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2. Between practice and project: some examples of social intervention by artists
Part 2. 실천과 프로젝트 사이: 예술가의 사회적 개입의 몇 사례들
By Bosun Shim
The challenges Unmake Lab faced are also found in works by Ayoung Kim. Ayoung Kim didn’t major in fine art either. She studied commercial design and began her artistic career after completing a master’s course at an art school in United Kingdom. Like Unmake Lab, Kim creates works based on research. The difference is that she produces videos containing fictional narratives and characters while Unmake Lab focuses primarily on objects and data, which are also transformed into video images. If Unmake Lab is an engineer, Kim is science fiction writer. Kim has created imaginary characters and narratives by associating the history of modernity and the present with microscopic events she has chosen. For instance, Every North Star, one of her juvenilia, discloses the history of Busan in which elements of capitalism are blended with those of imperialism exemplified in the case of suicide of a horsewoman. Kim said this subject of her work derived from her experiences as a stranger in the United Kingdom. “When I was studying in England, I felt some antipathy about the fact that they dominated the production of critical discourses concerning imperialism even though they were the ones who created imperial regimes.” (Ayoung Kim)

Ironically, Kim’s critical work received positive recognition in the European art scene. She utilized in her works the freedom and anxiety she felt as a stranger in Europe. Due to the nature of her artistic styles, she requested resources and supports through the cooperation of diverse non-art institutions, including the Archives Nationales, France and this request was accepted beyond expectation. Of course, the most important mainstay that enabled her to execute her work at an overseas residency was the support from the Arts Council Korea. She was considered the “most successful case brought about by ARKO’s support for a Korean artist participating in an overseas artist-in-residence program.” She stresses that Korea’s art support system is superior to that of any European country in terms of scale and diversity. Kim is of course well aware of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Korean public support system. She expresses her concern about creators who cannot work without any grant or outside the system. She criticizes that Korea’s artist-in-residence programs put more emphasis on offering physical workspace and tend to be short-term or emphasize the outcomes rather than processes. The biggest problems above all are the lack of support for the human resources and production management required in creative processes. Korea’s public support is usually just a way to provide money and asks artists to solve all their problems themselves. This may be particularly problematic to artists who take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embracing historical, sociological, and scientific issues to understand and critique modernity and its transformation.

Kim could experience the benefit of more than an offer of physical space by attending an overseas artist-in-residence program. For example, by the request of the artist, relevant public institutions provided necessary manpower and resources through a partnership. Support from a diversity of experts and artists enabled her to carry out her work efficiently. Kim said the respect for artists and their work shown by European public institutions was evidence of their cultural capital. This cultural capital reproduces their own prestige and authority by offering information, knowledge, and the means necessary for artistic work through their organic placement and combination in a personal, physical, and institutional dimension. Kim has created her critical artistic work through an arrangement and combination of such resources. In her latest series Porosity Valley, she laid out a narrative in a porous world by embracing the latest humanistic and sociological insight (New Materialism/ANT) and sci-fi imagination that manifest the world through a life-non-life network, moving beyond anthropocentrism. This is to some degree her own story. She takes her life and work to go through an extraordinary European porosity that includes art yet excludes the other.

After her return to Korea, Kim has been deepening her critical fictional work concerning modernity, being offered more opportunities and resources based on her gained experience and career. In Korea, she is busier but may feel lonelier. As even a collective Unmake Lab feels lonely, there is nothing strange about our thought that Kim as an individual creator feels lonelier. In the process of meeting and parting new staff, developers, experts, and artists when shifting from one project to another, she wants to have stable and systematic support for production, and moreover feels some more elemental thirst. “I have always been alone. It was hard for me to feel any sense of belonging because I often moved to short-term residence programs. I missed some reference group sharing issues of our time.” (Ayoung Kim)

We are well aware of the history of solidarity and collegiality among artists. A group of artists who joined the avant-garde movement that dreamed of integrating life with art in the early and middle 20th century, an organization of artists who tried to gain recognition for their autonomy and expertise, and the collective activity of artists of a peer group sharing creed and propensity never dreamed they could receive any cultural policy grant. These were paragons of mutual admiration societies bound up with mutual respect, self-help, mutual help, or patronage. These societies were criticized as elite groups that had blind faith in the myth of autonomy. Meanwhile, they tried to redefine themselves as organic intellectuals forming the collective counter-hegemony against the state and capital in solidarity with the general public. Tension, however, was stirred up in this history of their dependence on public funds, and this resulted in an inner split in extreme cases.

I’d like to introduce a dramatic case of this split. Basement Workshop was an arts collective active from 1971 to 1986 organized by Asian-American artists and activists in the basement of a building in Lower Manhattan, New York City. The collective initiated Asian American movement for Asian-Americans’ human rights and solidarity. Basement Workshop, which carried out diverse social-engagement practices such as community service, research, education, publication, direct action, and art-making, was enveloped in internal conflicts as it increased its organizational scale and extended the scope of its projects by means of art support funds granted by the federal and local governments. Some of its members brought the use of public funds for its art programs into question. They put forward criticism that their organization might be subdued to be more palatable to the government if they received government grants. Artists could not help feeling that their social intervention’s autonomy was diminished in this process. In the summer of 1975, conflicts erupted and artists and non-artists decided to go their separate ways. This served as momentum for the collective to clarify its character as a non-profit art organization. In 1986, the reason why Basement Workshop disbanded was ironically a dearth of support funds from government.

