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text is an edited excerpt of the essay “A Global Climate Event” by Jasmijn Visser, which was written for HKW’s upcoming book series “The New Alphabet“ (DNA) number 16. “War and Wardrobe”. Edited by Daniel Neugebauer.
“A Global Climate Event” is written in close consultation with S†ëfan Schäfer. The visuals are made by S†ëfan Schäfer & Jasmijn Visser.
The essay focuses on how to write the climate disaster, especially the dynamic interrelations of climate and war. By using the facets into, inside, and out of war, it is possible to create a sense of unity in something that consists of disparate, heterogenous elements. As a model for the writing of complex superstory of the climate disaster, Velimir Khlebnikov’s concept of the supersaga, is used as a model.
Prologue: Rains of fine sand.
Let’s start the supersaga in 1600, in the western Andes, Peru.
The earth has been shaking for a while now. Tremors and earthquakes seem to never end. The tectonic movements cause tearing and flooding. The ground is unstable under the population’s feet.
The trembling marks the final years of an eventful century: Inca emperor Atahualpa has been tricked and captured by the Spanish, and the subsequent civil war marks the defeat of the Inca Empire.1 The defeat brings Catholic missionaries to the trembling region now known as Peru. Their missions are triggered by the 1494 Treaty of Tordesillas,2 which divided all lands regarded as ‘newly discovered’, between Portugal and Spain. This was done simply by drawing a vertical line straight across the world map: the east side belonging to Spain, the west side to Portugal. The treaty is mediated by the controversial Pope Alexander VI, under the condition that all the indigenous inhabitants of the newly conquered lands, either east or west of the demarcation line, will be Catholic. In order to spread Catholicism, several missionaries sail towards South America, one of whom is the friar Antonio Vázquez de Espinosa, who arrives in Peru in 1600.
The earth is round. That is what Antonio Vázquez de Espinosa notes in his log. One can trace the curve the sun makes over it from east to west. While traveling to the Americas, he observes that, where only sky and water can be seen, the horizon curves. “The earth,” he writes, “sustains and holds everything itself.”3
Over this round earth, Vázquez de Espinosa travels to the city of Arequipa. There, he finds a city shaken to its core, the inhabitants are speaking of an ominous event: the sudden appearance of black clouds, followed by rains of fine sand, coinciding with thunderclaps and thunderbolts. Afterwards, the city is cloaked in darkness for days.
Now, Arequipa is in disarray. People are wailing for their sins, offering penance, giving away all of their belongings. While the Catholic church organizes sermons and processions, Vázquez de Espinosa notes that the indigenous population turn to soothsayers and wizards for consolation, further complicating his Christian mission.
It is stated as a certainty that many of the Indians talked with the Devil; the padres who instructed them, weaned them […] from such wickedness; but they were such great sorcerers that they said the Devil had told them that the volcano was about to erupt, and as it came to pass later, they say that five of them hanged themselves at the instigation of the Evil One.4
Red-hot pumice stone.
The days without sunlight had been caused by the outburst of the Huaynaputina (Wajnapu’tina) volcano that had just killed about 1,500 people. Arequipa had found itself in the initial fallout zone of the volcano.5 Locals reported that the Rio de Tambo—the river which runs near the volcano—was filled with red-hot pumice stone that burned up all the farms and cattle in its vicinity. When it carried the lava out to the sea, it roasted all the fish and carried them to shore.6
When Vázquez de Espinosa travels over the surrounding plains, he sees the devastation of the eruption himself:
an uninhabitable sandy desert and ashes, in which lie great numbers of dead oxen, cows, bulls, horses, mules, sheep, and goats, dried up in the ashes and the sand; […] the sun is so intense and there is no water, so that they gave out and perished.7
Solar insolation reduction.
