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seums against the Anthropocene

인류세에 저항하는 뮤지엄
An interview with T. J. Demos
by Colin Sterling

Colin Sterling [CS]: This part of the Drifting Curriculum begins from the premise that museums are to some extent a paradigmatic apparatus of the Anthropocene – one of the foremost ways in which a certain desire to care for things becomes a mode of domination and exploitation. Can you imagine a museum that escapes such logics?

T. J. Demos [TJ]: We can look at museums from a range of perspectives, beginning with their participation in the dominant conditions of fossil capitalism and its accumulative logics. Despite good intentions in terms of declaring climate emergencies or attempting to decarbonize energy sources, museums participate in a wider economy that negatively impacts Earth’s natural systems. So just in terms of their structural embeddedness in petrocapitalism, museums are definitely part of the Anthropocene, participating in a liberal logic that generalizes causality and displaces differentiated impacts, avoiding the causality that – in my view – needs to be pinned down to centuries of racial and colonial capitalism. I really haven’t seen any successful alternative proposals for what a museum could be that’s “Post Anthropocenic”, outside of say the interventions around institutional liberation in their different guises; for example, Liberate Tate and associated groups that are targeting the toxic fossil fuel philanthropy that goes into supporting most museums, not only in the UK but in the world. That seems to be an important initial process in coming to terms with museums’ relationship to toxic energy sources and patronage systems that support them financially. That’s not going to get us to a Post Anthropocene Museum, but it should be a step on the way.

Going further is a practice like Strike MoMA at the Museum of Modern Art in New York, and the kind of proposals they’re coming up with, which is not so much a detailed road map for how to get to a Post Anthropocene Museum, but about the community-based process that is required to begin to imagine what a post-carbon world would look like beyond the socio-environmental violence of fossil capital, of which MoMA, given its toxic board of trustees made up of CEOs of corporate globalization, is but one center. I think that’s really crucial. I have little faith in general about contemporary museums doing that work themselves through a top-down process, whether it’s declaring a relatively meaningless climate emergency or trying to limit their carbon footprint—largely cosmetic gestures—as they’re just too immersed within their own institutionalization and fund-raising imperatives to begin to think beyond it. There might be some small-scale participatory outsourcing of radical proposals to artists, but ultimately given the museums’ need for funding streams and the demand to continue to reproduce their own existence, I don’t see much they can do beyond dominant and mainstream approaches to mitigating ongoing climate breakdown.

[CS]: You mentioned the question of institutional liberation, which offers a very useful framework to understand what museums and other cultural spaces could be in the fight against the Anthropocene or the Capitalocene, but this often hinges on outsider agitation rather than internal structural change. How do you see the two coming together in a way that doesn’t simply appropriate the language and aesthetics of ecological activism without fundamentally shifting institutional practices?

[TJ]: To take seriously the radical version of outsider agitation would require completely abolishing the museum as we know it. I can’t see museums being willing to do that. Certainly, some non-profit spaces have greater flexibility in thinking otherwise and might sincerely pursue alternatives. But even the most forward-thinking institutions, say BAK in Utrecht, are not actually going to do anything that would jeopardize their own existence—reliant as it is on their carbon footprint—as art institutions operating within the conditions of neoliberal capitalism.

Take someone like Ariella Azoulay, who in her participation with Strike MoMA and their model of institutional liberation, has proposed that modernity itself is the scene of an imperial crime, given its basis in perpetrating Indigenous genocide, transatlantic slavery, extraction of resources, expropria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so on. If we think of museums as a central instrument of that criminality – a criminality that is onto-epistemological in so far as it operates to separate people from their objects as she puts it – that begins to get at some of the fundamental issues in this mode of domination that you point to in your first question. The impulse to take things out of their context and put them on display so some people can look at them, is a fundamental element of most museums and is deeply situated within colonial power relations. Certainly, there are experimental approaches to reimagining museums as process-based, community oriented, less fetishistic and objectifying, but that’s not a very common approach to rethinking museums in the age of climate breakdown. Azoulay’s proposal – and the wider framework of Strike MoMA and institutional liberation – means ultimately the abolition of museums. The methodology of Strike MoMA is to say “look, we have to set up committees with stakeholder community members, with complete sovereignty outside of museum administration and leadership”. And that would be the place where we could reimagine what the museum could be in the era of the Anthropocene or its aftermath. Methodologically speaking, that offers a necessary and realistic approach, which doesn’t so much answer the question of what a post-Anthropocene museum would look like, but provides a process for how we go about addressing it.

[CS]: As you highlight throughout your book, I am struck by the sheer range of alternatives currently being imagined by artists, activists and cultural practitioners around the world - alternatives to dominant social and economic formations, to ways of living, to relations with land and history. How might these alternatives become more than simply specters that haunt our descendants as yet another set of failed futures? Is it simply a question of scale and momentum until certain cultural tipping points are reached?

[TJ]: That’s a big question that’s really important. Looking back at the book, there’s a working tension throughout between considering what do we do with radical artistic imaginations about how to live otherwise, and questioning how to actually and meaningfully change things within the urgent temporality of what’s demanded in the present moment of crisis and breakdown. And for me that gives rise to some contradictory approaches. On the one hand I’m inspired by artistic imaginings – people are trying to come up with all sorts of alternatives in every possible way – from the most ambitious kind of speculative imaginations expressed in creative aesthetic forms to artist-activists living in places like the ZAD in France, where they’re trying to exist collectively at the nexus of post-capitalism, ecological flourishing, and social justice right now. So, on the one hand there’s support and inspiration behind all of that, and on the other hand there’s the recognition that this is going on but it’s not scaling up – it doesn’t have the necessary transformative power to actually change the global hegemony of fossil capital. That’s a problem!