A conflict brought on by artistic social intervention does not only emerge between art and non-art players. What I mention here is the case of conflicts that arise when artist group A and artist group B were carrying out projects (supported by public grants) for the same social cause. This happened in 2019, and I belonged to group A. Group B tried to record group A’s performance with A’s permission and use it as the video-footage for their performance. Some friction regarding this matter was caused in this process. In the end, group B decided not to use the video-footage. Group A and group B had almost no communication to foster mutual understanding on pending issues. As their performance drew near, B decided that not using the video was more effective, while the public institution that supported B judged that it would be more desirable not to have any conflicts. Group A, however, raised questions about such "easy" decision making. This was because of the idea that a deep conversation should take place if they truly shared same purposes for their practices. All the same, this critical thought could not be shared even within Group A. Group A artists with diverse inclinations working in a wide variety of genres had collaborated for years, but they dissolved due to this occasion. This occasion also left a big scar on its members’ minds.

How did public support for artistic social intervention in the 1975 case of America and the 2018 case of Korea have an effect on inner conflicts among artists? No public institutions providing grants instigate or regulate conflicts among artist groups. And yet, those institutions tend to sow the seeds of conflict by making the artists group’s social intervention a project managed by effective logistics and institutional regulations. This project leads artists to be mindful about schedule, not belief, and a solution to a problem, not debating ideas and visions. In this case, conflict arises not from a clash between belief in and interpretation of social intervention but from how to carry out the project from administrative perspective. That is, the major problem is a fiasco in operating the project. The project encourages participants to see a colleague as an administrator. Thus the conflict arises regarding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ose in charge, not from those of colleagues acting together in the presence of problems.

William Deresiewicz lamentably mentions in his essay “The Death of the Artist and the Birth of the Creative Entrepreneur” in the December 2015 issue of The Atlantic.
“Creative Entrepreneurship is spawning its own institutional structure – online marketplaces, self-publishing platforms, nonprofit incubators, collaborative spaces – but the fundamental relationship remains creator to customer, with creators handling or superintending every aspect of the transaction.”

Deresiewicz critically describes the process of transforming artistic identity, highlighting individual artists and their creation of artworks. His narratives, however, overlook the artist’s distinctive practice of social intervention. The practice of social intervention is composed of processes and productions in which a diversity of actors participate. (This is the same for artistic practices such as avant-garde art, media art, and art addressing issues such as climate change.) What counts most for artists as they engage in social intervention is to redefine their identities and works, adapting to changes in support systems and artistic work (technology, research, cooperation, and application). The transformation artist-expert-entrepreneur Deresiewicz suggested seems to be more or less linear. When it comes to the artist’s practice of social intervention, multiple identities such as researchers, activists, and mediators have to be added to the three identities he mentioned. Each project abides by the logistics and codes of each support. Those artists have to properly allocate and synthesize their multiple identities while negotiating and forging the scope of their (de)authoritative leadership, ownership, and public use of their work. Their precarity is not simply in regard to their status and recognition. Each project provides diverse sources of insecurity. What’s crucial is how to build a foundation for sustainable practice and community while addressing all these short-term issues such as compensation, deadlines, communication, trust, as well as technological, aesthetical, and political problems.

Are Unmake Lab and Ayoung Kim pigeonholed as entrepreneurs according to Deresiewicz? Yes and no. They tend to make rational choices to bring about the best results by making proper use of external resources, especially support funds. The most salient feature of the entrepreneur can be said to be the ability to adapt, which means one has to negotiate with goods and services they can provid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ket transaction. From the viewpoint of economics, this need will be further imperative in the market where symbolic goods and services are traded with high uncertainty or particularly the market where demands for these symbolic products are small and fragmented.

Works by Unmake Lab have sometimes displayed some appearance of a strategic entrepreneur in that they reduced the strategy of ‘direct action’ to some degree and took the form of work or ‘artistic allegory’ available for an exhibition. If so, who is their transaction object or customer? Who pays attention to their work and invests resources and experience? Government agencies, art museums, and viewers are not their only special customers. Their customers include researchers, artists, activists, and educators who criticize or attend their work. Although they have often faced indifference, they do not change the direction of their work to attract more customers. What counts for them is to keep going, to leave something, and not to be volatilized, thereby emphasizing validity through discourse and practice. What distinguishes Unmake Lab from other common entrepreneurs is their pursuit of the sustainability and consistency (unlike replaced or exchanged goods’ short-term value) of artistic practice. This is also found in Ayoung Kim’s statements.

“After the COVID-19 pandemic every institution talks only about the environment and climate. Ever-changing trends and keywords work in the art scene. And yet, it is hard for artists with their own concerns to follow such trends. This means, in a sense, artists can break away from the cycles of fashion. I at times feel this rapidly changing cycle in the art world feels superficial and fleeting. I very often see trends change so quickly and attract so many people. Such a work and exhibition is not even remembered in the future.” (Ayoung Kim)