On February 16, 1600, the 4,850-meter-high volcano has been erupting for about twelve to nineteen hours. The initial fallout is regional: its ashes keep raining until March 6, and the first clear air surrounding Huaynaputina is estimated to have arrived around April 2, 1600. The Huaynaputina outburst is one of the largest volcanic eruptions on record; the volcanic ash has a lobe of 95,000 square kilometers.8 A captain’s log of a vessel 1,000 kilometers off the Peruvian coast notes the ash-filled rain. Centuries later, the ashes will be detected in the ice core of Antarctica.9
But the Huaynaputina doesn’t just create a rain of ashes, it creates a veil of sun-reflecting sulfate aerosols, which spreads all over the round earth. This blanket of sulfate particles blocks out significant amounts of sunlight, which causes solar insolation reduction. The lack of sunlight then leads to what is known as a volcanic winter: an unusually early, extremely cold winter.
The timing of the Huaynaputina outburst is unfortunate; the years 1300 to 1850 are popularly dubbed the “Little Ice Age” due to a prolonged period of regional cooling.10 To add insult to injury, the abrupt global cooling in the wake of the Peruvian eruption results in the lowest temperatures of the era. The outburst of the Huaynaputina becomes a global climate event.
Three absences of summer.
The earth is round, the outburst of one volcano creates the same shift in weather all around the globe, from the dead oxen on the Peruvian plains, to all the other continents. Global temperatures in the years 1601 to 1603 reach extreme lows. In Peru, wine production is severely affected. The Pacific Ocean winds rage particularly strong. The Americas, Europe, and Asia all battle with failed harvests. Then, in spring, unprecedented amounts of snow melt causes severe flooding in Eurasia.11 But the climate event doesn’t just bring the cold. In several regions in China, local gazetteers note particularly cold winters followed by abnormally hot springs.12 Both Korea and China struggle with epidemics, such as the plague. Some European countries see three subsequent absences of summer.
INTO WAR
Ten weeks of rain.
As the veil of sun-reflecting sulfate aerosols increasingly covers the curvature of the globe, other countries find themselves in a changed environment. Although Vázquez de Espinosa writes that “it is well known and agreed that the world is round,”13 it is likely that, in the Czardom of Russia in 1600, no one had heard of the Huaynaputina volcano located some 10,000 kilometers away. Furthermore, no one is aware that they are about to become part of a global climate event.
Russia has other worries; Czar Fyodor Ivanovich, the mentally weak son of the infamous Ivan Grozny (popularly known as Ivan the Terrible), and the last ruler in the infamous Rurik dynasty, has died in 1598. Boris Godunov, a man from a different bloodline ascends to the throne of the unsteady young Czardom. In his first year in power, the blanket of soot particles from Peru reaches Russia, and the solar insular reduction devastates Russia’s agriculture. The country experiences summers with ten weeks of rain, followed by early frosts in the fall.14 Subsequently, three consecutive harvests fail. It is the lowest point in an era already known as the “Time of Troubles” (Смутное время)—a three-year-long famine.15
The young, unsettled Czardom begins to fall apart; many landowners release their serfs to avoid the responsibility of feeding them. The freed people turn into hungry mobs, conducting robberies on main roads.16 People seek help in Moscow, where dogs, cats, horses, and even manure are eaten; there are accounts of cannibalism. Climate events often lead to the outbreak of epidemics: in the case of Russia, cholera breaks out. The weary population speculate on where grain reserves might still be held and attack several buildings.17
Chorus
Please, in the name of Christ,
do save us from hunger!
Tsar—Father—
in the name of the Savior!
[…]
Your people cry—
we’re hungry—
We are hungry!
Give us bread to eat!
Tsar, give us bread to eat!
We are hungry—
Tsar—give us bread to eat!
In the name of Lord Jesus. 18
1600년 페루 안데스산맥 서부에서 이 이야기를 시작해보자.
지구가 한 동안 흔들렸다. 진동과 지진이 결코 멈출 것 같지 않았다. 지층의 이동이 지각을 분리시키고 홍수를 유발했다. 사람들의 발 아래 지면은 불안정했다.