We really need to consider how to re-organize on the left and build forms of collective power strategically. This has to be done intersectionally and multiracially so as to overcome limiting single-issue politics. That requires building a broad-based alliance of interlocked commitments in order to ultimately transform conditions of governance worldwide. It sounds wildly ambitious to say something like that. But if we’re indeed in the position of civilizational breakdown, propelled by ongoing climate catastrophe—and I believe that’s indeed where we are—then that’s what we have to face up to. Increasingly that means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thinking about climate changes as class struggle—between liberal and corporate elites who materially benefit from fossil and green capitalism, and those who increasingly suffer under its rule. The problem is we’re missing the historical subject that could bring about the change. I’m not alone in saying that we need to organize and build that majoritarian working-class power so we can enact transformation.

[CS]: This brings me to the question of optimism – I felt there was a lot of optimism in your book, a sense of hope in the dark. What do you see as the main staging points for this optimism? Could museums be such spaces?

I think they can. I’ve said some things that are critical of their operations, but ultimately museums are complex places. There are lots of good people who really want to do what they can to question and invite ways of thinking alternatively. Hope itself is a complex subject. I don’t personally want to give up on it, but it depends on how we understand it. For me it isn’t an escapist utopianism that takes us away from the hard work of political engagement in the present. Hope is integral to political transformation; it has to be embedded in social relations, where it acts as a compass for transformational energies. We have an ethical and political obligation to continue the struggle. I really believe that, and part of my work – maybe its performative value – is to resist leaving students, readers, and comrades feeling fatalistic, as if nothing is possible. That would be really counter-productive, even a kind of malfeasance. Like many others, I am continuing to do what I do where I am, and with determination that energy can collectivize to transform society and its institutions, believing – possibly naively, I hope not – that we can transform institutions from within, and not just engage in a kind of exodus, which, arguably, post-Occupy, has shown to be of limited value.

[CS]: Your mention of exodus brings us to the last question – how do you work with or against the apocalyptic idea of the “world’s end”? What does this mean to you, and why is it important as a way to understand “ecology as intersectionality”?

[TJ]: At some stage in the conceptualisation of the book, I became increasingly aware of this leftist analytic showing that the effects of capitalism have reached a state of hegemony where it becomes extremely difficult, if not impossible, to think beyond the system, even to the point where it’s easier to imagine the end of the world than it is to imagine the end of capitalism, as Jameson put it. As such, we’ve entered this phase of repetitiveness, where the repetition is not a matter of differentiation but just the perpetuation of sameness, where there’s no strategy of liberation that hasn’t been tried before and failed, and we’re condemned to repeat them. But I didn’t want to submit to that proposal, because I believe there’s an important element in manifesting political traction to refuse to give capitalism that power of totalization. There are other groups, communities and social formations that are also resisting it. The Zapatistas are one example; they use this language of worlding. They say “we want a world in which many worlds fit” – it’s a classic Zapatista slogan – that’s so amazingly generative and provocative, and seemed to be one really useful way to escape the conditions of what Mark Fisher called capitalism realism, the idea that there is no alternative. I wanted to riff off that, to theorize what does a world mean, how can we talk about the end of the world, and take into account other views, especially Indigenous approaches to apocalypse. For Indigenous artists and writers, this is not new. They’ve lived through centuries of worlds and endings, first in 1492 beginning with the conquests. So have Afro-diasporic peoples, whose worlds were ripped apart by slavery.

To take seriously the catastrophic moment in the ending of the world forces multiple questions – Whose world? Which ending? It means resisting liberal anxieties from defining current threats as about near-future climate breakdown, as if many worlds haven’t already been destroyed by racial capitalism and imperial violence in the past. If the ultimate challenge is to somehow recompose a majority that can exert the political power to transform the world as we know it, then that needs to be a majority that is composed out of all these differences and survivals, a choreographing of multiple worldings.

Ecology as intersectionality offers one way to think about doing that – a methodology that insists on refusing the potential reduction of ecological urgency to a single-issue politics, say around atmospheric carbon, and to instead locate the comprehensive causality behind climate breakdown in – to use shorthand – racial and colonial capitalism. It then necessitates an approach that strategically brings communities of difference together in solidarity, to build a majority—in political, not demographic terms—in order to overcome the massive threat of that system in the present and near future.

티제이 데모스와의 인터뷰 : 콜린 스털링
콜린 스털링[CS]: 드리프팅 커리큘럼의 본 어젠다는 뮤지엄이 어느 정도까지는 인류세를 보여주는 전형적인 기관(paradigmatic apparatus)으로 기능한다는 전제로부터 시작합니다. 전형적인 뮤지엄에서 사물을 주의 깊게 다루고자 하는 모종의 욕망으로부터 비롯된 가장 주요한 방법 중 하나는 지배와 착취의 양식이라 할 것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논리로부터 벗어난 뮤지엄을 상상할 수 있을까요?