Kim seems to take autonomy in a conventional sense that contrasts long-term consecration of art with short-term consumption of art, and supports the former. Ayoung Kim herself, however, received a favor by being recognized through such a trend. “Research-based art was once in fashion. I was also defined as an artist representing that art. All the same, there are no artists who don’t conduct research. (Ayoung Kim) She has also used cutting-edge technologies and methodologies such as VR, 3D graphics, sound, video, and Actor-Network Theory (ANT). If this is true, her attitude cannot be seen as one of the versions of conventional consecration of art and the myth of autonomy.
글: 심보선
언메이크랩이 마주했던 문제는 김아영 작가의 경우에도 발견된다. 김아영 또한 순수 예술을 전공하지 않았다. 그녀는 상업 디자인을 전공했고 영국 예술학교의 석사 과정에서부터 예술가로서의 커리어를 밟기 시작했다. 언메이크랩과 유사하게 김아영 또한 리서치를 기반으로 작업을 한다. 차이가 있다면 언메이크랩이 사물과 데이터를 중심으로 작업을 하는 것에 비해, 김아영은 주로 영상물을 최종 결과물로 삼는다는 점이다. 언메이크랩이 공학적이라면 김아영은 SF적이다. 그녀는 자신의 이력에서 꾸준하게 모더니티의 역사와 현재를, 미시적 사건과 연결시켜 가상의 캐릭터와 서사를 구성해 왔다. 예컨대 그녀의 초기작품인 <모든 북극성>은 부산에서 일어난 여성 기수의 자살 사건을 통해 자본주의와 제국주의가 착종된 부산의 역사를 드러낸다. 김아영은 이러한 작업 주제가 영국이라는 나라에서 이방인으로 살면서 느낀 이주자의 감각에 천착하는 것에서 기원했다고 한다. “영국에서 공부하면서 자신들이 제국주의를 건설했으면서 그에 관한 비판적 담론까지 선점해버리는 것에 반감을 느꼈어요.”(김아영).

아이러니하게도 김아영의 비판적 작업은 유럽 예술계라는 제도에서 환대받았다. 김아영은 유럽에서 활동하면서 이방인으로서의 자유와 불안을 작업 안에 투영하였다. 그녀의 작업은 그 특성 때문에 다양한 비예술/비미술 기관 - 예컨대 프랑스 국가기록원 - 의 협조를 요구했으며 이는 기대 이상으로 수용되었다. 물론 해외 레지던시를 통한 작업을 가능케 했던 가장 중요한 지렛대는 한국 문화예술위원회의 지원이었다. 그녀는 “아르코의 해외 레지던시 지원 프로그램이 낳은 가장 성공적인 사례”(김아영)로 평가될 정도였다. 그녀는 한국의 예술 지원제도가 그 규모와 다양성에서 유럽의 어느 나라보다도 우수하다고 강조한다. 물론 김아영 역시 지원제도의 명암을 잘 알고 있다. 그녀는 창작자들 사이에 파고든 생각들, “지원금이 없으면 작업을 못한다는 생각”, “제도 바깥을 사유하지 못함”(김아영)에 우려를 표한다. 김아영은 해외 레지던시 프로그램과 비교하면서 한국의 레지던시 프로그램이 물리적인 작업 공간의 제공에 치중하고 단기적이고 성과주의적인 한계를 갖는다고 비판한다. 무엇보다 가장 큰 문제는 인적자원을 통한 지원의 부족, 창작 과정에 필요한 프로덕션 매니지먼트에 대한 관심의 부재이다. 한국의 공적 지원은 예술가들에게 돈을 주고 모든 문제를 알아서 해결하라는 식인데, 이는 특히 동시대의 현실을 역사적, 사회학적, 과학적으로 비판하는 다학제적인 접근법을 취하는 예술가에게 더욱 문제적이라 할 수 있다.

해외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김아영은 물리적 공간을 제공받는 것 이상의 혜택을 경험할 수 있었다. 예컨대 예술가의 요청에 성격이 다른 공공 기관들이 파트너십을 통해 필요한 인력과 자원을 제공했다. 이로 인해 그녀는 다양한 전문가들과 예술가들의 지원 속에서 수월하고 효과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다. 그녀는 예술가와 그들의 작업에 대한 존중이 기실 유럽의 공공기관들이 보유한 문화자본의 과시로 보였다고 말한다. 이 문화자본은 인적, 물리적, 제도적 자원의 유기적 배치와 결합을 통해 예술가의 작업에 필요한 정보와 지식과 도구를 제공하면서 위신을 재생산한다. 김아영은 이러한 자원의 배치와 결합을 파고들고 활용하여 자신의 비판적 예술 작업을 만들어갔던 것이다. 그녀는 최신작 “다공성 계곡” 시리즈에서 인간중심주의를 넘어 생명-비생명의 네트워크로 세계를 표상하는 최신의 인문사회학적 통찰(신유물론/ANT)과 SF적 상상력을 수용하여 다공적(porous) 세계를 부유하는 이주 서사를 그렸는데, 이는 어느 정도 자기 자신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그녀는 예술은 수용하면서 타자는 배제하는 유럽의 기이한 다공성에 자신의 삶과 작업을 투과했다.

한국에 돌아온 그녀는 그간 쌓아온 이력을 바탕으로 더 많은 기회와 자원을 제공받으며 모더니티에 대한 비판적 픽션 작업을 심화시키고 있다. 한국에서 그녀는 더 분주하지만 그만큼 더 외로울 수 있다. 콜렉티브인 언메이크랩이 외로움을 느낄 정도라면, 개인 창작자로서의 김아영은 더 큰 외로움을 느끼리라 생각하는 것은 하등 이상하지 않다. 한 프로젝트에서 다른 프로젝트로 이동하고 그때마다 다른 스탭, 개발자, 전문가, 예술가들과 만나고 헤어지는 과정에서 한편으로는 프로덕션을 위한 안정적인 제도적 지원을 바라지만 그보다 더 본질적인 갈급함을 느끼기도 한다. “늘 혼자였어요. 단기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옮겨다니다 보니 소속감을 가지기 힘들었죠. 피어그룹이 있어서 동시대의 이슈를 공유하는 준거집단이 그리웠어요.”(김아영)