다사다난한 세기의 마지막은 이러한 흔들림으로 특징 지워진다. 잉카제국의 마지막 황제 아타우알파는 스페인 군대에 의해 속임을 당해 체포되었으며, 뒤이은 내전은 잉카제국의 패배를 가져왔다.1 패배 이후 천주교 선교사들이 현재 페루로 알려진 지역으로 들어왔다. 이들의 임무는 1494년 스페인과 포르투갈 사이에 ‘새롭게 발견된’ 모든 영토를 분할하기 위해 조인된 토르데시야스 조약(Treaty of Tordesillas)2에 의해 촉발되었다. 이 영토분할은 세계지도 상에서 수직선을 그어 확정되었는데 이 경계선을 기준으로 동쪽은 스페인, 서쪽은 포르투갈이 점유하기로 했다. 조약은 논란의 여지가 많은 교황 알렉산데르 6세에 의해 중재되었는데, 그가 내세운 조건은 새로 정복한 영토의 토착민들은 (동쪽이든 서쪽이든) 모두 천주교 신자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천주교를 전파하기 위해 여러 선교사들이 남아메리카로 갔으며 그 중 한 명이 1600년 페루에 도착한 안토니오 바즈케즈 디 에스피노사이다.
“지구는 둥글다.” 에스피노사는 여행기에서 이렇게 썼다. 우리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태양이 그리는 곡선을 따라갈 수 있다. 하늘과 물만이 보이는 망망대해를 통해 아메리카로 가는 동안 그는 곡선으로 보이는 수평선을 관찰했다. “지구는 그 자체로 모든 것을 유지 보존하고자 한다.”3라고 그는 기술했다.
에스피노사는 둥근 지구 위로 아레키파까지 여행했다. 그곳에서 그는 도시가 크게 흔들리고 거주자들이 불길한 현상에 대해 말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검은 구름이 갑자기 나타났으며 천둥과 벼락과 함께 모래비가 내렸다. 이후 도시는 수일간 어둠에 휩싸였다.
아레키파는 혼란 속에 잠겨있었다. 사람들은 자신의 죄를 회개하며 울부짖고 자신의 소유물을 나누어주었다. 성당에서는 신부가 설교를 진행했고, 에스피노사는 보다 복잡한 선교업무를 수행하며 토착민들이 위안을 찾고자 하는 모습에 주목했다.
사람들이 확신을 가지고 말하길 많은 인디언들이 악마와 대화할 수 있다고 한다. 신부들은 이들이 사술(wickedness)로부터 벗어나도록 인도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은 위대한 마법사처럼 악마가 화산이 곧 폭발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한다. 그리고 후일 화산이 폭발할 때 이들은 그들 중 다섯 명이 악마의 꼬드김에 넘어가 목을 매달았다고 말한다.4
시뻘겋게 단 부석
후아이나푸티나 화산의 분화로 햇빛 없는 날이 수일 동안 지속되었으며 1,500여 명의 사람이 사망했다. 아레키파는 화산폭발의 직접적인 영향권 하에 있는 지역이었다.5 지역주민들은 리오데탐보(화산 근처를 흐르는 강)가 인근의 모든 농장을 불태운 시뻘겋게 단 부석으로 가득찼다고 말했다. 용암이 바다까지 흘러 들어갔을 때 모든 물고기는 해안으로 밀려났으며 생선구이가 되는 신세가 되었다.6에스피노사는 주변 평야지대를 지나가며 화산폭발로 모든 것이 파괴되는 광경을 목격했다. 그는 다음과 같은 기록을 남겼다.화산재가 쌓인 모래사막에는 무수히 많은 소, 말, 노새, 양, 염소 등이 죽어있다. 이들의 시체는 화산재와 모래 위에 말라 비틀어져 있다. ……. 뜨겁게 내리쬐는 태양과 말라버린 물로 이들은 기력을 잃고 죽음에 이르렀다.7
일사량 감소
1600년 2월 16일 4,850미터 높이의 화산이 12시간에서 19시간 동안 분출했다. 분출 초기에 화산재와 용암은 한정된 지역에만 국한해 내렸다. 화산재는 3월 6일까지 계속해서 비처럼 내렸으며1600년 4월 2일 정도에야 맑은 공기가 후아이나푸티나 인근으로 유입되었다. 후아이나푸티나 화산의 폭발은 역사 상 기록된 가장 거대한 화산분출로 화산재는 95,000 제곱킬로미터까지 확산되었다.8 페루 해안에서 1,000킬로미터나 떨어진 곳을 항해했던 한 선장의 항해일지에도 화산재가 섞인 비가 내렸다는 기록이 발견된다. 수 세기가 흐른 후 남극의 빙산에서도 화산재가 검출될 것이다.9
그러나 후아이나푸티나 화산의 폭발이 화산재 비만 가져온 것은 아니었다. 햇빛을 차단하는 황산염 연무막이 전지구에 걸쳐 확산됐다. 황산염 분자막은 상당한 양의 햇빛을 차단했고 이는 일사량 감소를 초래했다. 햇빛의 부족은 이어 비정상적으로 일찍 시작되며 극한의 추위를 동반하는 화산겨울(volcanic winter)이라 알려진 현상을 일으켰다.