티제이 데모스[TJ]: 우리는 뮤지엄을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데, 우선적으로 고려할 것은 뮤지엄 역시 화석연료로 유지되는 자본주의(fossil capitalism)와 이로 인해 축적된 논리가 지배적인 상황에 놓여 있다는 점입니다. 기후 비상 사태를 선언하거나 탈탄소 에너지원을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에도 불구하고, 뮤지엄은 지구의 자연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보다 광범위한 경제의 일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석유화학 산업으로 유지되는 자본주의(petrochemicalism)에 구조적으로 기반하고 있다는 점 만으로도, 뮤지엄은 분명 인류세의 일부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뮤지엄은 인과성(causality)을 일반화하는 자유주의적 논리에 동참하고 차별화된 영향을 대체하여 (내가 보기에) 수 세기에 걸친 인종주의적, 식민주의적 자본주의에 고착된 인과성을 회피하고자 합니다. 나는 “탈인류세적”(Post Anthropocenic)이라 할 수 있는, 뮤지엄이 지향해야 할 대안적인 제안의 성공을 실제로 본적이 없습니다. 다양한 모습으로 가장하고 제도적 해방을 위해 개입하는 여러 시도들, 한 예로, 영국 뿐만 아니라 전세계에서 대부분의 뮤지엄을 지원하는 독성이 있는 화석연료 자선사업(toxic fuel philanthropy)을 공격의 표적으로 삼은 ‘테이트를 해방하라(Liberate Tate)’와 관련 그룹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재정적으로 박물관을 지원해온 유해한 에너지원을 포함한 후원제도와 뮤지엄의 관계를 조율하는 초기의 중요한 과정인 듯 보입니다. 그것이 뮤지엄을 탈인류세로 인도하는 것은 아니나 적어도 이를 향해 한발자국 나아가게 해야 합니다.

더 나아가 뉴욕 현대미술관에서의 ‘MoMA를 타격하라(Strike MoMA)’와 같은 실천과 시위 참가자들의 제안을 들 수 있습니다. 이들 역시 탈인류세 뮤지엄(Post-Anthropocene Museum)을 어떻게 실현할 수 있을지에 대한 상세한 지침이기 보다는 탈탄소 세계(post-carbon world)가 화석연료 자본의 사회환경적 폭력을 극복한 모습을 상상하도록 요구하는 공동체에 기반한 과정에 관한 것입니다. 이들 중 세계화를 지향하는 기업 최고경영자로 구성된 유해한(toxic) 이사회를 지닌 뉴욕 현대미술관은 하나의 중심일 뿐입니다.

이 점이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나는 동시대의 뮤지엄들이 하향식 예산방식(top-down process)을 통해 자체적으로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리라 믿지 않습니다. 상대적으로 무의미한 기후비상사태를 선포하거나 혹은, 가식적으로 온실가스 총량(carbon footprint)에 대한 제약을 시도하면서, 실제로 이 뮤지엄들은 보다 시급하고 긴요한 일로 제도화나 기부금 모금에 과도하게 몰두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술가들에게 급진적 제안을 제기하도록 소규모의 참여적 아웃소싱을 의뢰하는 사례가 있는지 모르지만, 궁극적으로 뮤지엄들이 스스로의 생존을 유지하기 위해 기부금을 지속적으로 모아야 할 필요가 있음을 고려하면, 이들이 과연 현재 진행 중인 기후붕괴(climate breakdown)를 완화하고자 하는 주류 접근 방식을 뛰어 넘어 보다 많은 것을 할 수 있을 것일지 회의적입니다.

[CS]: 당신은 제도적 해방에 관한 의문에 대해 언급했는데 이는 뮤지엄을 비롯한 문화공간이 인류세(Anthropocene)나 자본세(Capitalocene)에 저항하는 싸움에서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이해하는 매우 유용한 틀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이는 내부의 구조적 변화보다는 외부의 자극에 달려 있습니다. 당신은 제도적인 관습의 근본적인 변화 없이 생태적 행동주의와 관련된 언어와 미학을 차용하지 않고 어떻게 이 둘을 결합시킬 수 있다고 보는지요?

[TJ]: 급진적 유형의 외부 자극을 진지하게 받아들이기 위해 우리가 알고 있는 뮤지엄의 개념을 철저하게 철폐하는 게 필요할 것입니다. 뮤지엄이 스스로 이러한 시도를 기꺼이 하리라곤 생각하지 않습니다. 일부 비영리 기관은 이와는 다르게 사고하는데, 보다 유연하고 진지하게 대안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가장 전향적으로 사고하는 기관인 위트레흐트 BAK조차도 (자체의 탄소발생 총량에 의존해)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neoliberal capitalism)라는 조건 하에서 기능을 수행하는 예술기관으로서 자신들의 존립을 위험에 빠뜨리는 무언가를 하고자 하지 않는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아리엘라 아줄레와 같은 인물을 예로 들 수 있는 데, 그녀는 ‘MoMA를 타격하라(Strike MoMA)’와 함께 제도적 해방을 위한 모델에 동참하며 원주민 집단학살, 대서양을 가로지르는 노예제도, 자원의 추출, 문화유산의 몰수 등을 고려하면 근대성 자체가 제국주의적 범죄의 한 모습이라고 말합니다. 뮤지엄을 이러한 범죄와 관련이 있는 도구 중 하나로 간주한다면, 아줄레가 지적했듯 뮤지엄이 사람들을 대상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한, 이는 이러한 범죄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당신이 첫 번째 질문에서 지적한 지배의 양식에 있어서 근본적인 문제의 어떤 부분으로 인식될 수 있을 것입니다. 대상을 문맥으로부터 추출해 이를 관람할 수 있는 대중에게 보여주고자 하는 충동은 모든 뮤지엄이 갖는 기본적인 요소이며 식민권력 관계 내에 깊이 내재되어 있습니다.