우리는 예술가들의 연대와 우정의 역사를 알고 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20세기 초중반, 삶과 예술을 통합을 꿈꾸던 아방가르드 운동, 자신의 자율성과 전문성에 대한 사회적 인정을 도모한 예술가 단체, 신념과 성향을 공유하는 동료집단으로서의 동인 등으로 예시되는 예술가들의 집단 활동은 문화정책의 지원금을 받을 가능성은 꿈도 꾸지 않았다. 그들은 자조(self-help), 상호부조(mutual help), 후견(patronage) 등으로 지탱하는 “상호 존경으로 묶인 결사체들(mutual admiration societies)”의 전형이었다. 이 결사들은 한편으로는 자율성이라는 신화를 맹신하는 엘리트 집단으로 비판받았다. 다른 한편으로 이 결사체들은 엘리트주의를 경계하면서 인민과 연대하여 국가/자본에 저항하는 대항 헤게모니를 구축하는 “유기적 지식인(organic intellectuals)”으로 거듭나고자 했다. 그러나 공공기금에 대한 이들의 의존의 역사 속에서 이 둘 사이의 긴장은 촉진되고 극단적인 경우, 내적 분열과 파열로 귀결되었다.

이 분열의 극적인 사례 중 하나를 소개하고자 한다. 뉴욕 로어 맨해튼의 한 건물 지하실에 동양계 청년 예술가, 활동가들이 모여 Basemet Workshop(BW: 1971-1986)이라는 단체를 조직하고 차이나타운을 중심으로 동양계 미국인들의 인권과 연대를 위한 운동을 시작하였다. 커뮤니티 서비스, 리서치, 교육, 출판, 직접행동, 예술 등 다양하고 전방위적인 사회적 개입 실천을 이어가던 BW는 연방정부 및 지방정부로부터 예술기금을 받아 조직 규모와 프로젝트의 범위를 넓히면서 내부갈등에 휩싸이게 됐다. 구성원 중 일부는 예술 프로그램을 위한 공공 지원금의 사용을 문제시했다. 그들은 지원금 수용이 공동체가 아닌 정부의 구미에 맞춰 BW를 운영하는 것이라는 비판을 제기하였고 예술가들은 이 과정에서 예술의 사회적 개입이 갖는 고유성과 자율성이 폄하당한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결국 1975년 여름, 갈등은 폭발하였고 예술가 집단과 비예술가 집단은 각자의 길을 걷기로 했다. 이는 BW가 ‘비영리 예술단체’로서 그 성격을 분명히 하는 계기로 작용했다. 아이러니하게도 1986년 BW가 문을 닫은 이유는 바로 지원금의 고갈이었다.

예술의 사회적 개입에서 갈등은 예술과 비예술 사이에서만 발생하지 않는다. 이제 언급할 사례는 A 예술가 집단과 B 예술가 집단이 동일한 실천적 대의를 위해 각자의 (지원금을 받은) 프로젝트를 수행하다 생긴 갈등의 사례이다. 이 일은 2019년에 일어났으며, 나는 A 집단에 속해 있었다. B 집단은 A 집단의 허락을 받고 A 집단의 공연을 녹화하여 자신들의 공연에 들어갈 영상물로 사용하고자 했는데, 이 과정에서 마찰이 발생했다. 결국 B 집단은 영상을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A 집단과 B 집단은 발생한 문제에 대한 상호 이해와 대응을 위한 대화를 거의 나누지 않았다. B 집단은 공연이 임박했기에 영상물을 사용하지 않도록 결정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 여겼고 B 집단을 지원한 공공 기관 역시 오해의 소지를 없애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A 집단은 오히려 그러한 ‘손쉬운’ 의사결정에 문제제기를 했다. 동일한 실천적 대의를 공유한다면 더 심도 있는 대화가 오가야 한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의식은 A 집단내부에서도 공유되지 못했다. 다양한 장르와 성향의 예술가들이 모인 프로젝트 집단이었던 A 집단은 수년간 함께 작업을 해왔음에도 이 사건을 계기로 흐지부지 해산되고 말았다. 이 사건은 일부 구성원들에게 마음에 큰 상처를 남겼다.

1975년 미국의 사례와 2019년 한국의 사례에서 예술의 사회적 개입에 대한 공적 지원은 어떤 식으로 예술가들의 내부 갈등에 영향을 미쳤는가? 지원금을 제공하는 공공 기관은 예술가 집단의 갈등을 배후에서 부추기고 통제하지 않는다. 그러나 공공 기관은 예술가 집단의 사회적 개입 실천을 효율적 로지스틱과 제도적 규율을 통해 관리되는 “프로젝트”로 만듦으로써 갈등의 씨앗을 심는다. 프로젝트는 예술가들로 하여금 신념이 아닌 일정, 문제의 해석이 아닌 해결에 초점을 맞추게 한다. 이 경우 갈등은 사회적 개입에 대한 신념과 해석의 충돌이 아니라, 프로젝트와 프로젝트의 충돌 속에서 발생한다. 요컨대 주요 문제는 프로젝트의 운영에 ‘차질’이 생기는 것이다. 프로젝트는 동료(colleague)를 역할 수행자, 즉 담당자(incharge)로 바라보는 시선을 조장한다. 사실상 갈등은 동료 사이의 갈등이 아니라 담당자들의 역할과 책임을 둘러싼 갈등으로 나타난다.

William Deresiewicz는 2015년 12월 <The Atlantic>에 게재한 “The Death of the Artist—and the Birth of the Creative Entrepreneur”라는 에세이에서 탄식조로 이야기한다.

“Creative entrepreneurship is spawning its own institutional structure—online marketplaces, self-publishing platforms, nonprofit incubators, collaborative
spaces—but the fundamental relationship remains creator-to-customer, with
creators handling or superintending every aspect of the transaction.”