후아이나푸티나 화산의 분화는 시기적으로 불운했다. 1300년부터 1850년끼지는 국지적으로 기온이 내려가는 소빙하기(Little Ice Age)라 대중적으로 불리는 시기이다.10 이 페루화산의 폭발에 이은 갑작스런 전세계적인 냉각현상은 이 시기에 가장 낮은 기온을 초래했다. 후아이나푸티나 화산의 분출은 전세계에 영향을 미친 기후사건이 되었다.
세 번 사라진 여름
지구는 둥글기 때문에 지구 상 한 지점에서의 화산폭발은 전 지구에 걸쳐 동일한 기후변화를 초래한다. 페루 평원에서 소가 대량으로 폐사하는 현상이 모든 다른 대륙에서도 일어난다. 1601년부터 1603년까지 전세계의 기온은 극도로 낮았다. 이로 인해 페루에서의 포도주 생산이 심각한 영향을 받았으며 태평양에서 부는 바람은 특히 강해졌다. 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등 모든 대륙에서 식량생산이 급감했으며 전례가 없이 많은 양의 눈이 봄철에 녹아 유라시아 지역에 심각한 홍수가 발생했다.11 그러나 기후변화가 단지 추위만을 가져오진 않았다. 중국의 몇몇 지역에서 일부 지역신문은 비정상적으로 더운 봄날씨에 이어 특히 추운 겨울날씨에 주목했다.12 국과 중국은 역병과 같은 유행병과 싸웠다. 몇몇 유럽국가들은 세 번이나 연이어 여름이 사라지는 현상을 겪었다.
10주간 내리는 비
햇빛을 반사시키는 황산연무막이 보다 지구 상의 보다 넓은 지역을 뒤덮자 다른 여러 국가들이 환경변화를 겪었다. 에스피노사가 “지구가 둥글다는 것은 잘 알려졌고 모두가 동의한다”13고 기록했음에도 1600년 제정러시아 시대 러시아에서 10,000킬로미터 떨어진 후아이나푸티나 화산에 관해 그 누구도 들어본 적이 없을 것 같다. 더군다나 그 누구도 자신들이 전세계적인 기후변화의 일부임을 인지하지 못했을 것이다.
러시아에는 다른 걱정거리가 있었다. 악명높은 이반 그로즈느이(폭군 이반으로 널리 알려진)의 심약한 아들로 루리크 왕조의 마지막 지배자였던 표도르 이바노비치 황제가 1598년 타계했다. 다른 혈통의 보리스 고두노프는 불안정한 젊은 황제로서 황위에 올랐다. 그가 즉위한지 1년 째 되던 해 화산재가 페루로부터 러시아에 도달했으며 일조량을 감소시켜 러시아의 농업을 황폐화시켰다. 또한 이로 인해 러시아에는 여름철 10주 동안 비가 끊이지 않고 내렸으며 평년과 달리 가을에 일찍 서리가 내렸다.14 이어서 3년 동안 농작물 수확이 현저하게 감소했다. 이로 인해 3년 동안 기근에 시달렸던 “고난의 시대”(Time of Troubles)라 알려진 시기가 시작되었다.15
젊은 황제가 이끄는 불안정한 제국은 무너지기 시작했다. 많은 지주들이 농노들을 먹여 살릴 책임에서 벗어나기 위해 이들을 해방시켰다. 농도들은 굶주린 폭도로 변했으며 대로 상에서 강도짓을 일삼았다.16 모스크바에서 사람들은 개, 고양이, 말, 심지어 동물의 배설물로 만든 거름까지 먹어야 했으며, 일설에 의하면 이들은 서로를 잡아먹기도 했다고 한다. 기후재앙은 전염병의 창궐을 초래했다. 러시아의 경우 콜레라가 발생했다. 기아에 허덕이던 사람들은 곡물이 보관되어 있을 것 같은 여러 건물들을 습격했다.17
합창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우리를 기아로부터 구원하소서!