뮤지엄을 과정에 근거한 공동체 지향의 덜 물신적이며 객관화된 기관으로 재정의하고자 하는 실험적인 시도가 분명 있었으나 기후붕괴의 시대에 이는 그다지 흔한 시도가 아닙니다. 아줄레의 제안(그리고 ‘MoMA를 타격하라’와 제도적 해방)이 의미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뮤지엄을 철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MoMA를 타격하라’의 방법론은 “보라, 우리는 뮤지엄의 행정권과 주도권을 벗어나 완벽한 자주권을 가진 공동체 멤버인 주주들과 이사회를 구성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즉, 뮤지엄이 인류세와 그 후유증 시대에 무엇이 될 수 있는지 다시 상상하는 곳이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방법론적으로 말하면 그것은 필수적이며 현실적인 접근법을 제안하는데, 이는 탈인류세 뮤지엄이 무엇을 지향해야 하는지에 관한 질문에 많은 대답을 내놓진 않으나, 이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 우리가 어떻게 해야 하는지 그 과정에 대해 알려주고 있습니다.

[CS]: 당신의 책 전반에서 강조하고 있듯, 전세계의 예술가, 활동가, 문화 실천가 등에 의해 현재 고려되고 있는 대안의 범위 만으로도 놀라웠습니다. 이러한 대안들은 지배적인 사회 경제적 구성체, 생활방식, 토지와 역사의 관계에 관한 것입니다. 어떻게 해야 이러한 대안들이 실패한 미래의 또 다른 형태로 우리 후손들의 뇌리에 떠도는 유령이 되지 않을까요? 이는 어떤 문화적 변환점에 도달하기까지 단순히 규모나 계기의 문제인가요?

[TJ]: 매우 중요한 질문입니다. 내 책을 다시 살펴보면 전편에 걸쳐 긴장감이 흐르고 있음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긴장감은 치열한 예술적 상상력으로 무엇을 해야 할지 고려하거나, 현재의 위기와 붕괴의 순간, 시간적 긴박함 속에서 어떻게 사태를 실제적으로 의미 있게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인가에 관한 질문 사이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이로 인해 나는 무언가 모순된 접근을 시도했습니다. 한편으로 예술적 상상으로부터 영감을 얻는데 실로, 사람들은 모든 가능한 방법으로 모든 종류의 대안을 생각해내고 있습니다. 이는 창조적인 미적 형태로 표현된 거창한 사변적 상상력부터 프랑스의 개발유예구역(ZAD)과 같은 지역에 거주하는 예술가 겸 활동가를 포함합니다. (이들은 후기자본주의, 생태적 번성, 그리고 지금 현재의 사회정의의 결합 속에서 집단적으로 존재하고자 합니다.) 이들의 활동은 지원을 받거나 영감을 주는 측면이 있음에도, 다른 한편으로 규모가 더 이상 확대되지 못하고 현상유지에 그치고 있다는 인식이 있습니다. 이들에게는 화석연료 자본(fossil capital)이 쥐고 있는 전세계적인 지배력을 변화시킬 힘이 없습니다. 바로 이 점이 문제인 것입니다!
진정으로 우리는 어떻게 집단적인 힘을 전략적으로 재구성하고 강화시킬지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는 단일 쟁점 정치에 대한 제한을 극복하기 위해 교차적, 다인종적으로 행해져야 합니다. 궁극적으로 전세계적인 지배구조를 변화시키고 서로 맞물려 있는 책무를 완수하기 위해 광범위한 동맹을 구축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런 것들은 매우 거칠고 당차게 들립니다. 그러나 현재 진행 중인 기후재앙에 의해 촉진되는 문명의 붕괴라는 입장에서 보자면 (나는 우리가 실제로 이러한 처지에 놓여 있다고 믿습니다) 우리는 이 점을 직시해야만 합니다. 이는 화석연료와 녹색자본주의(green capitalism)로부터 이득을 얻는 자유주의적 기업의 엘리트와 이러한 지배로부터 보다 많은 고통을 겪는 사람들 사이의 계급투쟁으로서 기후변화에 관해 사고할 필요가 있음을 인식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문제는 우리가 이러한 변화를 불러올 역사적 주체의식을 잃어가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수 노동계급의 힘을 강화하거나 재조직해 변화를 이끌어 낼 필요가 있다고 말하는 것은 비단 나 혼자만이 아닙니다.

[CS]: 그것은 내게 낙관론에 대한 질문을 불러일으킵니다. 당신의 책은 어둠 속에서 희망을 찾는, 낙관적인 전망으로 가득 차 있다고 느꼈습니다. 이러한 낙관적인 시각의 주된 근거는 무엇이라고 보시나요? 뮤지엄은 이러한 공간이 될 수 있을까요?

[TJ]: 뮤지엄이 그런 공간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뮤지엄의 활동과 기능에 대해 비판적인 견해를 표명해왔지만, 뮤지엄은 궁극적으로 복합적인 장소입니다. 그곳에는 대안적인 사고방식으로 질문을 제기하거나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일을 하고 싶어하는 많은 훌륭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희망 자체는 복합적인 주제입니다. 개인적으로 희망을 포기하고 싶진 않으나, 이는 우리가 희망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내게 희망은 정치적 개입이라는 힘든 작업으로부터 우리를 벗어나게 해주는 도피주의적 유토피아주의가 아닙니다. 희망은 정치적 변혁에 필요 불가결한 요소입니다. 그리고 이는 사회적 관계 속에 내재되어 변혁의 기운이 어디로 향해야 할지 가리키는 나침반으로 기능합니다. 우리에게는 투쟁을 지속해야 할 윤리적, 정치적 의무가 부여되어 있습니다. 나는 내 작업의 일부가 (수행적 가치를 가질 수 있지만), 나의 학생들, 독자들, 그리고 동료들이 그 어느 것도 가능한 것이 없다고 여기며 그저 운명이라고 느끼고 떠나는 것에 저항하는 일이라고 진정으로 믿습니다. 그것은 역효과를 초래하는 것이며, 심지어 부당한 행위입니다. 다른 많은 사람들처럼 나는 현재의 위치에서 내가 하고자 했던 것을 지속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사회와 제도를 개혁하기 위해 힘을 모을 수 있다는 결기와 (나이브하게 들릴지 몰라도, 그렇지 않길 바라며) 내부로부터 제도를 개혁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우리는 일종의 집단 탈출(exodus)에 동참하지 않을 수 있었습니다.