Deresiewicz는 이때 개인 예술가들과 작품 창작을 중심으로 그들의 정체성이 변모하는 과정을 비판적으로 묘사한다. 그러나 그의 서사는 예술가들의 사회적 개입이라는 독특한 실천을 간과한다. 예술가의 사회적 개입 실천은 작업실에서의 고독한 창작보다는 다양한 행위자들이 참여하는 프로세스와 프로덕션으로 이루어져 왔다(아방가르드, 미디어 아트, 기후 변화를 중심 테마로 다루는 예술 실천, 모두 마찬가지이다). 사회적 개입의 주요 행위자로서의 예술가들에게 중요한 것은 지원 제도와 예술적 작업(기술과 연구와 협력과 활용)의 변화에 적응하면서 자신의 정체성과 작업을 재정의하는 일이다. 이때 Deresiewicz가 제시한 예술가—> 전문가 —> 기업가로서의 변화는 지나치게 단선적으로 보인다. 예술가의 사회적 개입 실천의 경우, 그가 언급한 세 가지 정체성에 연구자, 활동가, 매개자라는 다중적 정체성과 일을 덧붙여 생각해야 한다. 각각의 프로젝트는 각각의 지원의 로지스틱과 규율에 따른다. 예술가는 다중적 정체성을 적절히 분배 및 종합해야 하고, 그 와중에 자신의 작업에 대한 (탈)권위적 리더십, 소유권과 공적 쓸모의 범위를 교섭하고 구축해나가야 한다. 이들의 불안정성(precarity)은 단순한 지위와 인정에 관한 불안정성이 아니다. 각각의 프로젝트는 불안정성의 다양한 원천을 제공한다- 보상, 데드라인, 커뮤니케이션, 신뢰, 기술적, 미학적, 정치적 문제, 이 모든 단기적 쟁점들을 다루면서 어떻게 지속 가능한 실천의 토대와 공동체를 구축할 것인가가 관건이다. 이것이 실패할 때, 프로젝트와 프로젝트는 충돌하고 각각의 프로젝트에 복무하는 예술가들은 프로젝트 담당자로서 내외부의 다른 담당자들과 갈등한다.

언메이크랩과 김아영은 Deresiewicz의 분류에서 기업가에 속하는가? 그렇기도 하고 아니기도 하다. 그들은 외부의 자원 환경, 특히 지원금을 적절히 활용하여 최상의 결과를 가져오려 합리적 선택을 내린다. 이때 기업가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적응 능력”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시장 수요와 거래의 특성에 맞춰 자신이 제공하는 재화와 서비스를 유연하게 교섭해야 함을 뜻한다. 이러한 필요성은, 경제학적 관점에 따르자면, 상징적 재화와 서비스가 유통되는 시장, 특히 소규모 자영업자의 생산물에 대한 수요가 불확실하고 세분화된 시장의 경우 더욱 부각될 것이다.

언메이크랩의 작업의 경우 “직접행동”의 전략을 얼마간 축소시키고 작품 혹은 전시 가능한 “예술적 알레고리”의 형식을 취했다는 점에서 전략적인 기업가의 면모를 보이기도 한다. 그렇다면 그들의 거래대상, “고객”은 누구인가? 누가 그들의 작업에 관심을 기울이고 자원과 경험을 투여하는가? 그들의 특수 고객에는 국가나 미술관, 그리고 관객만 포함되지 않는다. 그들의 작업을 비평하고, 그들의 작업에 참여하는 연구자, 예술가, 활동가, 교육자 또한 고객에 포함 된다. 하지만 늘 무관심에 직면했음에도, 그들은 더 많은 고객을 유치하는 방향으로 자신의 작업을 변경하지 않았다. 요컨대 그들에게는 계속 이어가는 것, 남기는 것, 휘발되지 않는 것, 그래서 담론과 실천으로 유효성을 발휘하는 것이 중요했다. 요컨대 예술적 실천의 지속성과 일관성(교체되고 교환되는 상품의 단기적 기치와 달리)의 추구야말로 언메이크랩을 통상적인 기업가들과 구별짓는 성향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김아영의 언급에서도 발견된다.

“판데믹 이후 모든 기관이 환경과 기후 이야기를 해요. 미술계에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트렌드와 키워드가 작동하고 있죠. 하지만 자신의 지속적 관심사를 가지고 있는 예술가들은 그런 트렌드에 따라 가기가 힘들어요. 어떤 의미에서 예술가들은 유행의 싸이클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말이죠. 나는 급변하는 미술계의 사이클이 피상적이고 덧없게 느껴질 때가 있어요. 흐름이 너무 빨리 바뀌고 사람들이 몰리는 것을 많이 봐요. 그렇게 만든 작업과 전시가 오래 기억되지도 못해요.”(김아영)

