, and its industrialization in the 20th century, the tin can has become part of every house hold. Tin cans are typically tied at the back of a car of a ‘just married’ couple, when they depart on their honey moon.


Tin is also used as a cheap way of roofing. When one searches for tin roofs, however, the main source of reference are hours and hours of sound tracks of ‘rain on a tin roof’ – which has a calming, meditating and relaxing effect. And of course I had to refer to A Cat on a Hot Tin Roof. Tin is also used for musical instruments. The tin whistle, famously sounding in the title song of James cameron’s The Titanic title song “My heart can’t go on” did not end up in this compilation. The tin drum, however, does return both in the sound track and in an excerpt from Volker Schlondorff’s The Tin Drum (1979). And of course there is the music (or noise) made by tin plates, used as cymbals.

I was struck by the fact that tin often connotes to madness, the noise of the tin instruments signifying a traumatic experience, or in any case a confrontation with madness. In Suddenly Last Summer (Manciewicz) and A Streetcar Named Desire (Kazan) there are references to tin in relation to losing one’s mind. In the latter film, moreover, the Mexican tin flowers are associated with death (even though more colorful variations in Mexican folk art are used for many other occasions). In his more contemporary The Sky Trembles and the Earth is Afraid and the Eyes are not Two Brothers tin plates also feature prominently in relation to ‘loss of the self’. The other obvious reference to madness, is related to the cultural history of tin foil as a protector against electromagnetic radiation and other intrusions. While tin foil in your wallet apparently (and arguably) protects against contactless card fraud, the tin foil head is associated with paranoid conspiracy ideas. In popular culture there are many references to this aspect of tin: The X-Files, Signs, and Better Call Saul are television shows that refer to this phenomenon. In Breaking Bad spin-off Better Call Saul, Saul’s electromagnetic sensitive brother, wraps himself in tin foil and withdraws from social life. Also on internet the references to tin hats are numerous, which I included in the film.


Finally, tin as an alchemical metal is connected to Jupiter. Jupiter, the largest planet of our solar system, is generally endowed with optimistic spirit (to counter the dark mood of its neighboring Saturn). It is recognized in esoteric traditions as the planet of the higher (more sensitive) mind. It also represents goodness and generosity. This video is part of a series of the alchemical metals in the series #metallurgy… metals…minds. Up next is Mercury, which will be followed by lead (I have been working backwards in this series).

프리모 레비는 <주기율표>(Periodical Table)에서 주석(tin)은 친구라고 말한다. 이는 주석이 유기물처럼, ‘거의 우리 인간처럼’ 낮은 온도에서 녹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주석은 비명을 지르며(주석의 흐느낌, 울음), ‘주석페스트’(tin pest)에 굴복한다. (주석은 바스라져 회색 물질로 변한다) 한스 안데르센의 <용감한 주석병정>(The Brave Tin Soldier)이나 프랑크 바움스의 <오즈의 마법사>(The Wizard of Oz)에 등장하는 “주석인간”(tin man)이 의미하듯, 아마도 이는 주석이 갖는 ‘인간과의 유사성’ 때문이다. 주석병정은 종이 발레리나와 절망적인 사랑에 빠지며 주석인간은 사람이 될 수 있길 간절히 바란다. 이 편집영상에서 나는 주석의 울음과 회색 주석으로의 변형부터 시작해 주석을 관찰한다. 그리고 주석병정, 장난감, 로봇은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석은 구리와의 합금인 청동이나 백랍같은 합금에 종종 함유되어 있다. 납과의 합금에도 함유되어 있는데 납땜 시 주석이 주로 이용된다.
먼저 주로 아시아에 위치한 주석 채굴현장(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그리고 호주)에서 시작한다. 주석 채굴은 볼리비아, 나이제리아, 영국(콘월)에서도 이루어진다. 주석 채굴은 대부분 대규모의 환경오염을 초래한다. 예를 들어, 인도네시아 방카섬은 주석채굴을 위해 큰 대가를 치르고 있다. 애플이나 삼성 같은 기업에서 스마트폰 제조를 위한 납땜에 대부분 소비되는 주석의 1/3이 이 섬에서 생산된다. 채굴회사는 토지를 황폐화 시키고, 고여있는 호수물은 오염으로 인해 마실 수 없다. 그리고 주석은 섬 주위의 연안에서 채굴되고 있는데 이는 산호나 바다거북에게 대단히 파괴적인 영향을 미친다.

주석은 스마트폰과 여러 전자기기 제조를 위해 사용될 뿐만 아니라 불소치약을 만드는데도 이용된다. (예들 들어 크레스트, 오랄비, 센소다인 등이 치약을 만드는데 주석을 이용한다) 주석은 음식물(음료)을 담는 통조림통으로 보편적으로 이용된다. 19세기 통조림통이 발명되고 20세기 이를 산업화한 이후 통조림통은 모든 가정의 일부가 되었다. 그리고 신혼부부들은 결혼식을 마치고 신혼여행을 떠날 때 차 뒤에 이러한 양철통을 매달곤 했다.