[CS]: 당신이 언급한 집단 탈출과 관련해 마지막 질문을 던지겠습니다. “세상의 종말(World’s end)”이라는 묵시론적 개념을 작업을 통해 어떻게 풀어내고 있습니까? 이는 당신에게 어떤 의미이며, 왜 이것이 “교차성으로서 생태”(ecology as intersectionality)(교차성: 인종, 성별, 장애 여부 등 차별요소가 서로 결합해 영향을 미치는 것-역주)를 이해하는 하나의 방식으로 중요한 것인가요?

[TJ]: 책의 내용을 개념화하는 어떤 단계에서 나는 제도를 넘어 사고하기가 불가능하거나 극도로 어려워졌으며, 심지어 자본주의의 종말보다는 세계의 종말을 상상하는 것이 보다 수월할 것이라는 제임슨의 지적처럼 자본주의의 영향이 패권적 수준(hegemony)에 도달했다는 좌파적 분석을 점점 더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이런 식으로 우리는 이러한 반복의 구간에 들어섰습니다. 여기에서의 반복은 차별화의 문제가 아니라 단순히 동일한 것의 영속화를 위한 것입니다. 그 구간에서 우리는 해방의 전략을 시도하거나 실패해보지도 않고 그것을 반복해야만 했습니다. 그러나 나는 자본주의 체제에 전체주의적 권력을 부여하지 못하게 막는 정치적 견인력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기 때문에 이러한 제안을 따르지 않았습니다. 또한 이에 저항하는 다른 집단, 공동체, 사회구성체가 있습니다. 한 예로 싸파티스트 단체 (The Zapatistas)를 들 수 있습니다. 이들은 몽상적인 자신들만의 언어를 이용합니다. 이들에 따르면, “우리는 많은 세계들에 적합한 세상을 원합니다(We want a world in which many worlds fit)." 이는 싸파티스트 단체의 고전적인 구호로, 놀랍도록 생산적이며 도발적입니다. 이는 마크 피셔가 자본주의 리얼리즘이라 부른 조건으로부터 벗어나는데 매우 유용한 방식인 듯 보입니다. 세상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세상의 종말을 어떻게 말할 수 있는지, 이에 관한 다른 견해, 특히 원주민들의 세상의 종말에 관한 생각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지 이론화하기 위해 나는 그것을 요약하고 싶었습니다. 원주민 예술가나 작가들에게 이는 새로운 것이 아닙니다. 이들은 1492년 정복당하며 시작된 세상의 종말을 수 세기에 걸쳐 경험하고 있습니다. 자신들의 세계가 노예제도로 의해 갈가리 찢진 아프리카계 디아스포라 민족도 그렇습니다.
세상이 종말에 이르러 재앙적 순간을 심각하게 받아들이면 다음과 같은 여러 질문을 하게 됩니다. 누구의 세계인가? 어떤 종말인가? 이 질문들은 마치 과거의 인종적 자본주의와 제국주의적 폭력에 의해 많은 세계가 파괴된 적이 없다고 말하며 현재의 위협을 가까운 미래의 기후붕괴로 정의함으로써 초래되는 자유주의적 불안(liberal anxieties)에 대한 저항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알고 있듯 궁극적 도전은 어쨌든 세계를 변화시킬 정치적 힘을 행사할 수 있는 다수를 재구성하는 것입니다. 그때 이 모든 차이와 생존요소로 구성된 다수가 되어야 합니다.

교차성을 가진 것으로서 생태는 이를 행하는 것에 관해 사고하는 하나의 방법을 제시합니다. 이는 (간단히 말해) 인종적, 식민주의적 자본주의와 기후붕괴의 배후에 종합적인 인과관계가 있다고 여기는 대신, 대기 중 탄소에 관해 언급하며 생태문제의 긴급성을 단발성 정치문제로 간주하는 것을 고집스럽게 거부하는 방법론입니다. 다음으로 현재와 가까운 미래에 이러한 체제가 초래할 심각한 위협을 극복하기 위해 이는 전략적으로 서로 다른 공동체와 연대하고 (인구학적이 아닌 정치적 의미에 있어서) 다수를 형성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합니다.
티제이 데모스와의 인터뷰 : 콜린 스털링
콜린 스털링[CS]: 드리프팅 커리큘럼의 본 어젠다는 뮤지엄이 어느 정도까지는 인류세를 보여주는 전형적인 기관(paradigmatic apparatus)으로 기능한다는 전제로부터 시작합니다. 전형적인 뮤지엄에서 사물을 주의 깊게 다루고자 하는 모종의 욕망으로부터 비롯된 가장 주요한 방법 중 하나는 지배와 착취의 양식이라 할 것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논리로부터 벗어난 뮤지엄을 상상할 수 있을까요?