황제시여, 아버지시여
구세주의 이름으로!
당신의 백성이 울부짖고 있어요.
우리는 굶주리고 있어요.
우리는 굶주리고 있어요!
우리에게 먹을 빵을 주소서!
황제시여, 먹을 빵을 주소서!
우리는 굶주리고 있어요!
황제시여, 먹을 빵을 주소서!
주 예수의 이름으로.18
어떤 식량도 받지 못했을 때 사람들은 재앙의 원인에 대해 추측했다. 고두노프는 합법적인 통치자가 아닌가? 그는 류리크인이 아니다. 이는 그의 비합법성에 대한 신의 형벌인가?19 그들의 추측은 지구 정반대 페루인들의 감정을 반영했다. 기후재앙이 형벌이 아니라면 무엇인가? 전세계적인 기후재앙은 새로운 권력자의 합법성에 관한 의문을 촉발시키며, 종종 우리를 전쟁으로 이끈다.
고두노프는 지나치게 비싸게 빵 값을 매기는 것을 금지하고자 했으며, 돈을 분배하고, 노동력을 제공할 기회를 주고자 즉흥적인 건물 건설계획을 수립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안을 잠재울 수 없었다. 그는 승리할 수 없는 상황 속에 놓여 있었다. 날씨가 그에게 책임이 있다고 여겨졌으므로 그는 날씨를 비난할 수 없었다. 그에게는 후아이나푸티나 화산의 존재가 명확했으므로 이를 비난할 수 없었다. 그의 중재를 위한 선택권은 제한적이었다. 기후재앙이 한 통치자에게 억울한 누명을 씌우는 문화적 방식은 고두노프를 통치자로서 취약하게 만들었다.
러시아는 잠재적인 쿠데타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다. 이러한 긴장의 와중에 한 남자가 자신이 유아 때 죽은 이반 그로즈느이의 아들인 드미트리 이바노비치라 주장하며 무대로 입장했다. 만일 그가 진짜 이바노비치였다면 그는 신의 승인을 받고서 합법적으로 왕위에 오르는 진정한 류리크인이 되었을 것이다. 폴란드 왕과 천주교 성당의 지원을 받으며 가짜 드미트리는 전쟁에 나섰다.
반역을 모의한 무법자,
도둑,
그리고 탈옥수가
그의 군사들,
기아에 허덕이는 용병의 무리들을 모았다.
그는 감히 황제,
러시아의 합법적인 황제가 되고자 한다.20
고두노프가 1605년 갑자기 타계한 이후, 가짜 드미트리가 3,500명의 군사를 이끌고 모스크바로 진격했다. 빠르게 전환되는 연속적인 사건들이 발생했다. 새로 임명된 황제 표도르 2세와 황모가 살해 당했고 이반 그로즈느이의 미망인이 이 이상한 남자가 자신의 아들임을 확인했다. 마침내 가짜 드미트리가 러시아의 황제로 즉위했다. 그는 러시아의 황제자리를 성공적으로 찬탈한 유일한 모사꾼이었다.21
보이지 않는 날씨
지구 정반대 편에 위치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페루와 러시아는 동일한 기후사건의 영향을 받았다. 페루인도 러시아인도 모두 같은 방식으로 이 사건에 대해 말했다. 이 사건은 신으로부터 형벌이라 정의되고 성찰을 필요로 한다. 누가 권좌에 있는가? 이들은 권력을 합법적으로 소유하고 있는가?