주석은 또한 지붕을 만드는 가장 싼 재료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양철지붕에 관해 말할 때 이의 주요한 원천이라 할 수 있는 것은 ‘양철지붕 위로 내리는 빗소리’로 이는 우리 마음을 고요하고 사색적이며 편하게 해주는 효과를 갖는다. 물론 <뜨거운 양철지붕 위의 고양이>(A Cat on a Hot Tin Roof)도 언급해야 할 것이다. 주석은 또한 악기를 제작하는데 이용된다. 제임스 카메론 감독의 영화 <타이타닉>(The Titanic)의 유명한 주제곡 “내 마음은 변함이 없을 거예요”(My heart will go on)에서 흐르는 주석피리 소리는 이 영상 편집본에서 끝까지 계속된다. 그러나 양철북 소리는 녹음부분과 폴커 슐렌도르프 감독의 <양철북>(The Tin Drum, 1979)의 일부를 발췌한 영상 부분에서 등장한다. 그리고 물론 심벌즈로 이용되는 양철에서 나는 음악(소음) 소리도 들린다.

나는 주석이 자주 정신이상을 함의하고 양철악기의 소음은 외상적인 경험을 암시하거나 광기에 대한 대립을 의미한다는 사실을 떠올렸다. <갑자기, 지난 여름>(Suddenly Last Summer)(맹키비츠)과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A Streetcar Named Desire)(카잔)에는 주석이 정신이상과 관련이 있음을 암시하는 장면이 있다. 더군다나 후자의 영화에서 멕시코의 양철로 만든 꽃은 죽음과 연관이 있다. (멕시코 민속예술에서 보다 다채로운 변주가 다양한 상황에 이용될지라도) 보다 최근의 영화 <하늘은 흔들리고>(The Sky Trembles and the Earth Is Afraid and the Two Eyes Are Not Brothers)에서 양철판은 ‘자아의 상실’과 관련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정신이상에 대한 또 다른 명확한 언급은 전자파, 방사선, 혹은 다른 침입물로부터 보호하는 물질로서 은박지의 문화사와 관련이 있다. 지갑 속에 은박지를 붙이면 분명하게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접촉없이 카드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피해망상적인 음모론과 관련이 있다. 대중문화에서 이러한 현상에 관한 여러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엑스파일>(The X-Files), <싸인>(Signs), <베터 콜 사울>(Better Call Saul)과 같은 텔레비전 드라마가 이 같은 은박지와 관련된 현상을 다루고 있다. <베터 콜 사울>의 파생작인 <브레이킹 배드>(Breaking Bad)에서 사울의 전자기에 민감한 형제는 스스로를 은박지로 감싸고 사회생활로부터 격리한다. 이 영상에서 내가 포함시킨 것처럼 인터넷에는 양철모자에 관한 수많은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금술적인 금속으로서 주석은 목성과 관련이 있다. 우리 태양계 내에서 가장 큰 행성인 목성은 낙관적인 기운을 타고난 것으로 보인다. (이웃 행성인 토성이 음울한 기운을 갖는 것과 대조적으로) 이는 신비주의적 전통 속에서 높은(보다 민감한) 정신을 갖는 행성으로 여겨진다. 이는 또한 선함과 관대함을 대변한다. 이 비디오는 #야금술….금속….마음 연작(the series #metallurgy…..metals…..minds)에서 연금술적 금속 연작의 일부이다. 다음으로 다룰 금속은 수은이고 이후 납을 다룰 것이다. (이 연작에서 반대 순서로 작업하고 있다.)
프리모 레비는 <주기율표>(Periodical Table)에서 주석(tin)은 친구라고 말한다. 이는 주석이 유기물처럼, ‘거의 우리 인간처럼’ 낮은 온도에서 녹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주석은 비명을 지르며(주석의 흐느낌, 울음), ‘주석페스트’(tin pest)에 굴복한다. (주석은 바스라져 회색 물질로 변한다) 한스 안데르센의 <용감한 주석병정>(The Brave Tin Soldier)이나 프랑크 바움스의 <오즈의 마법사>(The Wizard of Oz)에 등장하는 “주석인간”(tin man)이 의미하듯, 아마도 이는 주석이 갖는 ‘인간과의 유사성’ 때문이다. 주석병정은 종이 발레리나와 절망적인 사랑에 빠지며 주석인간은 사람이 될 수 있길 간절히 바란다. 이 편집영상에서 나는 주석의 울음과 회색 주석으로의 변형부터 시작해 주석을 관찰한다. 그리고 주석병정, 장난감, 로봇은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석은 구리와의 합금인 청동이나 백랍같은 합금에 종종 함유되어 있다. 납과의 합금에도 함유되어 있는데 납땜 시 주석이 주로 이용된다.
먼저 주로 아시아에 위치한 주석 채굴현장(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그리고 호주)에서 시작한다. 주석 채굴은 볼리비아, 나이제리아, 영국(콘월)에서도 이루어진다. 주석 채굴은 대부분 대규모의 환경오염을 초래한다. 예를 들어, 인도네시아 방카섬은 주석채굴을 위해 큰 대가를 치르고 있다. 애플이나 삼성 같은 기업에서 스마트폰 제조를 위한 납땜에 대부분 소비되는 주석의 1/3이 이 섬에서 생산된다. 채굴회사는 토지를 황폐화 시키고, 고여있는 호수물은 오염으로 인해 마실 수 없다. 그리고 주석은 섬 주위의 연안에서 채굴되고 있는데 이는 산호나 바다거북에게 대단히 파괴적인 영향을 미친다.