티제이 데모스[TJ]: 우리는 뮤지엄을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데, 우선적으로 고려할 것은 뮤지엄 역시 화석연료로 유지되는 자본주의(fossil capitalism)와 이로 인해 축적된 논리가 지배적인 상황에 놓여 있다는 점입니다. 기후 비상 사태를 선언하거나 탈탄소 에너지원을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에도 불구하고, 뮤지엄은 지구의 자연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보다 광범위한 경제의 일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석유화학 산업으로 유지되는 자본주의(petrochemicalism)에 구조적으로 기반하고 있다는 점 만으로도, 뮤지엄은 분명 인류세의 일부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뮤지엄은 인과성(causality)을 일반화하는 자유주의적 논리에 동참하고 차별화된 영향을 대체하여 (내가 보기에) 수 세기에 걸친 인종주의적, 식민주의적 자본주의에 고착된 인과성을 회피하고자 합니다. 나는 “탈인류세적”(Post Anthropocenic)이라 할 수 있는, 뮤지엄이 지향해야 할 대안적인 제안의 성공을 실제로 본적이 없습니다. 다양한 모습으로 가장하고 제도적 해방을 위해 개입하는 여러 시도들, 한 예로, 영국 뿐만 아니라 전세계에서 대부분의 뮤지엄을 지원하는 독성이 있는 화석연료 자선사업(toxic fuel philanthropy)을 공격의 표적으로 삼은 ‘테이트를 해방하라(Liberate Tate)’와 관련 그룹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재정적으로 박물관을 지원해온 유해한 에너지원을 포함한 후원제도와 뮤지엄의 관계를 조율하는 초기의 중요한 과정인 듯 보입니다. 그것이 뮤지엄을 탈인류세로 인도하는 것은 아니나 적어도 이를 향해 한발자국 나아가게 해야 합니다.

더 나아가 뉴욕 현대미술관에서의 ‘MoMA를 타격하라(Strike MoMA)’와 같은 실천과 시위 참가자들의 제안을 들 수 있습니다. 이들 역시 탈인류세 뮤지엄(Post-Anthropocene Museum)을 어떻게 실현할 수 있을지에 대한 상세한 지침이기 보다는 탈탄소 세계(post-carbon world)가 화석연료 자본의 사회환경적 폭력을 극복한 모습을 상상하도록 요구하는 공동체에 기반한 과정에 관한 것입니다. 이들 중 세계화를 지향하는 기업 최고경영자로 구성된 유해한(toxic) 이사회를 지닌 뉴욕 현대미술관은 하나의 중심일 뿐입니다.

이 점이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나는 동시대의 뮤지엄들이 하향식 예산방식(top-down process)을 통해 자체적으로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리라 믿지 않습니다. 상대적으로 무의미한 기후비상사태를 선포하거나 혹은, 가식적으로 온실가스 총량(carbon footprint)에 대한 제약을 시도하면서, 실제로 이 뮤지엄들은 보다 시급하고 긴요한 일로 제도화나 기부금 모금에 과도하게 몰두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술가들에게 급진적 제안을 제기하도록 소규모의 참여적 아웃소싱을 의뢰하는 사례가 있는지 모르지만, 궁극적으로 뮤지엄들이 스스로의 생존을 유지하기 위해 기부금을 지속적으로 모아야 할 필요가 있음을 고려하면, 이들이 과연 현재 진행 중인 기후붕괴(climate breakdown)를 완화하고자 하는 주류 접근 방식을 뛰어 넘어 보다 많은 것을 할 수 있을 것일지 회의적입니다.

[CS]: 당신은 제도적 해방에 관한 의문에 대해 언급했는데 이는 뮤지엄을 비롯한 문화공간이 인류세(Anthropocene)나 자본세(Capitalocene)에 저항하는 싸움에서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이해하는 매우 유용한 틀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이는 내부의 구조적 변화보다는 외부의 자극에 달려 있습니다. 당신은 제도적인 관습의 근본적인 변화 없이 생태적 행동주의와 관련된 언어와 미학을 차용하지 않고 어떻게 이 둘을 결합시킬 수 있다고 보는지요?

[TJ]: 급진적 유형의 외부 자극을 진지하게 받아들이기 위해 우리가 알고 있는 뮤지엄의 개념을 철저하게 철폐하는 게 필요할 것입니다. 뮤지엄이 스스로 이러한 시도를 기꺼이 하리라곤 생각하지 않습니다. 일부 비영리 기관은 이와는 다르게 사고하는데, 보다 유연하고 진지하게 대안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가장 전향적으로 사고하는 기관인 위트레흐트 BAK조차도 (자체의 탄소발생 총량에 의존해)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neoliberal capitalism)라는 조건 하에서 기능을 수행하는 예술기관으로서 자신들의 존립을 위험에 빠뜨리는 무언가를 하고자 하지 않는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아리엘라 아줄레와 같은 인물을 예로 들 수 있는 데, 그녀는 ‘MoMA를 타격하라(Strike MoMA)’와 함께 제도적 해방을 위한 모델에 동참하며 원주민 집단학살, 대서양을 가로지르는 노예제도, 자원의 추출, 문화유산의 몰수 등을 고려하면 근대성 자체가 제국주의적 범죄의 한 모습이라고 말합니다. 뮤지엄을 이러한 범죄와 관련이 있는 도구 중 하나로 간주한다면, 아줄레가 지적했듯 뮤지엄이 사람들을 대상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한, 이는 이러한 범죄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당신이 첫 번째 질문에서 지적한 지배의 양식에 있어서 근본적인 문제의 어떤 부분으로 인식될 수 있을 것입니다. 대상을 문맥으로부터 추출해 이를 관람할 수 있는 대중에게 보여주고자 하는 충동은 모든 뮤지엄이 갖는 기본적인 요소이며 식민권력 관계 내에 깊이 내재되어 있습니다.