김아영은 장기적인 예술 숭배(consecration)와 단기적인 예술 소비(consumption)를 대비시키며 전자를 지지하는 전통적인 자율성의 태도를 취하는 것 같기도 하다. 그러나 김아영 자신, 유행을 통한 인정의 혜택을 받기도 했다. “한때 리써치 기반 예술이 유행했을 때, 저는 그것을 대표하는 예술가로 언급됐죠. 하지만 리써치를 하지 않는 예술가는 없어요.”(김아영) 또한 그녀는 VR이나 3-D 그래픽 같은 신기술, 소리, 사운드, 영상, 또한 ANT 이론 등을 수용하는 최첨단의 방법론을 취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그녀의 태도를 전통적인 예술숭배와 자율성 신화의 판본(version) 중 하나로 볼 수는 없을 것이다.
글: 심보선
언메이크랩이 마주했던 문제는 김아영 작가의 경우에도 발견된다. 김아영 또한 순수 예술을 전공하지 않았다. 그녀는 상업 디자인을 전공했고 영국 예술학교의 석사 과정에서부터 예술가로서의 커리어를 밟기 시작했다. 언메이크랩과 유사하게 김아영 또한 리서치를 기반으로 작업을 한다. 차이가 있다면 언메이크랩이 사물과 데이터를 중심으로 작업을 하는 것에 비해, 김아영은 주로 영상물을 최종 결과물로 삼는다는 점이다. 언메이크랩이 공학적이라면 김아영은 SF적이다. 그녀는 자신의 이력에서 꾸준하게 모더니티의 역사와 현재를, 미시적 사건과 연결시켜 가상의 캐릭터와 서사를 구성해 왔다. 예컨대 그녀의 초기작품인 <모든 북극성>은 부산에서 일어난 여성 기수의 자살 사건을 통해 자본주의와 제국주의가 착종된 부산의 역사를 드러낸다. 김아영은 이러한 작업 주제가 영국이라는 나라에서 이방인으로 살면서 느낀 이주자의 감각에 천착하는 것에서 기원했다고 한다. “영국에서 공부하면서 자신들이 제국주의를 건설했으면서 그에 관한 비판적 담론까지 선점해버리는 것에 반감을 느꼈어요.”(김아영).

아이러니하게도 김아영의 비판적 작업은 유럽 예술계라는 제도에서 환대받았다. 김아영은 유럽에서 활동하면서 이방인으로서의 자유와 불안을 작업 안에 투영하였다. 그녀의 작업은 그 특성 때문에 다양한 비예술/비미술 기관 - 예컨대 프랑스 국가기록원 - 의 협조를 요구했으며 이는 기대 이상으로 수용되었다. 물론 해외 레지던시를 통한 작업을 가능케 했던 가장 중요한 지렛대는 한국 문화예술위원회의 지원이었다. 그녀는 “아르코의 해외 레지던시 지원 프로그램이 낳은 가장 성공적인 사례”(김아영)로 평가될 정도였다. 그녀는 한국의 예술 지원제도가 그 규모와 다양성에서 유럽의 어느 나라보다도 우수하다고 강조한다. 물론 김아영 역시 지원제도의 명암을 잘 알고 있다. 그녀는 창작자들 사이에 파고든 생각들, “지원금이 없으면 작업을 못한다는 생각”, “제도 바깥을 사유하지 못함”(김아영)에 우려를 표한다. 김아영은 해외 레지던시 프로그램과 비교하면서 한국의 레지던시 프로그램이 물리적인 작업 공간의 제공에 치중하고 단기적이고 성과주의적인 한계를 갖는다고 비판한다. 무엇보다 가장 큰 문제는 인적자원을 통한 지원의 부족, 창작 과정에 필요한 프로덕션 매니지먼트에 대한 관심의 부재이다. 한국의 공적 지원은 예술가들에게 돈을 주고 모든 문제를 알아서 해결하라는 식인데, 이는 특히 동시대의 현실을 역사적, 사회학적, 과학적으로 비판하는 다학제적인 접근법을 취하는 예술가에게 더욱 문제적이라 할 수 있다.

해외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김아영은 물리적 공간을 제공받는 것 이상의 혜택을 경험할 수 있었다. 예컨대 예술가의 요청에 성격이 다른 공공 기관들이 파트너십을 통해 필요한 인력과 자원을 제공했다. 이로 인해 그녀는 다양한 전문가들과 예술가들의 지원 속에서 수월하고 효과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다. 그녀는 예술가와 그들의 작업에 대한 존중이 기실 유럽의 공공기관들이 보유한 문화자본의 과시로 보였다고 말한다. 이 문화자본은 인적, 물리적, 제도적 자원의 유기적 배치와 결합을 통해 예술가의 작업에 필요한 정보와 지식과 도구를 제공하면서 위신을 재생산한다. 김아영은 이러한 자원의 배치와 결합을 파고들고 활용하여 자신의 비판적 예술 작업을 만들어갔던 것이다. 그녀는 최신작 “다공성 계곡” 시리즈에서 인간중심주의를 넘어 생명-비생명의 네트워크로 세계를 표상하는 최신의 인문사회학적 통찰(신유물론/ANT)과 SF적 상상력을 수용하여 다공적(porous) 세계를 부유하는 이주 서사를 그렸는데, 이는 어느 정도 자기 자신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그녀는 예술은 수용하면서 타자는 배제하는 유럽의 기이한 다공성에 자신의 삶과 작업을 투과했다.

한국에 돌아온 그녀는 그간 쌓아온 이력을 바탕으로 더 많은 기회와 자원을 제공받으며 모더니티에 대한 비판적 픽션 작업을 심화시키고 있다. 한국에서 그녀는 더 분주하지만 그만큼 더 외로울 수 있다. 콜렉티브인 언메이크랩이 외로움을 느낄 정도라면, 개인 창작자로서의 김아영은 더 큰 외로움을 느끼리라 생각하는 것은 하등 이상하지 않다. 한 프로젝트에서 다른 프로젝트로 이동하고 그때마다 다른 스탭, 개발자, 전문가, 예술가들과 만나고 헤어지는 과정에서 한편으로는 프로덕션을 위한 안정적인 제도적 지원을 바라지만 그보다 더 본질적인 갈급함을 느끼기도 한다. “늘 혼자였어요. 단기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옮겨다니다 보니 소속감을 가지기 힘들었죠. 피어그룹이 있어서 동시대의 이슈를 공유하는 준거집단이 그리웠어요.”(김아영)