주석은 스마트폰과 여러 전자기기 제조를 위해 사용될 뿐만 아니라 불소치약을 만드는데도 이용된다. (예들 들어 크레스트, 오랄비, 센소다인 등이 치약을 만드는데 주석을 이용한다) 주석은 음식물(음료)을 담는 통조림통으로 보편적으로 이용된다. 19세기 통조림통이 발명되고 20세기 이를 산업화한 이후 통조림통은 모든 가정의 일부가 되었다. 그리고 신혼부부들은 결혼식을 마치고 신혼여행을 떠날 때 차 뒤에 이러한 양철통을 매달곤 했다.

주석은 또한 지붕을 만드는 가장 싼 재료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양철지붕에 관해 말할 때 이의 주요한 원천이라 할 수 있는 것은 ‘양철지붕 위로 내리는 빗소리’로 이는 우리 마음을 고요하고 사색적이며 편하게 해주는 효과를 갖는다. 물론 <뜨거운 양철지붕 위의 고양이>(A Cat on a Hot Tin Roof)도 언급해야 할 것이다. 주석은 또한 악기를 제작하는데 이용된다. 제임스 카메론 감독의 영화 <타이타닉>(The Titanic)의 유명한 주제곡 “내 마음은 변함이 없을 거예요”(My heart will go on)에서 흐르는 주석피리 소리는 이 영상 편집본에서 끝까지 계속된다. 그러나 양철북 소리는 녹음부분과 폴커 슐렌도르프 감독의 <양철북>(The Tin Drum, 1979)의 일부를 발췌한 영상 부분에서 등장한다. 그리고 물론 심벌즈로 이용되는 양철에서 나는 음악(소음) 소리도 들린다.

나는 주석이 자주 정신이상을 함의하고 양철악기의 소음은 외상적인 경험을 암시하거나 광기에 대한 대립을 의미한다는 사실을 떠올렸다. <갑자기, 지난 여름>(Suddenly Last Summer)(맹키비츠)과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A Streetcar Named Desire)(카잔)에는 주석이 정신이상과 관련이 있음을 암시하는 장면이 있다. 더군다나 후자의 영화에서 멕시코의 양철로 만든 꽃은 죽음과 연관이 있다. (멕시코 민속예술에서 보다 다채로운 변주가 다양한 상황에 이용될지라도) 보다 최근의 영화 <하늘은 흔들리고>(The Sky Trembles and the Earth Is Afraid and the Two Eyes Are Not Brothers)에서 양철판은 ‘자아의 상실’과 관련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정신이상에 대한 또 다른 명확한 언급은 전자파, 방사선, 혹은 다른 침입물로부터 보호하는 물질로서 은박지의 문화사와 관련이 있다. 지갑 속에 은박지를 붙이면 분명하게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접촉없이 카드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피해망상적인 음모론과 관련이 있다. 대중문화에서 이러한 현상에 관한 여러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엑스파일>(The X-Files), <싸인>(Signs), <베터 콜 사울>(Better Call Saul)과 같은 텔레비전 드라마가 이 같은 은박지와 관련된 현상을 다루고 있다. <베터 콜 사울>의 파생작인 <브레이킹 배드>(Breaking Bad)에서 사울의 전자기에 민감한 형제는 스스로를 은박지로 감싸고 사회생활로부터 격리한다. 이 영상에서 내가 포함시킨 것처럼 인터넷에는 양철모자에 관한 수많은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금술적인 금속으로서 주석은 목성과 관련이 있다. 우리 태양계 내에서 가장 큰 행성인 목성은 낙관적인 기운을 타고난 것으로 보인다. (이웃 행성인 토성이 음울한 기운을 갖는 것과 대조적으로) 이는 신비주의적 전통 속에서 높은(보다 민감한) 정신을 갖는 행성으로 여겨진다. 이는 또한 선함과 관대함을 대변한다. 이 비디오는 #야금술….금속….마음 연작(the series #metallurgy…..metals…..minds)에서 연금술적 금속 연작의 일부이다. 다음으로 다룰 금속은 수은이고 이후 납을 다룰 것이다. (이 연작에서 반대 순서로 작업하고 있다.)
issue 2
Made on
Til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