뮤지엄을 과정에 근거한 공동체 지향의 덜 물신적이며 객관화된 기관으로 재정의하고자 하는 실험적인 시도가 분명 있었으나 기후붕괴의 시대에 이는 그다지 흔한 시도가 아닙니다. 아줄레의 제안(그리고 ‘MoMA를 타격하라’와 제도적 해방)이 의미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뮤지엄을 철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MoMA를 타격하라’의 방법론은 “보라, 우리는 뮤지엄의 행정권과 주도권을 벗어나 완벽한 자주권을 가진 공동체 멤버인 주주들과 이사회를 구성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즉, 뮤지엄이 인류세와 그 후유증 시대에 무엇이 될 수 있는지 다시 상상하는 곳이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방법론적으로 말하면 그것은 필수적이며 현실적인 접근법을 제안하는데, 이는 탈인류세 뮤지엄이 무엇을 지향해야 하는지에 관한 질문에 많은 대답을 내놓진 않으나, 이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 우리가 어떻게 해야 하는지 그 과정에 대해 알려주고 있습니다.

[CS]: 당신의 책 전반에서 강조하고 있듯, 전세계의 예술가, 활동가, 문화 실천가 등에 의해 현재 고려되고 있는 대안의 범위 만으로도 놀라웠습니다. 이러한 대안들은 지배적인 사회 경제적 구성체, 생활방식, 토지와 역사의 관계에 관한 것입니다. 어떻게 해야 이러한 대안들이 실패한 미래의 또 다른 형태로 우리 후손들의 뇌리에 떠도는 유령이 되지 않을까요? 이는 어떤 문화적 변환점에 도달하기까지 단순히 규모나 계기의 문제인가요?

[TJ]: 매우 중요한 질문입니다. 내 책을 다시 살펴보면 전편에 걸쳐 긴장감이 흐르고 있음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긴장감은 치열한 예술적 상상력으로 무엇을 해야 할지 고려하거나, 현재의 위기와 붕괴의 순간, 시간적 긴박함 속에서 어떻게 사태를 실제적으로 의미 있게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인가에 관한 질문 사이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이로 인해 나는 무언가 모순된 접근을 시도했습니다. 한편으로 예술적 상상으로부터 영감을 얻는데 실로, 사람들은 모든 가능한 방법으로 모든 종류의 대안을 생각해내고 있습니다. 이는 창조적인 미적 형태로 표현된 거창한 사변적 상상력부터 프랑스의 개발유예구역(ZAD)과 같은 지역에 거주하는 예술가 겸 활동가를 포함합니다. (이들은 후기자본주의, 생태적 번성, 그리고 지금 현재의 사회정의의 결합 속에서 집단적으로 존재하고자 합니다.) 이들의 활동은 지원을 받거나 영감을 주는 측면이 있음에도, 다른 한편으로 규모가 더 이상 확대되지 못하고 현상유지에 그치고 있다는 인식이 있습니다. 이들에게는 화석연료 자본(fossil capital)이 쥐고 있는 전세계적인 지배력을 변화시킬 힘이 없습니다. 바로 이 점이 문제인 것입니다!
진정으로 우리는 어떻게 집단적인 힘을 전략적으로 재구성하고 강화시킬지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는 단일 쟁점 정치에 대한 제한을 극복하기 위해 교차적, 다인종적으로 행해져야 합니다. 궁극적으로 전세계적인 지배구조를 변화시키고 서로 맞물려 있는 책무를 완수하기 위해 광범위한 동맹을 구축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런 것들은 매우 거칠고 당차게 들립니다. 그러나 현재 진행 중인 기후재앙에 의해 촉진되는 문명의 붕괴라는 입장에서 보자면 (나는 우리가 실제로 이러한 처지에 놓여 있다고 믿습니다) 우리는 이 점을 직시해야만 합니다. 이는 화석연료와 녹색자본주의(green capitalism)로부터 이득을 얻는 자유주의적 기업의 엘리트와 이러한 지배로부터 보다 많은 고통을 겪는 사람들 사이의 계급투쟁으로서 기후변화에 관해 사고할 필요가 있음을 인식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문제는 우리가 이러한 변화를 불러올 역사적 주체의식을 잃어가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수 노동계급의 힘을 강화하거나 재조직해 변화를 이끌어 낼 필요가 있다고 말하는 것은 비단 나 혼자만이 아닙니다.

[CS]: 그것은 내게 낙관론에 대한 질문을 불러일으킵니다. 당신의 책은 어둠 속에서 희망을 찾는, 낙관적인 전망으로 가득 차 있다고 느꼈습니다. 이러한 낙관적인 시각의 주된 근거는 무엇이라고 보시나요? 뮤지엄은 이러한 공간이 될 수 있을까요?