우리는 예술가들의 연대와 우정의 역사를 알고 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20세기 초중반, 삶과 예술을 통합을 꿈꾸던 아방가르드 운동, 자신의 자율성과 전문성에 대한 사회적 인정을 도모한 예술가 단체, 신념과 성향을 공유하는 동료집단으로서의 동인 등으로 예시되는 예술가들의 집단 활동은 문화정책의 지원금을 받을 가능성은 꿈도 꾸지 않았다. 그들은 자조(self-help), 상호부조(mutual help), 후견(patronage) 등으로 지탱하는 “상호 존경으로 묶인 결사체들(mutual admiration societies)”의 전형이었다. 이 결사들은 한편으로는 자율성이라는 신화를 맹신하는 엘리트 집단으로 비판받았다. 다른 한편으로 이 결사체들은 엘리트주의를 경계하면서 인민과 연대하여 국가/자본에 저항하는 대항 헤게모니를 구축하는 “유기적 지식인(organic intellectuals)”으로 거듭나고자 했다. 그러나 공공기금에 대한 이들의 의존의 역사 속에서 이 둘 사이의 긴장은 촉진되고 극단적인 경우, 내적 분열과 파열로 귀결되었다.

이 분열의 극적인 사례 중 하나를 소개하고자 한다. 뉴욕 로어 맨해튼의 한 건물 지하실에 동양계 청년 예술가, 활동가들이 모여 Basemet Workshop(BW: 1971-1986)이라는 단체를 조직하고 차이나타운을 중심으로 동양계 미국인들의 인권과 연대를 위한 운동을 시작하였다. 커뮤니티 서비스, 리서치, 교육, 출판, 직접행동, 예술 등 다양하고 전방위적인 사회적 개입 실천을 이어가던 BW는 연방정부 및 지방정부로부터 예술기금을 받아 조직 규모와 프로젝트의 범위를 넓히면서 내부갈등에 휩싸이게 됐다. 구성원 중 일부는 예술 프로그램을 위한 공공 지원금의 사용을 문제시했다. 그들은 지원금 수용이 공동체가 아닌 정부의 구미에 맞춰 BW를 운영하는 것이라는 비판을 제기하였고 예술가들은 이 과정에서 예술의 사회적 개입이 갖는 고유성과 자율성이 폄하당한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결국 1975년 여름, 갈등은 폭발하였고 예술가 집단과 비예술가 집단은 각자의 길을 걷기로 했다. 이는 BW가 ‘비영리 예술단체’로서 그 성격을 분명히 하는 계기로 작용했다. 아이러니하게도 1986년 BW가 문을 닫은 이유는 바로 지원금의 고갈이었다.

예술의 사회적 개입에서 갈등은 예술과 비예술 사이에서만 발생하지 않는다. 이제 언급할 사례는 A 예술가 집단과 B 예술가 집단이 동일한 실천적 대의를 위해 각자의 (지원금을 받은) 프로젝트를 수행하다 생긴 갈등의 사례이다. 이 일은 2019년에 일어났으며, 나는 A 집단에 속해 있었다. B 집단은 A 집단의 허락을 받고 A 집단의 공연을 녹화하여 자신들의 공연에 들어갈 영상물로 사용하고자 했는데, 이 과정에서 마찰이 발생했다. 결국 B 집단은 영상을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A 집단과 B 집단은 발생한 문제에 대한 상호 이해와 대응을 위한 대화를 거의 나누지 않았다. B 집단은 공연이 임박했기에 영상물을 사용하지 않도록 결정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 여겼고 B 집단을 지원한 공공 기관 역시 오해의 소지를 없애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A 집단은 오히려 그러한 ‘손쉬운’ 의사결정에 문제제기를 했다. 동일한 실천적 대의를 공유한다면 더 심도 있는 대화가 오가야 한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의식은 A 집단내부에서도 공유되지 못했다. 다양한 장르와 성향의 예술가들이 모인 프로젝트 집단이었던 A 집단은 수년간 함께 작업을 해왔음에도 이 사건을 계기로 흐지부지 해산되고 말았다. 이 사건은 일부 구성원들에게 마음에 큰 상처를 남겼다.

1975년 미국의 사례와 2019년 한국의 사례에서 예술의 사회적 개입에 대한 공적 지원은 어떤 식으로 예술가들의 내부 갈등에 영향을 미쳤는가? 지원금을 제공하는 공공 기관은 예술가 집단의 갈등을 배후에서 부추기고 통제하지 않는다. 그러나 공공 기관은 예술가 집단의 사회적 개입 실천을 효율적 로지스틱과 제도적 규율을 통해 관리되는 “프로젝트”로 만듦으로써 갈등의 씨앗을 심는다. 프로젝트는 예술가들로 하여금 신념이 아닌 일정, 문제의 해석이 아닌 해결에 초점을 맞추게 한다. 이 경우 갈등은 사회적 개입에 대한 신념과 해석의 충돌이 아니라, 프로젝트와 프로젝트의 충돌 속에서 발생한다. 요컨대 주요 문제는 프로젝트의 운영에 ‘차질’이 생기는 것이다. 프로젝트는 동료(colleague)를 역할 수행자, 즉 담당자(incharge)로 바라보는 시선을 조장한다. 사실상 갈등은 동료 사이의 갈등이 아니라 담당자들의 역할과 책임을 둘러싼 갈등으로 나타난다.

William Deresiewicz는 2015년 12월 <The Atlantic>에 게재한 “The Death of the Artist—and the Birth of the Creative Entrepreneur”라는 에세이에서 탄식조로 이야기한다.

“Creative entrepreneurship is spawning its own institutional structure—online marketplaces, self-publishing platforms, nonprofit incubators, collaborative
spaces—but the fundamental relationship remains creator-to-customer, with
creators handling or superintending every aspect of the transaction.”