이 기후재앙은 러시아에서 기근을 유발했음에도 불구하고 갈등에 관한 기술(narration)은 날씨가 “기이하다”(weird)22고 말하는 대신 권력관계, 사회적 불안, 경제적 불이익 등으로 옮겨갔다. 기후재앙이 식량생산에 차질을 빚고 식량부족을 초래했던 사실은 위기에 대한 사회정치적 반응보다 많은 주목을 받지 못했다. 예들 들어 무소르그스키의 오페라 <보리스 고두노프>(Boris Godunov)는 추위, 비, 눈, 그리고 이에 이은 흉작에 관해 언급하지 않는다. 기후사건에서 기후는 관심사가 되지 않았고 사회정치적 층위(sociopolitical layers)와 얽혔다. 전쟁을 유발하는 기후변동의 잠재적인 종언없는 사례가 다수 발견되나 이는 결코 다뤄지지 않았다.
전쟁 속으로, 전쟁 안으로, 전쟁 바깥으로
사하라 사막에서 온 열주머니(heat pockets)
2022년 현재 우리에게는 여전히 여름이 있다. 흡사 1600년처럼 우리는 현재 전세계적인 기후변화를 겪고 있다. 20세기에는 다양한 산업, 농업, 물류 등이 지나치게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대기로 배출했다. 이러한 이산화탄소 입자는 지구 상공에서 막을 형성하는데, 이는 햇빛을 반사하는 황산염 분무막과는 상반된 효과를 갖는다. 이산화탄소 입자는 지표에 부딪혀 반사되는 햇빛의 적외선을 흡수한다. 이산화탄소 입자는 적외선을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대신 이를 흡수하고 지구를 향해 다시 배출한다. 이런 방식으로 햇빛을 차단하는 대신 지구 주변으로 일사량이나 열을 가두는 막을 형성한다. 이산화탄소 배출이 늘어날수록 지구 주변으로 보다 많은 열이 갇히게 된다. 현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매우 높으며, 일부 연구원들은 온난화 효과가 사라지려면 적어도 10만 년이 걸릴 것이라고 주장한다.23 “지구는 그 자체로 모든 것을 유지 보존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지속성은 결과와는 무관하다. 2021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보고서에 의하면 상승한 온도는 더 잦은 기후변동을 초래할 것으로 보인다.24 태풍, 폭우, 폭염은 홍수, 산불, 가뭄 등 여러 재난을 초래할 것이다. 예를 들어 사하라 사막에서 발원한 열주머니(heat pockets)는 북쪽으로, 그리고 지중해까지 급속히 확산될 것이다. 그리고 시슬리의 기온은 48.8도까지 올라갈 것이다.25
후아이나푸티나 화산의 사례에서 보듯 기후변화와 갈등은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다. 기후변화의 가속화는 전지구 상에 걸쳐 갈등을 심화시킨다. 이는 생태를 위험에 빠뜨리며, 식량부족을 초래하고, 인간생명을 위협하며 질병의 발생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미군은 기후변화를 “위협을 배가하는 요인”(threat multiplier)26이라 정의한다. 더군다나 모든 기후변동은 문화적 위기를 초래한다.
우리에게 메시지를 보내고 있는 자연
우리가 현재 직면하고 있는 위협적인 재해의 규모로 인해 기후재앙에 대해 시급히 기술해야 할 필요가 있다. 기후재앙이 정확히 무엇인지 기술하거나 정의함으로써 우리는 무엇이 일어날지 가늠할 수 있다.27 이는 특히 소통, 중재, 기후행동과 관련이 있다. 후아이나푸티나 화산의 사례에서와 같이 난점은 기후와 전쟁의 관계가 모호함으로 가득 찬 과잉된 지정학적 문제와 층위를 이루며 상호관련되어 왔다는 점이다.
이러한 모호성은 기후재앙의 문제를 축소하고 단순화시킨다. 1600년경 페루와 러시아의 사례 이후 우리의 과학적 지식이 진보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이야기를 전개하는 방식은 대체로 동일하다. “누가 비난 받아야 하는가? 기후변화와 관련된 현재의 재해는 의무를 저버리고 환경을 살피지 않음으로 기후-신(weather-gods)을 분노케 한다는 점에 있어서 종종 우리를 부끄럽게 한다.28
역사에 있어서 재앙의 발생은 항상 무언가를 의미해왔다. 유엔환경계획 사무총장 잉거 안데르센은 2020년 코로나 바이러스 19 재앙과 관련해 “자연이 우리에게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라고 말한다.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