[TJ]: 뮤지엄이 그런 공간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뮤지엄의 활동과 기능에 대해 비판적인 견해를 표명해왔지만, 뮤지엄은 궁극적으로 복합적인 장소입니다. 그곳에는 대안적인 사고방식으로 질문을 제기하거나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일을 하고 싶어하는 많은 훌륭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희망 자체는 복합적인 주제입니다. 개인적으로 희망을 포기하고 싶진 않으나, 이는 우리가 희망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내게 희망은 정치적 개입이라는 힘든 작업으로부터 우리를 벗어나게 해주는 도피주의적 유토피아주의가 아닙니다. 희망은 정치적 변혁에 필요 불가결한 요소입니다. 그리고 이는 사회적 관계 속에 내재되어 변혁의 기운이 어디로 향해야 할지 가리키는 나침반으로 기능합니다. 우리에게는 투쟁을 지속해야 할 윤리적, 정치적 의무가 부여되어 있습니다. 나는 내 작업의 일부가 (수행적 가치를 가질 수 있지만), 나의 학생들, 독자들, 그리고 동료들이 그 어느 것도 가능한 것이 없다고 여기며 그저 운명이라고 느끼고 떠나는 것에 저항하는 일이라고 진정으로 믿습니다. 그것은 역효과를 초래하는 것이며, 심지어 부당한 행위입니다. 다른 많은 사람들처럼 나는 현재의 위치에서 내가 하고자 했던 것을 지속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사회와 제도를 개혁하기 위해 힘을 모을 수 있다는 결기와 (나이브하게 들릴지 몰라도, 그렇지 않길 바라며) 내부로부터 제도를 개혁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우리는 일종의 집단 탈출(exodus)에 동참하지 않을 수 있었습니다.

[CS]: 당신이 언급한 집단 탈출과 관련해 마지막 질문을 던지겠습니다. “세상의 종말(World’s end)”이라는 묵시론적 개념을 작업을 통해 어떻게 풀어내고 있습니까? 이는 당신에게 어떤 의미이며, 왜 이것이 “교차성으로서 생태”(ecology as intersectionality)(교차성: 인종, 성별, 장애 여부 등 차별요소가 서로 결합해 영향을 미치는 것-역주)를 이해하는 하나의 방식으로 중요한 것인가요?

[TJ]: 책의 내용을 개념화하는 어떤 단계에서 나는 제도를 넘어 사고하기가 불가능하거나 극도로 어려워졌으며, 심지어 자본주의의 종말보다는 세계의 종말을 상상하는 것이 보다 수월할 것이라는 제임슨의 지적처럼 자본주의의 영향이 패권적 수준(hegemony)에 도달했다는 좌파적 분석을 점점 더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이런 식으로 우리는 이러한 반복의 구간에 들어섰습니다. 여기에서의 반복은 차별화의 문제가 아니라 단순히 동일한 것의 영속화를 위한 것입니다. 그 구간에서 우리는 해방의 전략을 시도하거나 실패해보지도 않고 그것을 반복해야만 했습니다. 그러나 나는 자본주의 체제에 전체주의적 권력을 부여하지 못하게 막는 정치적 견인력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기 때문에 이러한 제안을 따르지 않았습니다. 또한 이에 저항하는 다른 집단, 공동체, 사회구성체가 있습니다. 한 예로 싸파티스트 단체 (The Zapatistas)를 들 수 있습니다. 이들은 몽상적인 자신들만의 언어를 이용합니다. 이들에 따르면, “우리는 많은 세계들에 적합한 세상을 원합니다(We want a world in which many worlds fit)." 이는 싸파티스트 단체의 고전적인 구호로, 놀랍도록 생산적이며 도발적입니다. 이는 마크 피셔가 자본주의 리얼리즘이라 부른 조건으로부터 벗어나는데 매우 유용한 방식인 듯 보입니다. 세상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세상의 종말을 어떻게 말할 수 있는지, 이에 관한 다른 견해, 특히 원주민들의 세상의 종말에 관한 생각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지 이론화하기 위해 나는 그것을 요약하고 싶었습니다. 원주민 예술가나 작가들에게 이는 새로운 것이 아닙니다. 이들은 1492년 정복당하며 시작된 세상의 종말을 수 세기에 걸쳐 경험하고 있습니다. 자신들의 세계가 노예제도로 의해 갈가리 찢진 아프리카계 디아스포라 민족도 그렇습니다.
세상이 종말에 이르러 재앙적 순간을 심각하게 받아들이면 다음과 같은 여러 질문을 하게 됩니다. 누구의 세계인가? 어떤 종말인가? 이 질문들은 마치 과거의 인종적 자본주의와 제국주의적 폭력에 의해 많은 세계가 파괴된 적이 없다고 말하며 현재의 위협을 가까운 미래의 기후붕괴로 정의함으로써 초래되는 자유주의적 불안(liberal anxieties)에 대한 저항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알고 있듯 궁극적 도전은 어쨌든 세계를 변화시킬 정치적 힘을 행사할 수 있는 다수를 재구성하는 것입니다. 그때 이 모든 차이와 생존요소로 구성된 다수가 되어야 합니다.

교차성을 가진 것으로서 생태는 이를 행하는 것에 관해 사고하는 하나의 방법을 제시합니다. 이는 (간단히 말해) 인종적, 식민주의적 자본주의와 기후붕괴의 배후에 종합적인 인과관계가 있다고 여기는 대신, 대기 중 탄소에 관해 언급하며 생태문제의 긴급성을 단발성 정치문제로 간주하는 것을 고집스럽게 거부하는 방법론입니다. 다음으로 현재와 가까운 미래에 이러한 체제가 초래할 심각한 위협을 극복하기 위해 이는 전략적으로 서로 다른 공동체와 연대하고 (인구학적이 아닌 정치적 의미에 있어서) 다수를 형성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합니다.
issue 1
Made on
Til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