Deresiewicz는 이때 개인 예술가들과 작품 창작을 중심으로 그들의 정체성이 변모하는 과정을 비판적으로 묘사한다. 그러나 그의 서사는 예술가들의 사회적 개입이라는 독특한 실천을 간과한다. 예술가의 사회적 개입 실천은 작업실에서의 고독한 창작보다는 다양한 행위자들이 참여하는 프로세스와 프로덕션으로 이루어져 왔다(아방가르드, 미디어 아트, 기후 변화를 중심 테마로 다루는 예술 실천, 모두 마찬가지이다). 사회적 개입의 주요 행위자로서의 예술가들에게 중요한 것은 지원 제도와 예술적 작업(기술과 연구와 협력과 활용)의 변화에 적응하면서 자신의 정체성과 작업을 재정의하는 일이다. 이때 Deresiewicz가 제시한 예술가—> 전문가 —> 기업가로서의 변화는 지나치게 단선적으로 보인다. 예술가의 사회적 개입 실천의 경우, 그가 언급한 세 가지 정체성에 연구자, 활동가, 매개자라는 다중적 정체성과 일을 덧붙여 생각해야 한다. 각각의 프로젝트는 각각의 지원의 로지스틱과 규율에 따른다. 예술가는 다중적 정체성을 적절히 분배 및 종합해야 하고, 그 와중에 자신의 작업에 대한 (탈)권위적 리더십, 소유권과 공적 쓸모의 범위를 교섭하고 구축해나가야 한다. 이들의 불안정성(precarity)은 단순한 지위와 인정에 관한 불안정성이 아니다. 각각의 프로젝트는 불안정성의 다양한 원천을 제공한다- 보상, 데드라인, 커뮤니케이션, 신뢰, 기술적, 미학적, 정치적 문제, 이 모든 단기적 쟁점들을 다루면서 어떻게 지속 가능한 실천의 토대와 공동체를 구축할 것인가가 관건이다. 이것이 실패할 때, 프로젝트와 프로젝트는 충돌하고 각각의 프로젝트에 복무하는 예술가들은 프로젝트 담당자로서 내외부의 다른 담당자들과 갈등한다.

언메이크랩과 김아영은 Deresiewicz의 분류에서 기업가에 속하는가? 그렇기도 하고 아니기도 하다. 그들은 외부의 자원 환경, 특히 지원금을 적절히 활용하여 최상의 결과를 가져오려 합리적 선택을 내린다. 이때 기업가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적응 능력”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시장 수요와 거래의 특성에 맞춰 자신이 제공하는 재화와 서비스를 유연하게 교섭해야 함을 뜻한다. 이러한 필요성은, 경제학적 관점에 따르자면, 상징적 재화와 서비스가 유통되는 시장, 특히 소규모 자영업자의 생산물에 대한 수요가 불확실하고 세분화된 시장의 경우 더욱 부각될 것이다.

언메이크랩의 작업의 경우 “직접행동”의 전략을 얼마간 축소시키고 작품 혹은 전시 가능한 “예술적 알레고리”의 형식을 취했다는 점에서 전략적인 기업가의 면모를 보이기도 한다. 그렇다면 그들의 거래대상, “고객”은 누구인가? 누가 그들의 작업에 관심을 기울이고 자원과 경험을 투여하는가? 그들의 특수 고객에는 국가나 미술관, 그리고 관객만 포함되지 않는다. 그들의 작업을 비평하고, 그들의 작업에 참여하는 연구자, 예술가, 활동가, 교육자 또한 고객에 포함 된다. 하지만 늘 무관심에 직면했음에도, 그들은 더 많은 고객을 유치하는 방향으로 자신의 작업을 변경하지 않았다. 요컨대 그들에게는 계속 이어가는 것, 남기는 것, 휘발되지 않는 것, 그래서 담론과 실천으로 유효성을 발휘하는 것이 중요했다. 요컨대 예술적 실천의 지속성과 일관성(교체되고 교환되는 상품의 단기적 기치와 달리)의 추구야말로 언메이크랩을 통상적인 기업가들과 구별짓는 성향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김아영의 언급에서도 발견된다.

“판데믹 이후 모든 기관이 환경과 기후 이야기를 해요. 미술계에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트렌드와 키워드가 작동하고 있죠. 하지만 자신의 지속적 관심사를 가지고 있는 예술가들은 그런 트렌드에 따라 가기가 힘들어요. 어떤 의미에서 예술가들은 유행의 싸이클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말이죠. 나는 급변하는 미술계의 사이클이 피상적이고 덧없게 느껴질 때가 있어요. 흐름이 너무 빨리 바뀌고 사람들이 몰리는 것을 많이 봐요. 그렇게 만든 작업과 전시가 오래 기억되지도 못해요.”(김아영)

김아영은 장기적인 예술 숭배(consecration)와 단기적인 예술 소비(consumption)를 대비시키며 전자를 지지하는 전통적인 자율성의 태도를 취하는 것 같기도 하다. 그러나 김아영 자신, 유행을 통한 인정의 혜택을 받기도 했다. “한때 리써치 기반 예술이 유행했을 때, 저는 그것을 대표하는 예술가로 언급됐죠. 하지만 리써치를 하지 않는 예술가는 없어요.”(김아영) 또한 그녀는 VR이나 3-D 그래픽 같은 신기술, 소리, 사운드, 영상, 또한 ANT 이론 등을 수용하는 최첨단의 방법론을 취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그녀의 태도를 전통적인 예술숭배와 자율성 신화의 판본(version) 중 하나로 볼 수는 없을 것이다.
issue 4
Made on
Tilda